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크
결합
접속
유대
접촉
관계
직렬
어린이과학동아
"
연결
"(으)로 총 974건 검색되었습니다.
VR,AR그리고MR
기사
l
20170205
수 있고(몰입감이 셈) 단점은 단절(여러 사람이 헤드셋 한 개를 낄 수 없으니까)입니다. 다음으로 AR(증강 현실)은 현실과 가상을
연결
하는 기술입니다. 즉 현실에 가상을 겹치는 것입니다. 포켓몬 GO나 snow가 AR기술을 이용한 앱입니다. 또 장점은 딱히 도구가 휴대폰 밖에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고 단점은 몰입감이 부족합니다. 마지막으 ...
반짝반짝 빛나는 과일 전지 만들기
기사
l
20170125
각각 집게 전선을
연결
합니다. 3. 구리판에
연결
된 전선을 발광 다이오드의 긴 다리에, 아연판에
연결
된 전선을 짧은 다리에
연결
하면 불이 들어옵니다. 빨간 불빛이 보이나요? 발광 다이오드의 불빛은 약해서 잘 안 보일수도 있습니다. 그럼 이 실험의 원리를 알아볼까요? 아연판은 오렌지에 들어 있는 산성 성 ...
재밌는 게임의 이스터에그들!
포스팅
l
20170120
소리가 흘러나온다.1-6. 그 오르골 소리대로 워터폴 한쪽에 있는 피아노를 쳐보자. 1-7. 언더테일을 킨 상태로 컴퓨터에 조이스틱을
연결
해 보자. 1-8. 핫랜드 중간 부분에 두 갈래길이 있는걸 볼 수 있다.거기서 위쪽으로 올라가 보자. 투명 다리가 있는 걸 알 수 있다. 위쪽으로 올라가면 '아트 클럽:이곳에서 만남. 시간: 어쩌구 써있는 걸 ...
사슴벌레의 짝짓기
포스팅
l
20170119
그후 수컷은 암컷이 허락할때 까지 문지르며 기다려요. 암컷이 허락하면 암컷의 등위로 올라가거나 엉덩이를 마주쳐 산란관을
연결
합니다. 만약 암컷이 허락하지 않으면 암컷은 도망치는데 수컷은 따라다니며 집게로 괴롭힙니다. 짝짓기가 끝나면 암컷은 작은 턱으로 산란목에 구멍을 내서 그 안에 알을 낳은다음 구멍을 나무톱밥으로 덮어줍니다. 짝짓기가 끝 ...
육각형의 보드를 이어 만드는 나만의 마을!
기사
l
20170105
안녕하세요? 임소정 기자입니다. 오늘은 3D 퍼즐을 이용해서 마을을 꾸며 보려 합니다. 저는 오늘 저는 집 모양 퍼즐을 만들 것입니다. 저는 하교하던 중 어떤 분이 광고지와 함께 이 퍼즐을 주셔서 이 3D 퍼즐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 줍니다. 3. 여러가지 3D 퍼즐을 제작하고 3D 퍼즐을 맞대어서 나만의 마을을 만들어 봅시다. 저는 도너츠 가게도 ...
웹툰 작가의 필수품! 타블렛을 사용하는 방법
기사
l
20161227
테블릿은 그림이나 포토샵 외에도 다른 기능이 가능한 기기입니다. 1. 먼저 타블렛을 컴퓨터와
연결
합니다. - 핸드폰
연결
하듯이
연결
하시면 됩니다. 2. 사용설명서에 끼어 있는 CD를 역시 컴퓨터에 넣습니다. 주의 사항 - 노트북이라면 애플 것만 가능합니다(일부 기기 제외) - CD 파일 열지 마시고 ...
경기도박물관 衣紋(의문)의 조선 특별전에 다녀와서
기사
l
20161221
조선시대의 유학자들은 항상 검소한 삶을 살았기 때문에 화려하지 않은 하얀색 옷을 입었습니다. 심의는 저고리와 긴 치마가
연결
되어 있고, 흰색 바탕에 검은 테두리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한복과 다르게 옷고름 대신 허리끈을 매었습니다. 심의를 입을 때에는 검은색 복건을 머리에 씁니다. 전시장 가장 안쪽에는 빨갛고 화려한 옷인 ...
《衣(의)紋(문)의 조선》 전시에서 옷의 숨은 뜻을 배우다
기사
l
20161217
같다. 백색 심의는 유학자의 예복이다. 유학에서는 화려한 것을 지양하기 때문에 백색을 쓴다. 상의인 저고리와 하의인 긴 치마가
연결
되어 길이가 발목에 이르는 형태다. 그런데 백색 심의는 전체 길이가 길지 않았다. 조선 시대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키가 현대 사람들보다 매우 작았다. 백색 심의는 소매가 매우 넓었는데 그 곳에 손을 집어 넣어 손을 ...
[6화] 왕거미가 나타났다!
놀이터
l
20161206
오늘의 주인공은 바로 "거미"예요! △이미지출처: 어린이과학동아 2016년 22호(GIB) / 사진을 누르면 해당 기사(전문 또는 일부)로
연결
됩니다. 거미는 전세계 곳곳에 약 3만 종류나 살고 있대요! 그중에서 사진과 같은 깡충거미는 최근 자신의 몸길이의 600배인 3m 밖에서 들리는 소리도 들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 나왔어 ...
[5화] 넌 정말 착한 전갈?
놀이터
l
20161202
내는 동물이라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이미지출처: 어린이과학동아 2011년 1호 / 사진을 누르면 해당 기사(전문 또는 일부)로
연결
됩니다. 전갈은 몸에 있는 형광물질이 자외선과 반응해 초록이나 분홍빛을 내는 원리라고 해요. 과학자들은 전갈이 스스로 빛을 내는 이유가 '밤눈'이 어두워서, 야간활동을 할 때 앞을 잘 보기 위해서라고 주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