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d라이브러리
"
미국 항공 우주국
"(으)로 총 1,488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에 쏟아진 ‘운석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음속의 60배인 초속 20㎞ 속도로 추락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이 유성체ㅏ 지구 대기에 충돌하면서 폭발해 방출한 에너지가 50만 톤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히로시마에서 터진 원자폭탄의 30배가 넘는다는 계산이다. 피해도 만만치 않았다. 운석에 직접 맞지 않더라도 떨어지는 충격 때문에 주변의 ... ...
밴 앨런 대, 알고보니 세 겹이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겹으로 이뤄져 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은 작년 8월 30일 발사한 ‘밴 앨런 대 탐사선’의 측정 결과를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혀 3월 1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밴 앨런 대’는 태양풍이나 우주선에 포함돼 있던 플라스마 상태의 하전 입자가 지구 자기장에 끌려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장치가 제대로 작동할지 시험하는 데 유용했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도 1950년대부터 사운딩 로켓을 이용했다. 지금까지 이용한 횟수는 3000번에 달한다. 지구 대기나 방사선대, 혹은 지구 밖의 천체를 관측하는 장비를 실제로 발사하기 전에 사운딩 로켓에 실어서 검증했던 것이다. 콤튼 ... ...
변 기자의 우주에서 가장 추운 취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4호
1K(영하 272℃)까지 차가워진다. 현재까지
미국항공우주국
에서 관측한 기록 중 가장 온도가 낮은 곳이다.*절대온도 : 원자가 운동하는 에너지를 기준으로 측정한 온도다. 절대온도의 정의를 처음 만든 켈빈 경의 이름을 따서 단위를 K(켈빈)로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낮아질수록 원자가 천천히 ... ...
우주정거장에 새 식구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3호
함께 생활하고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이랍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현지 시간으로 1월 8일, 로보넛2가 ISS의 데스티니 실험실에서 계기판을 조작하고 있는 장면을 공개했어요. 지구에 있는 NASA의 기술자들이 원격으로 로보넛2를 조종했지요. 로보넛2는 지금은 은퇴한 우주왕복선 ... ...
태양풍은 초신성 연구용 입자가속기?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입자가속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
미국항공우주국
과 유럽
우주국
, 이탈리아
우주국
공동연구팀은 토성 탐사선 카시니 호가 토성 주위의 충격파에서 초고에너지로 가속된 전자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 현상은 초신성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과 비슷하다.초신성이 폭발한 뒤 잔해가 빠른 ... ...
PART 5.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블랙홀이 충돌해도 그 중력파를 검출할 수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과 유럽
우주국
(ESA)이 추진했던 우주 중력파검출기는 진동을 피하기 위해 반대로 우주에 설치한다. 리사(LISA)라고 불린 이 검출기는 인공위성에 실린 세 대의 검출 장치로 이뤄져 있다. 각 검출기는 서로 500만 km 떨어져 있다. ... ...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1월 마하 9.65(시속 1만 617km)의 기록을 세운 미
항공우주국
의 실험용 무인기 X-43이 세계에서 가장 빠른 ... 바로 태양에너지 무인기다.헬리오스(사진➎)는
미국
의 에어로바이론먼트사가 개발한 무인 고고도 태양열 비행체다. 헬리오스는 대형
항공
기 보잉 747보다 더 긴 75m 길이의 날개 위 2000평방피트(1 ...
PART 1. 글로벌호크, 한반도에 뜰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영원히 날며, 마하 20의 속도를 낼 수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은 지구뿐만 아니라 화성의 하늘에도 무인기를 띄울 계획이다.지구는 물론 외계 행성의 하늘도 이제 무인기가 지배한다. 더욱 은밀하게.요즘 우리나라에서 글로벌호크 구매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2015년 12월 1일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 ...
[체험] 소행성 접근, 수학으로 예측한다!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아포피스 사이의 거리는 약 1450만km입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이 거리에서 지구와 충돌할 확률이 약 20만 분의 1 정도라고 발표했지요.허지원 : 그럼 이렇게 소행성이 지구 근처로 접근하는 일은 자주 있나요?최영준 박사 : 아포피스와 비슷한 크기의 소행성이 지구 정지궤도 근처까지 접근하는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