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차세대 OLED TV, 기존 대비 3배 밝게 만드는 기술 개발2014.10.01
- 같은 제품의 성능이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송명훈 울산과학기술대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전자부품연구원, KAIST, 충남대, 영국 케임브리지대, 임페리얼 칼리지가 참여한 공동연구를 통해 고분자 유기발광소자의 효율을 기존보다 3배 이상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1일 밝혔다. 고분자를 ... ...
- [사이언스 브리핑]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0월 수상자 발표 외2014.10.01
- 교수 - 한국연구재단 제공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은 김종만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를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0월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1일 밝혔다. 김종만 교수는 ‘땀구멍 지도’를 이용한 새로운 지문분석법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사람마다 지문처럼 고유한 땀구멍 패턴을 ... ...
- 과학♥만화 연애한지 10년째 되는 날어린이과학동아 l2014.09.30
- 확인하고는 이내 안심한다. 2004년 창간 때부터 독자였던 이호용(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석사과정) 학생은 “어과동의 재미에 푹 빠져서 중학생이 되어서도 계속 봤어요. 자연스럽게 과학에 흥미를 느껴 과학고에 진학했고, 지금은 로봇을 만드는 과학자가 되기 위해 대학원에서 열심히 공부하고 ... ...
- 가볍고 휘어도 OK… ‘종이 배터리’ 개발됐다2014.09.30
- 이선영 목재가공과 연구관팀과 울산과학기술대(UNIST) 이상영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팀은 공동으로 셀룰로오스로 만든 종이 분리막과 전극을 이용해 휘어지는 배터리를 구현할 수 있었다고 9월 30일 밝혔다. 종이의 원료인 셀룰로오스는 나무의 주성분인데, 연구진은 셀룰로오스 입자를 나노 ...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미래 모습이 궁금하면 과천 가 보세요2014.09.28
- 이미 산업에서는 빼 놓을 수 없는 존재가 돼 있다. 게다가 그가 1942년에 내 놓은 로봇공학의 3원칙 역시 현실에서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립과천과학관 제공 미래가 궁금하면 SF소설을 보는 것이 한 가지 방법. 아니면 미래를 적극적으로 예측하고 보여주는 방법도 여러가지가 있다. 마침 ... ...
- 세균온상 스마트폰 안심하고 쓰는 기술 개발됐다2014.09.28
- 제품을 써야 했기 때문에 국내 관련산업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충남대 재료공학과 윤순길 교수팀은 은 나노입자보다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항균특성을 보이는 아연 나노입자를 활용해 터치에 강하고 내구성도 향상된 항균 유리패널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스마트폰 터치 패널은 ... ...
- 아프리카 원주민 같나요? 모기 발바닥 끝이랍니다과학동아 l2014.09.26
- 의과학연구정보센터 제공 ▲인공위성과 우주인(김종문 서울 구남초·일반부 바이오공학상) 언젠가 지구 상공 3만5800km를 돌게 될 대한민국의 정지궤도위성 초록별 11호는 이렇게 생겼을까. 태양전지판이 방사형으로 8개 달려 있으며 작은 우주정거장 역할도 한다. 사진에는 우주인 4명이 우주 ... ...
- [연구실에서 시장으로(下)] 좋은 아이디어, 좋은 기술이 ‘차세대 먹을거리’ 의료 시장 이끈다2014.09.25
- 휴대용 장비를 개발해 사업화를 앞두고 있다. - KAIST 제공 배현민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팀이 개발한 ‘근적외선 뇌 영상장치’는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작으면서도 해상도가 뛰어나고 가격 역시 싼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뇌졸중을 진단하려면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 ...
- “학부 3학년부터 실험실 생활 시작했죠”2014.09.24
- 논문을 발표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특히 이 논문은 이탈리아 제노아에서 열린 유럽 조직공학 국제재생의학학회에서도 발표됐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은 손상된 뼈 조직에서 뼈세포의 재생을 촉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손상된 조직을 재생할 때 쓰는 인체이식물질의 표면에 돌기를 달아 ... ...
- “싱크홀 탐사 레이더와 로봇 적극적으로 개발해야”2014.09.24
- 안정적인 지원과 투자가 필요하다”고도 말했다. 25일에는 대한지질학회와 대한지질공학회가 공동으로 서울대 호암교수회관에서 ‘지질학적 관점에서 본 싱크홀과 지반침하의 원인 및 대책’ 포럼을 개최한다. 김준모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지반 변화와 지하수 변동을 관측하는 ... ...
이전7897907917927937947957967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