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때쯤이면 우주엘리베이터 건설이 시작되지 않을까. NASA, 경진대회 열어 기술개발 한창
미국
항공우주국(NASA)을 비롯한 여러 연구소나 기업은 꾸준히 우주엘리베이터를 탐구해왔다. NASA는2005년부터 스페이스워드재단과 함께 우주엘리베이터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기술 경진대회를 열고 있다. 2009년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논문을 철회했다. 침을 찔렀을 때 뇌에 일어나는 현상이 경혈과는 무관하다는 뜻이다.
미국
의학협회지(JAMA) 2005년 5월 4일자에 실린 독일 뮌헨 과학기술대 클라우스린데 교수팀의 논문도 이를 뒷받침한다. 린데 교수는 편두통 환자에게 침을 놓고 통증이 얼마나 줄어들었는지 조사했다. 일부에게는 ... ...
산타의 기적, 첨단과학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썰매를 타고 이동하지 않는다. 대신 시공간의 지름길인 웜홀을 통해 이동한다.1985년
미국
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이 ‘콘택트’란 소설을 쓸 때 캘리포니아공대의 물리학자 킵 손이 웜홀이란 개념을 만들어 줬다. 웜홀은 우주 공간에 존재하는 가상의 물체이자 통로다. 블랙홀과 화이트홀 사이를 ... ...
브누아 만델브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길을 택했다.자유로운 연구의 토대가 됐던 왓슨 연구소도 그를 영원히 담아둘 순 없었다.
미국
기업들이 경쟁에서 서서히 밀려나고 실적이 악화되면서 IBM은 왓슨 연구소에서 기초과학 연구 조직을 정리했다. 1987년, 만델브로는 30년 만에 IBM에서 나와 예일대 수학과로 자리를 옮겼다.이곳에서 그는 ... ...
국내 연구진 배추 염색체 해독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완전히 분석해 그 결과를 ‘유전체생물학(Genome Biology)’ 11월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미국
, 일본, 프랑스, 캐나다 등 7개 나라와 동으로 배추의 유전체 전체를 해독하는 연구를 진행해 왔다.연구 결과 배추의 2번 염색체는 3190만 개의 NA 염기로 이뤄져 있었다. 또 평균 4600개의 기 서열을 갖는 유전자 7 ... ...
한국과학기자협회 올해의 과학기자상 발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26일 한국과학기자협회 주최로 열리는 ‘2010과학언론인의 밤’ 행사에서 열렸다. 이 상은
미국
계 제약회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의 후원을 받아 시행한다.한편 과학기자협회는 과학대중화에 기여한 홍보 전문가에게 주는 ‘과학홍보인상’ 수상자로 김용권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외협력실장, 김찬호 ... ...
산업에서 의료까지 레이저가 다듬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우리 연구실에 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정 교수 자신도 기계공학과 출신으로 1992년경
미국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에서 레이저를 처음 접한 후 흥미를 느껴 레이저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정 교수가 그랬던 것처럼 레이저가공 연구실의 문은 레이저를 학부에서 전공하지 않은 학생에게도 열려 ... ...
자기치료물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박사가 하이드로겔 자기치료물질과 같은 원리로 복구되는 고무를 개발해 발표했다.
미국
서던미시시피대 마렉 어번 교수도 2009년 게 껍데기에 있는 키토산을 이용한 자기치료 코팅제를 소개한 바 있다.네덜란드 유럽우주공학연구센터(ESTEC) 크리스토퍼 셈프리모슈니히 박사팀은 동물이 상처를 ... ...
뇌 기계 접속 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원숭이는 몇 주 정도의 훈련을 받고 는 곧 생각만으로 로봇팔을 움직여 보였다. 2008년엔
미국
피츠버그대 연구진이 원숭이의 대뇌피질에 전극을 달 아 로봇팔을 움직이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엔 일본 자동차 기업 혼다 가 BMI 기술로 인간형 로봇 아 시모의 팔과 다리를 움직여 보 여 화제를 모았다 ... ...
바이오 이종 장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하는 연구도 더 진척돼야 한다.이종 장기 개발, 정부서도 총력지원이 분야의 선구자는
미국
하버드대 데이비드 세이치 박사 연구팀이다. 이종 장기의 창시자라고 불린다. 피츠버그대는 데이비드 쿠퍼 박사를 중심으로 활발히 연구 중이다. 바이오 기업 ‘리빙셀테크놀로지’도 유명하다. 국내에서는 ... ...
이전
779
780
781
782
783
784
785
786
7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