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교차결합 반응법이야 말로 유기화합물을 만드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미국
화학회 회장인 퍼듀대조셉 프랜시스코 교수도 “이들의 업적이 인정받는 건 시기의 문제였을 뿐”이라며 노벨상 선정이 당연하다는 반응을 보였다.4~5년 전 은퇴해 현재 아내의 모국인 필리핀에서 살고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심부체온(몸속체온)이 41.1℃ 이상이 되면 ‘열사병’으로 진단할 수 있다. 매년 여름
미국
에서만 250명이 열사병으로 사망한다. 이 때가 되면 인체의 단백질이 열에 의해 파괴되거나 기능이 떨어져 각종 장기 등도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44℃ 이상이 되면 대부분 사망한다.물론 추워도 문제다. ... ...
변화무쌍 수조 진짜 남극바다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본다고 해도 폭이 2.8m이고 높이가 1.8m로 중형 자동차가 지나갈 수 있는 면적이다. 과연
미국
해군연구소 다음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수조라는 말이 과장이 아니었다. 캐비테이션 터널 수조는 총 207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2009년 말 완공했다.캐비테이션 터널 수조의 별명은 ‘선박용 러닝머신’이다. ... ...
건축에 대한 발칙한 상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음악을 듣는 상쾌한 기분이 들 것이다.눈길이 머무는 이달의 책
미국
코넬대 명예교수이자 영양 생화학자인 저자는 40년 이상 다이어트와 암, 심장질환, 화학 독성물질, 영양소의 역할과 영향에 대해 연구했다. 또 중국의 2400개가 넘는 지역에서 식생활과 암, 사망률 사이의 ... ...
똑딱이로 찍은 명품 항공사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매단 뒤 헬륨 가스를 넣고 대기권 밖으로 띄워 지구 곡선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학생이 2009년에 유사한 프로젝트를 진행한 바 있지만 국내 대학생이 성공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이들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수신기가 달린 폴리스티렌 박스에 디지털카메라(캐논 A480)를 ... ...
“소행성, 바다에 떨어지면 거대한 오존 구멍 생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생산자 역할을 하는 식물과 식물성 플랑크톤이 자외선을 받아 죽기 때문이다.
미국
콜로라도대 에어로졸 연구그룹의 브라이언 툰 수석연구원은 “소행성 충돌시의 대기 변화를 시뮬레이션한 피에라조 박사 연구팀의 연구는 과거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관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연구를 ... ...
‘시험관 아기’로 신의 섭리 넘어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임신 성공률이 낮았다.10% 불과했던 성공률, 지금은 30% 끌어올려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미국
의 하워드 존스 부부가 과배란 유도법을 개발했다. 과배란 유도주사를 이용해 난자 여러 개를 한꺼번에 성숙시키는 일이 쉬워졌다. 전문가들은 난자를 쉽게 채취하는 방법이나 과배란 유도 중에 발생할 수 ... ...
‘빛 좋은 개살구’가 보약이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건가요? 김 박사 배 가운데 껍질이 붉은 품종과 달콤한 배를 교배하면 얻을 수 있죠.
미국
에서는 ‘레드바틀릿’이라는 붉은 배를 생산하는 데 이미 성공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붉은 배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국산 배는 특히 물이 많고 달아서 맛있기로 세계적으로 유명하니까요.청이 ... ...
흑인 부모는 어떻게 백인 아기를 낳았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어두운 색이 우성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흑인과 백인이 결혼해서 낳은 자식의 피부는
미국
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처럼 어두운 색을 띠기 쉽다. 하지만 피부색은 그림을 그릴 때처럼 단순히 두가지 색을 섞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여러 가지 유전자와 다양한 변형유전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 ...
빛의 냄새 맡는 쥐가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후각 기관을 자극해야 한다. 그러나 향기는 매우 다양하고 미세한 분자라 통제가 어렵다.
미국
하버드대 분자및생물학과 벤카테쉬 머피 교수는 “향기는 화학적으로 너무 복잡한 물질이라서 향기를 이용해서는 냄새를 맡는 신경 회로를 따로 분리해 연구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설명했다.머피 ... ...
이전
783
784
785
786
787
788
789
790
7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