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77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양도성을 위한 상소문, 2014년 '만인소'동아사이언스 l2014.11.18
- 세계유산지킴이’로 활동 중인 박진아(24세, 동국대 역사학과)·김수민(24세, 강남대 건축공학과)·김인정(24세, 단국대 스페인어과)·박다정(24세, 단국대 스페인어과)·안인영(24세, 단국대 스페인어과) 학생이다. '영남 만인소' 모티프로, 국민 등재 기원글 받아 “한 나라의 문화재가 유네스코 ... ...
- [전문가들에게 물어봤습니다, 수능 생명과학II 8번 논란] 2014.11.17
- 있을 때만 조절 유전자가 결합한다는 뉘앙스를 담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C 연구원 조절 유전자는 젖당이 있든 없든 억제 단백질을 만들기 때문에 RNA 중합 효소가 결합하는 게 맞다. 실제 상황에서 보기 ‘ㄱ’은 옳은 설명이지만 고교 과정에서 설명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 ...
- iPS세포에도 성별 차(差) 있다2014.11.16
- 훨씬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도정태 건국대 동물생명공학과 교수팀은 여성 체세포로 유도만능줄기세포(iPS세포)를 만들 때 걸리는 시간이 남성 체세포보다 3배 넘게 걸린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4일 밝혔다. iPS세포는 체세포에 역분화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 ...
- "노벨상 원리, 장풍 알면 쉬워요"과학동아 l2014.11.15
- 재료공학부 교수, 서영덕 한국화학연구원 나노기술융합 연구단장, 곽지현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 진행을 맡은 과학동아 윤신영 기자(왼쪽부터). - 과학동아 이한기 기자 제공 과학동아 카페에 참석하기 위해 경남 통영에서부터 올라온 장재윤(충일여고 1) 학생은 “평소 주변에서 많이 보던 청색 ... ...
- ‘퀀텀닷’이 뭐길래 이렇게 뜨나2014.11.14
- 말했다. 퀀텀닷으로 태양전지를 제작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박남규 성균관대 화학공학과 교수는 “광자 하나에서 전자 하나를 만드는 태양전지의 경우 효율이 30% 정도인데, 퀀텀닷으로 태양전지를 만들면 광자 하나에서 전자를 한 개 이상 만들 수 있다”며 “이론적으로는 퀀텀닷으로 효율 ... ...
- 암 환자 위한 스마트 가발 “신기하네”2014.11.13
- 대상 등 우수작을 선정, 시상할 계획이다. 대회 위원장인 유회준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는 “시계, 안경, 의류 등에 IT를 적용한 웨어러블 기기가 주목받고 있다”면서 “학생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스마트 기술이 융합된 최첨단 웨어러블 기기를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 ...
- 빛으로 신경 조절한다2014.11.12
- 전자공학과 교수팀은 김성준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과 변경민 경희대 생체의공학과 교수팀이과 공동으로 빛을 쪼여서 원하는 부위의 신경을 정밀하게 자극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최근 손상된 감각이나 운동신경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뇌 신경 자극법이 주목받고 있다. ... ...
- 녹조 광합성이 방사능 물질 제거한다2014.11.12
- 친환경 기술 개발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 생물자원공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바이오리소스 테크놀로지’ 11월호에 실렸다. ... ...
- 팔만대장경이 A4 한 장에 2014.11.12
- 있다. - KAIST 제공 팔만대장경을 모두 펼치면 축구장 하나 정도로 넓다. 정연식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이 정도 분량을 A4용지 한 장에 모두 인쇄할 수 있는 초미세 나노 인쇄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폭이 1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 ...
- 미니어처 크기 ‘나노 배터리’ 나온다2014.11.11
- 교수팀이 개발한 나노동공 베터리. 구멍 하나가 하나의 배터리다. - 메릴랜드대 재료공학과 제공 이 배터리로 실험한 결과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은 물론 12분 만에 배터리가 완벽하게 충전됐다. 또 연구진은 이 배터리를 수천 번 재충전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엘레노어 ... ...
이전7847857867877887897907917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