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0,904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04
- Q. 방대한 관측 자료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역대 추진된 천문학 프로젝트 중에서 가장 큰 규모로 소프트웨어 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측정된 정보를 이미지화하는 소프트웨어가 기본이 되겠고, 기타 다양한 과학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소프트웨어를 추가로 개발할 계획이다. 자료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04
- 일본에서는 대학 교수뿐만 아니라, 자기 일에 미친 회사원이 노벨상을 받기도 하잖아요. 큰 회사는 아닐지 몰라도 재밌게 미쳐 일할 수 있는 회사를 만들 자신은 있습니다.빛을 내는 플라스마● 야구장 조명탑최근 LG전자가 LG트윈스 2군 시설인 이천 스포츠 콤플렉스에 PLS(플라즈마 라이팅 시스템)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04
- 있다. 그리고 현재 이 홀로세가 지속되고 있다.지질시대 경계를 나누기 위해서는 생물의 큰 변화뿐만 아니라, 그 변화를 대표할 만한 표준층서구역(Global Boundary Stratotype Section and Point, GSSP)이 필요하다. 표준층서구역은 뚜렷한 변화가 기록된 퇴적층으로, 그 시대의 시작점이 된다. 예로, 중생대가 ... ...
- [Tech&Fun] 광물이야기14_이란에서 온 눈송이과학동아 l201604
- 결과적으로 훌륭한 이란산 광물 표본들이 더 활발하게 채집돼, 광물 수집가들에게 큰 즐거움을 선물할 것이다.활발한 지각활동이 만든 희귀한 결정백연석 표본 이야기를 해 보자. 백연석은 납이 포함된 탄산염 광물이다. 트라이아스기 퇴적층의 산화대에서, 탄산이 풍부하게 녹아 있는 용해수가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04
- 위해서다. 연구 결과 뒤에 숨은 한 인간의 사고방식을 추리하는 일로부터 독자들이 더 큰 영감을 받을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많은 이들이 비슷한 생각을 가진 걸까. 위대한 아이디어가 나온 과정을 상세히 묘사한, 강의록 형식의 책 두 권이 동시에 나왔다. 각각 물리학과, 화학•생물학의 위대한 ... ...
- [과학뉴스] 구름은 빙하를 녹이는 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03
- 그린란드 빙하는 지구 해수면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에요. 세계에서 2번째로 큰 그린란드 빙하가 녹으면서 나오는 물의 양이 어마어마해서 해수면을 상승시키기에 충분하거든요. 하지만 아직까지 그린란드 빙하가 무엇에 영향을 받아 녹는 속도가 달라지는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어요 ... ...
- 붉은 원숭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03
- 늦은 저녁에 활동하지요. 다른 원숭이들이 먹이를 훔쳐가는 것을 막기 위해 자신의 큰 볼에 먹이를 저장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답니다.원숭이를 사랑한 과학자원숭이는 알면 알수록 정말 신기한 동물인 것 같아! 그런데 원숭이인 나보다 원숭이에 대해 더 관심이 많은 과학자들이 있다는 소식을 ... ...
- [1학급 1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가 30개 교실에 과학동아를 선물합니다!과학동아 l201603
- 눈에 띄고 손이 닿는 거리에 과학동아가 있다는 점은 손에 책을 붙들게 만드는 큰 동기부여가 됐다. 잡지를 읽은 학생들은 이어서 과월호를 찾아보게 됐고, 수업시간 중에 관련 내용이 나오면 자연스럽게 잡지 내용과 연관된 질문을 했다. 수업과 진로 탐구에 ‘든든한 도우미’교실로 찾아온 ... ...
- [과학뉴스] 물고기는 왜 자기 알을 먹을까?과학동아 l201603
- 낳은 지 얼마 안 된 신선한 알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화할 가능성이 더 큰, 오랜 시간 돌봐 온 알은 잘 먹지 않았다. 연구팀은 “일부 동물이 자신의 알을 먹는 것이 통제할 수 없는, 무작위적인 행동은 아니다”고 주장했다.휴벨 박사는 “손상된 알을 제거하거나, 알의 수를 줄여 남은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03
- 수 있었다. 나중에 어드밴스드 라이고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계기가 됐다. 이 사건은 큰개자리에서 온 신호라 하여 ‘빅독’ 이벤트라 불렸다.정보 유출로 곤란을 겪은 왜행성 하우메아 발견2004년 칼텍의 마이클 브라운 교수팀은 카이퍼벨트대에서 새로운 왜행성을 찾았다. 한참 분석에 열을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