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연결"(으)로 총 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섭섭박사와 함께 자동차의 내연기관을 만들어라!기사 l20160913
- 등 오르락내리락하며 자동차를 앞으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실린더는 연소실 바로 밑의 빈 부분이고, 피스톤로드는 피스톤 밑에 연결되어있는 부분입니다. 크랭크 축이 피스톤 로드를 움직이게 하여 피스톤을 오르락내리락하게 만듭니다. ↑자동차는 흡입-압축-폭발-배기를 반복하는데, 이를 4행정이라고 합니다. 크랭크 축이 올라가면 피스톤이 내려갑니 ...
- 출동! 섭섭박사가 간다! - 자동차 엔진 만들기기사 l20160911
- 왕복운동하는 실린더를 하나로 모은 곳입니다. 3층은 혼합기를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밸브장치가 있는 곳입니다. 배터리 박스와 연결하면 4행정이 반복되면서 움직이는걸 알 수 있습니다.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불빛이 보일 겁니다. 이 불빛은 연소 즉 폭발행정 단계에서 생기는 겁니다. 실험이 끝 ...
- 추사 김정희 선생님의 발자취 2 - 쓸쓸한 제주 유배지와 세한도 탄생 이야기기사 l20160906
- 기회가 되면 서울의 봉은사에 가서 '판전' 현판을 보고 싶어졌습니다. 해설사 선생님의 설명을 듣고 나서 뒤이어서 기념관과 연결되어 있는 추사 김정희 선생님 유배지로 올라가 보았습니다. 선생님은 1786년부터 1856년까지 총 9년간 이 곳에서 유배 생활을 하셨다고 합니다. 이 곳은 특별한 의미가 있는 곳인만큼 2002년 4월 17일 제주기념물 ...
- 역사와 문화의 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에 가다기사 l20160905
- 또한 세계최초의 금속 활자인 '직지심체요절' 중 한 글자도 있었습니다. 아쉽게도 어두워서 못 찍었습니다. 고려관은 조선관과 연결이 되어 있어서 바로 조선관을 볼 수 있었습니다. 조선관에 들어서자 왕좌와 일월오봉도(아래 사진)가 있었습니다. 모든 왕좌를 보면 모두 뒤에 일월오봉도가 있더라고요. 왕좌 옆에는 '편경'이 있었습니다. 편경 ...
- [베스트포토상] 동아사이언스 다빈치룸에서 섭섭박사님을 만났습니다!기사 l20160810
- 다음에는 각 부품을 방향에 유의하여 순서 관계 없이 프린트된 이미지에 맞게 고정하면 되는 거예요. 여기서 잘하셔야 소리가 나요. 연결 잘못하시면 소리가 나지 않아요. 마지막으로, 부품을 다 끼우셨다면 고정 캡을 고정 핀이 나온 곳에 끼워주시면 됩니다. 약하게 끼시면 회로가 분리되서 무척 곤란할 수 있어요. 드디어 완성! 이제 아래쪽에 많 ...
- [생생취재상] '출동! 섭섭박사가 간다'에 다녀와서기사 l20160809
- 고정하세요. 2. 각 부품들을 스티커 표면에 따라 꽂은 후 고정합니다. 고정이 끝나면 건전지를 플러스 표시가 자신에게 보이도록 하여 연결 한 후 어두운 곳에 가져가 빛이 나는지 확인 합니다. 3. 마지막 하이라이트! 나만의 전기 회로이니 자신의 개성을 살려서! 우드락으로 모양을 만든 후 자신의 전기회로를 붙이면 나만의 전기회로 완성! 전기 ...
- 서울.성북.라이노비틀즈.20160724탐사기록 l20160724
- 자세히보면 검정색 나뭇잎조각같은게 있어요. . 제비나비 두마리가 이리저리 날아다니며 짝짓기하고 있었는데 잠시 날개짓을 멈췄을때 찍었어요.산책길에 만난 버섯풍뎅이도 만나고요^^숙소와 연결된 계곡을 쭉 따라 올라가면서 산책했어요~~ ...
- [3화] 뱀이다아~, 뱀이다아~! 뱀로봇 만들기 대작전!놀이터 l20160722
- 닮은 저항, 포크를 닮은 트랜지스터 등등 설명서를 따라 정확한 위치에 꽂으면 회로 완성! 냐학, 뱀 도안을 따라 쇠단추로 연결해 주고, 양면테이프로 전지를 고정하면 생각보다 빠른 속도로 기어다니는 뱀로봇을 만들 수 있어요! 영상에 등장하는 '뱀로봇'이 궁금하다면, 아래 배너를 꾹! 눌러 구경하세요! ...
- 573년 만에 다시 움직인 조선의 표준시계 자격루기사 l20160706
- 되었고, 물시계와 자동 시보 장치를 연결하여 만든 '자격루'가 탄생하게 된거지요. 농업사회에선 시간(농사 시기 포함)은 생존과 연결되는 매우 중요한 것이었기에 자격루의 발명은 아주 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답니다. 그럼 자격루는 어떤 원리로 스스로 시각을 알려 줄 수 있었을까 궁금하시죠? 그래서 작동원리도 찾아 보았답니다. 자 ...
- 매미의 우화를 지켜보면서...탐사기록 l20160704
- 허물을 벗다가 비바람에 밀려 땅으로 떨어지면 끝이기 때문입니다. 한 번의 잘못된 선택. 혹은 한번의 실수가 그대로 죽음과 연결되는것이 매미의 날개돋이 입니다. 7월2일 토요일 밤 우화를 하는 8마리 털매미와 5마리 말매미를 발견 했습니다. 대왕참나무 나뭇잎에 매달려 날개를 말리는 말매미는 우화에 성공했습니다. 땅 속에서 긴 시간을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