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7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화 ‘메이즈 러너’처럼 기억 지울 수 있을까2014.10.10
- 전기 충격의 고통이 빛으로 인해 행복한 감정으로 바뀐 셈이다. 정용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최근 뇌 기억을 지우거나 바꾸는 ‘브레인 모듈레이션(Brain Modulation)’ 연구가 활발하다”면서 “이를 이용하면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환자를 위한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 [2014 노벨 과학상-인연] 존 오키프 교수와 나2014.10.08
- 상을 받게 되었다는 것에 진심어린 축하를 보내고픈 심정이었다. 곽지현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 - 고려대 제공 오키프 교수는 내가 옥스퍼드대 박사학위 논문심사를 받을 때 외부 심사위원으로 참석해 준 인연이 있다. 나는 신경계에서의 정보처리 기전과 기억 저장 이론에 대해 관심이 많았고, ... ...
- [2014 노벨 물리학상] ‘빛의 혁명’ 선물한 과학자들2014.10.07
- 소자가 개발됐지만 파란색과 초록색 LED는 좀처럼 만들어지지 않았다. 윤의준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아카사키 교수의 제자였던 아마노 교수가 대학원생 시절 청색 LED 개발의 단서를 발견한 뒤 아카사키 교수가 1990년대 처음으로 청색 LED를 개발했다”면서 “이후 나카무라 교수가 청색 LED를 ... ...
- 항공인의 꿈, 직업 현장에서 키워요~동아사이언스 l2014.10.07
- 견학과 파일럿 인터뷰,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기계공학부 연구실 탐방 등을 하게 된다. 특히 한국항공대학교에서는 요즘 이슈가 되고 있는 무인항공기 드론의 연구 현장을 방문, 송용규 첨단무인기 연구센터장의 강연을 듣고 각종 드론을 직접 조종해볼 예정이다. 또한, 경기영어마을에서 ... ...
- [2014 노벨 생리의학상] ‘뇌 속 GPS’ 발견한 뇌 신경과학자들 수상2014.10.07
- 인지할 수 있게 해준다. 오키프 교수에게 박사 논문을 심사 받은 곽지현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는 “오키프 교수의 발견으로 해마가 기억뿐 아니라 장소 정보를 처리한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됐다”고 설명했다. 2014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마이브리트 모세르 교수(왼쪽)와 에드바르드 모세르 ... ...
- 헉! 전자기파 쪼이니 체세포가 줄기세포 되네2014.10.06
- 체세포를 줄기세포로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김종필 동국대 의생명공학과 교수팀은 전자기파를 이용해 유도만능줄기세포(iPS세포)를 효율적으로 만들어내는 방법을 개발하고 나노분야 학술지 ‘ACS 나노’ 10월호에 발표했다. 전자기파를 의료분야에 이용하려는 시도는 꾸준히 ... ...
- 우뭇가사리로 자동차 연료 만든다2014.10.05
- 쓰이는 우뭇가사리로 바이오연료를 만들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생명공학과 김경헌, 최인걸 교수팀은 우뭇가사리를 포함하는 홍조류의 주성분인 한천 무수당을 발효시키는 원리를 알아내고 환경미생물 분야 국제 학술지 ‘환경 미생물학’ 9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우뭇가사리를 ... ...
- 40cm ‘조종사 로봇’으로 비행기 조종 세계 첫 성공2014.10.03
- 기자 enhanced@donga.com 제공 ●5km 스스로 조종해 5분간 비행 첫 성공 1일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심현철 교수 연구실. 키 40cm 정도 되는 소형 로봇이 컴퓨터 화면에 나타난 비행 시뮬레이터에 맞춰 한창 조종 훈련 중이었다. 이 시뮬레이터는 실제 조종사 훈련용으로 사용되는 정밀 프로그램이다. ... ...
- 차세대 OLED TV, 기존 대비 3배 밝게 만드는 기술 개발2014.10.01
- 같은 제품의 성능이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송명훈 울산과학기술대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전자부품연구원, KAIST, 충남대, 영국 케임브리지대, 임페리얼 칼리지가 참여한 공동연구를 통해 고분자 유기발광소자의 효율을 기존보다 3배 이상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1일 밝혔다. 고분자를 ... ...
- [사이언스 브리핑]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0월 수상자 발표 외2014.10.01
- 교수 - 한국연구재단 제공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은 김종만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를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0월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1일 밝혔다. 김종만 교수는 ‘땀구멍 지도’를 이용한 새로운 지문분석법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사람마다 지문처럼 고유한 땀구멍 패턴을 ... ...
이전7887897907917927937947957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