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0,90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게임이론의 대가 ‘로이드 섀플리’ 영원히 잠들다
수학동아
l
201604
안타까운 소식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지난 달에 게임이론에 초석을 놓았던 또 하나의
큰
별이 졌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3월 12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립대학(UCLA) 로이드 섀플리 명예교수가 94세의 나이로 별세했습니다. 섀플리 교수는 게임이론의 창시자로 2012년 노벨경제학상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
수학동아
l
201604
꽃이 피는 과정에서도 마찬가지였다.이미 오래 전부터 식물이 꽃이 피는 데 햇빛이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29알려져 있었다. 러시아의 식물학자 미하일 차일라캰은 나팔꽃을 이용해 실험을 했다. 나팔꽃을 깜깜한 곳에 약 10시간 동안 뒀다가 밝은 곳에 내놓으니 꽃눈에서 꽃이 피었다. 그런데 ... ...
[소프트웨어] 일차 함수 그래프 그리기
수학동아
l
201604
구하고자 하는 답이 됩니다. 따라서 일차 함수의 그래프가 산업계 문제를 푸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콘텐츠·문제 출제 : 김종훈(엔트리교육연구소 연구원 ... ...
[과학뉴스] 수성이 빛나지 않는 이유는 ‘흑연’
과학동아
l
201604
달은 크기나 모양, 대기 등이 비슷해서 쌍둥이 행성으로 통하지만 밝기에서 만큼은
큰
차이를 보인다. 지구에서 봤을 때 달이 수성보다 세 배 더 밝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연구팀은 수성의 표면이 어두운 이유가 흑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3월 7일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 발표했다.연구팀은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201604
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알파고를 지능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알파고의 성공은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지만 컴퓨터가 바둑에서 인간을 이기는 것은 결국 시간의 문제였다. 지금이 아니라도 언젠가는 반드시 일어났을 사건이라고 말하는 것이 옳다. 문제가 매우 잘 정의돼 있고 승부를 결정짓는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
과학동아
l
201604
사전에 p=0.05를 영가설이 틀렸다고 간주하는 문턱값으로 결정했다면, 0.125는 0.05보다
큰
값이기 때문에, 영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다시 말해 그들은 동전이 불공평하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없다. 혹시 어렵더라도 실망하지는 말자. 유의확률 개념은 과학 연구자들에게도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으로 ...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
과학동아
l
201604
이타성의 진화를 종 전체의 이득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라고 해석하는 집단 선택설이 대세를 이룬 20세기 중반. 자연 선택이 개체의 수준에서 일어난다는 개체 선택설은 어떻게 ... 주었다. 그게 끝이었다. 얼굴을 맞댄 만남보다 책을 통한 만남이 해밀턴에게 훨씬 더
큰
영향을 끼친 셈이다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
과학동아
l
201604
사냥하는 방법을 유용하게 쓰고 있다.이처럼 악어는 트라이아스기 말 대멸종 사건에서
큰
타격을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나름의 살아갈 길을 찾았다. 비록 전성기인 트라이아스기의 화려함은 사라졌지만, 악어는 다른 동물들이 미처 차지하지 못한 여러 생태적 지위(niche) 속으로 비집고 들어갔다. ... ...
[Tech & Fun] 셜록홈즈 ‘세 사람의 징후’
과학동아
l
201604
풀기 전까지 당사자가 모를 수는 없습니다. 유 교수는 “지혈은 상처에 집중적으로
큰
압박을 가해야 한다”며 “허리띠의 압박만으로 지혈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정리해 보면 얇은 칼도 충분히 생명에 위협적일 순 있지만, 이번 에피소드처럼 피해자가 모르게 공격하는 것은 ... ...
[Career] 산소로 정화한 물, 마셔볼래요?
과학동아
l
201604
맞춰 새로 도입된 정화 기술이기 때문이다. 특히 1991년에 발생한 낙동강 페놀 오염사건은
큰
전환점이 됐다. 보통 수돗물은 응집-침전, 모래 여과, 염소 소독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통해 정수된다. 그런데 당시 공장에서 배출된 페놀은 이 과정으로는 제거되지 않았다. 더군다나 페놀은 염소를 만나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