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71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교대근무와 암 위험성’이라는 제목이다. 저자 가운데 한 명인 미국 텍사스대 생의
공학
과 마이클 스몰렌스키 교수에서 논문 요청 e메일을 보냈더니 논문과 함께 읽어보면 도움이 될 거라며 자신이 쓴 서평도 보내줬다. 지난해 출간된 ‘인간 유방암과 전립선암의 새로운 위험인자로서의 빛공해 ... ...
[부고]최순달 KAIST 명예 교수
2014.10.19
대구 출생인 고인은 대구공업고와 서울대 전기
공학
과를 거쳐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전자
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내 인공위성 1세대 전문가로 한국전기통신연구소(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대 소장, 체신부 장관,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초대 소장 등을 역임했다. TDX 전전자(全電子) 교환기를 ... ...
‘네이처’가 KAIST의 ‘에듀케이션 3.0’ 주목한 까닭
2014.10.19
수업에서는 교수와 학생, 학생과 학생간의 토론만 이루어진다. 이태억 KAIST 산업및시스템
공학
과 교수는 “이런 시도가 학생들의 창의성과 협업 능력을 극대화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10월 17일자 사이언스 표지 - 사이언스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는 격렬하게 폭발하고 있는 태양이 ... ...
‘한국판 퀴리 부인’ 찾아보니…
2014.10.17
과학자가 있다. 김윤희 경상대 화학과 교수(50)와 현재 총장으로 있는 권순기 나노·신소재
공학
부 교수(55)가 그 주인공이다. 두 사람은 KAIST 연구실 동문으로 20대에 박사학위를 받았다는 공통점도 있다. 아내인 김 교수가 주목받는 이유는 ‘특허의 귀재’라는 점 때문이다. 그는 미래창조과학부가 ... ...
인공신경망 화상인식 시스템 세계 최초 개발
2014.10.15
수 있는 화상인식 시스템이 개발됐다. 이병근 광주과학기술원(GIST) 기전
공학
부 교수팀은 학습능력을 지닌 화상인식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현재의 컴퓨터는 연산을 담당하는 중앙처리장치(CPU)와 기억하는 기능을 지닌 메모리가 나눠져 있어 데이터 처리 속도가 ... ...
전자회로 끊어지면 레이저 포인터로 딱 2분만!
2014.10.15
애프터서비스(AS) 관리 측면에서 앞 다퉈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KAIST 생명화학
공학
과 박정기·김희탁 교수는 성균관대 성균나노과학기술원(SAINT) 이승우 교수팀과 빛을 이용한 자기회복 전기회로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빛의 편광 방향과 나란하게 움직이는 ... ...
조광래 연구위원, 항우硏 신임 원장 선임
2014.10.15
조광래 항우연, 박경엽 전기연, 이규호 화학연 신임 원장(왼쪽부터)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제공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15일 열린 제9회 ... 1977년 화학연에 들어온 신임 이 원장은 1984년 미국 아이오와대에서 화학및재료
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화학연에서 응용화학 연구부장을 지냈다.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언급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박사학위를 받은 과학자의 4분의 1 이상이 과학이나
공학
분야에서 일하는 배우자를 두고 있다고. 1993년에는 이런 비율이 5분의 1이었다고 한다. 필자생각에 이공계 여학생의 비율이 높아진 게 주요 원인이 아닐까 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도 비슷한 경향을 보이지 않을까 ... ...
둘 중 누가 사람이고, 누가 로봇일까요?
2014.10.12
든다는 것이다. 이번 주 사이언스는 이 ‘불쾌한 골짜기’를 극복하려는 로봇
공학
자들의 노력을 소개했다. 앞으로 인간과 로봇이 함께 살기 위해서는 이런 감정을 반드시 극복해야 하기 때문이다. 기사에서는 미국에서 개발한 로봇 ‘벡스터’를 예로 들었다. 로봇의 얼굴에는 스크린이 ... ...
뱀이 모래언덕 어떻게 기어오르나 보니
2014.10.12
원리를 밝히고 로봇에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 조지아공대 물리학과와 카네기멜론대 로봇
공학
과, 그리고 애틀란타 동물원 공동연구팀은 모래에 빠지지 않고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로봇을 만들기 위해 사막에 사는 뱀이 모래언덕을 오르는 모습에 주목했다. 이런 로봇을 만들려면 뱀처럼 몸을 ... ...
이전
787
788
789
790
791
792
793
794
7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