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 항공 우주국"(으)로 총 1,488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성탐사 특별기획 2] 성큼성큼 화성 누비는 문어 로봇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잡으려면 로봇과의 협력은 필수다.지난 7월 20일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의 우주로봇기술 책임자 브라이언 윌콕스가 캘리포니아 주 패서디나 시티칼리지에서 ‘둘의 힘: 인간과 로봇이 어떻게 우주를 탐사하나’란 제목의 강연을 했다. 윌콕스는 JPL에서 20년 이상 우주탐사용 ... ...
- 나의 NASA 입성기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어릴 적 꿈을 따라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첫 직장생활을 하게 되었다. 다른 어린이들처럼 나도 NASA가 실제로 뭘 하는 곳인지 모르는 채, 무작정 가서 일을 하고 싶었다. 그 꿈을 이루기 위해 대학을 가고, 잘 못하는 수학과 물리를 밤새워 공부하고, 유학을 떠나 천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 ...
- “오로라 뜨는 밤엔 태양풍을 조심하세요”과학동아 l2012년 09호
- 태양 폭발이 일어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해 11월 “태양관측위성(SDO)이 관측 사상 가장 거대한 태양 흑점 폭발을 포착했다”면서 이 흑점에 ‘AR11339’라고 이름 붙였다. 이 흑점은 길이가 9만km, 폭은 5만km로 지구보다 3배 이상 크다. 태양물리학자들은 이 거대 흑점이 ... ...
- 고흐 그림처럼 흐르는 세계 해류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밤’을 연상케 한다며 감탄했답니다! 이 사진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공개한 동영상을 캡처한 것이랍니다.NASA는 2005년 6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지구 해류의 움직임을 분석해 ‘해양의 순환과 기후 측정2(ECCO2)’라는 컴퓨터 모델로 동영상을 만들었어요. 신기하게도 우리나라 주변 바다는 다른 ... ...
- 중간크기 블랙홀 단서 발견과학동아 l2012년 08호
- 그런데 최근 미국자연사박물관과 뉴욕시립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제트추진연구소(JPL), 스미소니언센터 공동연구팀이 이 과정을 설명하는 새로운 모델을 발표했다.중간 크기 블랙홀의 성장 과정이 수수께끼였던 것은 지구 근처에서도 볼 수 있는 소형 블랙홀이나 은하 중심에 있는 초거대 ... ...
- 중국이 이모작하면 한국엔 더 센 장마 온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사막처럼 변해버린 것이다.우리 연구팀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지구 관측위성인 테라(Terra)를 이용했다. 위성에 실린 관측기로 5월과 6월 동북아시아 곳곳의 지표면 온도를 측정했다. 오른쪽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6월의 지표면 온도는 5월과 비교해서 전 영역에서 높게 나타난다. 늦봄에서 ... ...
- 비소 박테리아는 없었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010년 12월 2일(현지시각)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며칠 전부터 예고한 ‘중대발표’를 했다. 울프 사이먼 박사팀이 미국의 한 호수에서 DNA 같은 생체분자에 인(P) 대신 비소(As)를 쓰는 박테리아인 GFAJ-1을 발견했다고 주장해 곧바로 큰 파문을 일으켰다(‘과학동아’ 2011년 1월호 ‘무엇이 비소 ... ...
- Part 3. 우리은하가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한다면?과학동아 l2012년 07호
- ››› 태양계 최후의 날 올까◀ 최근 NASA(미국항공우주국)가 공개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우리는 점점 다가오는 안드로메다 은하를 보다, 약 40억 년 뒤부터는 충돌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70억 년 뒤 합쳐진 은하핵은 지금보다 훨씬 밝고 환할 것이다. 하지만 그 이상 별다른 일은 벌어지지 ... ...
- 식물! 푸름 그 이상의 아름다움!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있는 식물들이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수 십 년간 미국 과학자들이 미항공우주국(NASA)의 위성자료를 분석한 결과 1980년부터 1990년까지 기온이 급격하게 상승했다. 기온의 상승은 광합성률을 증가시키고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켰다. 그 이후에도 기온은 계속해서 상승했고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 ...
- 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근접 촬영한 혜성 ‘하틀리(Hartley)2’] 눈에 보이는 푸른 바다는 거대하다. 바다의 수심이 평균 4000m에 달한다는 걸 떠올리면 바닷물의 양은 압도적이다. 표면적이 가장 넓은 태평양이 약 1억 6500만㎢ , 대서양이 약 9800만㎢, 인도양이 약 6500만㎢로 남극해와 북극해를 합하면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