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d라이브러리
"
미국 항공 우주국
"(으)로 총 1,48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현상이 2011년 3월 28일 드디어 관측됐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스위프트 위성이 이 순간을 최초로 포착했다.우리나라에서도 서울대 초기우주천체연구단과 한국천문 연구원의 연구진이 보현산 1.8m 망원경을 비롯한 여러 지상관측 시설을 이용해 이 현상이 실제로 조석파괴이며, 이를 일으킨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비슷하다)를 넘는 곳이 생겨났다.4조℃는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밝힌 태양의 중심부 온도(1571만℃)보다 25만 배 높고 초신성의 중심부 온도보다도 약40배 높다. 어지간한 우주 속 극한 공간보다 훨씬 높은 온도를 인류가 직접 만든 셈이다.하지만 브룩헤이븐국립연구소는 이 사실을 공표하며 한 가지 ... ...
식물! 푸름 그 이상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있는 식물들이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수 십 년간
미국
과학자들이 미
항공우주국
(NASA)의 위성자료를 분석한 결과 1980년부터 1990년까지 기온이 급격하게 상승했다. 기온의 상승은 광합성률을 증가시키고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켰다. 그 이후에도 기온은 계속해서 상승했고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 ...
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근접 촬영한 혜성 ‘하틀리(Hartley)2’] 눈에 보이는 푸른 바다는 거대하다. 바다의 수심이 평균 4000m에 달한다는 걸 떠올리면 바닷물의 양은 압도적이다. 표면적이 가장 넓은 태평양이 약 1억 6500만㎢ , 대서양이 약 9800만㎢, 인도양이 약 6500만㎢로 남극해와 북극해를 합하면 ... ...
시간이 정말 빨리 가는 때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빨라져 실제로도 시간이 빨리 흘렀거든요.최근
미국항공우주국
(NASA)과 프랑스 파리지구물리학연구소로 이뤄진 국제 연구팀은 2009년 지구의 자전속도가 빨라져 하루가 짧아졌다고 발표했어요. 연구진은 하루의 시간을 측정 해놓은 자료를 분석했어요. 연구진이 분석한 결과 2009년 11월 8일부터 2 ... ...
지구에서 가장 ‘핫(hot)’한 곳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사하라 사막 어디일 것 같지만 아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 지구관측소는 지난 4월 5일, 이란 동부에 위치한 ‘루트 사막’이 지구에서 가장 ‘핫’한 지역이라고 발표했다.
미국
의 광학위성 랜드샛 7호는 2003년부터 2009년까지 7년 동안 지구 표면을 가시광선과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했다. ... ...
그가 붓을 들면 우주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눈을 만든 인간(한니발 츄)에게 던지는 대사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스피처과학센터 홍보팀의 ‘시각화 과학자(visualization scientist)’ 로버트 허트 박사는 자신의 작업을 이 대사에 빗대어 표현한다. 우리 눈을 능가하는 시력을 가진 ‘인공 눈’ 망원경으로 포착한 우주의 신비를 ... ...
[과학뉴스] 우리나라도 달 탐사 나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탐사할 계획이거든요. 한국
항공
우주연구원과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지난해부터 ‘루너 임팩터’라는 연구과제를 해오고 있답니다. 아래 사진은 루너 임팩터 상상도예요.루너 임팩터는 달 궤도에 우주선을 보낸 뒤 달 표면에 무게 1kg 정도인 초소형 위성을 2, 3기 떨어뜨려 달 표면을 탐사한다는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거치면서 이 꿈을 실현시키려고 오랫동안
미국항공우주국
(NASA)과 정부를 설득했다.꿈이 이뤄진 건 무려 40여 년 뒤였다. 1990년 4월 24일에 발사된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 호에는 최초의 우주망원경인 허블우주망원경이 실려 있었다. 우주 팽창을 뒷받침하는 증거인 적색편이를 발견한
미국
천문학자 ... ...
천문학 대 천체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일도 있었다. 박사학위를 마친 뒤 내 첫 직장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고다드 우주비행연구소였다. 다급히 집을 알아보기 위해 부동산 중개인과 여러 군데 방문하는 중에 중개인이 내가 뭐하는 사람인지를 물었다. 워낙 정신없던 중이기도 했지만 사실 그런 사적인 질문은 주법으로 금지되어 있었다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