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폭풍성장 사춘기의 몸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진료를 통해 10대 청소년들과 만나고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뇌 유전자 호르몬, 요즘 사춘기Part 1. 진화하는 사춘기 이론Part 2. 폭풍성장 사춘기의 몸Part 3. 직접 들어본 요즘 사춘기Part 4. ‘어른아이’의 진화생물학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Part 6. ‘키스’로 시작 그들의 ... ...
- Part 6. ‘키스’로 시작 그들의 性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자신의 젠더를 찾도록 돕는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뇌 유전자 호르몬, 요즘 사춘기Part 1. 진화하는 사춘기 이론Part 2. 폭풍성장 사춘기의 몸Part 3. 직접 들어본 요즘 사춘기Part 4. ‘어른아이’의 진화생물학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Part 6. ‘키스’로 시작 그들의 ... ...
- [Culture] 매, 매, 매운맛을 주세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분석해 계통학적으로 얼마나 가까운지 분석했다. 또 화석에 남아 있는 고대 고추의 유전체도 분석해 품종 간 분화 지도를 그렸다. 그 결과 약 1500만 년 전 고대 고추가 아히가 속한 카프시쿰 바카툼(Capsicum baccatum)과 부트 졸로키아가 속한 카프시쿰 치넨세로 분화했고, 약 47만 년 전 카프시쿰 ... ...
- Part 4. ‘어른아이’의 진화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역습’ ‘여성의 진화’를 번역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뇌 유전자 호르몬, 요즘 사춘기Part 1. 진화하는 사춘기 이론Part 2. 폭풍성장 사춘기의 몸Part 3. 직접 들어본 요즘 사춘기Part 4. ‘어른아이’의 진화생물학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Part 6. ‘키스’로 시작 그들의 性Part ..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홀로그램 연구에서는 독보적이다. 윤성로 교수팀은 최근 생명과학계의 ‘핫이슈’인 유전자 가위의 효율을 인공지능으로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의사이기도 한 서종모 교수는 인공망막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하고 있다. 이종호 교수는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 ...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생명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인류가 탄생한 수백 만년 전부터 지금까지 풀지 못한 난제입니다. 과학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생명 현상을 분석하려고 노력 ...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있다. DNA를 읽고, 쓰고, 고치는 분자적 기법을 균류에 적용해 균류유전체의 특성을 연구하고 있다 ... ...
- [이투스교육] 지각과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바탕으로 단백질의 합성에 관여한다. DNA와 RNA의 구조와 기능은 아래 표로 정리했다. 유전 정보를 저장하는 DNA는 아데닌(A), 타이민(T), 구아닌(G), 사이토신(C) 등 네 가지 염기로 구성된다. 네 가지 염기는 이중나선 구조를 이루며 특정 염기들이 서로 결합(A와 T, G와 C)을 하는데, 이런 결합을 상보적 ... ...
- 오일러를 앞선 최석정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분야의 실험을 디자인하는 데 활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20세기 초 영국의 통계학자이자 유전학자인 로널드 피셔는 4차 직교라틴방진을 이용해 토질이 다른 밭에서 가장 잘 자라는 씨앗과 최적의 비료를 가장 적은 실험횟수로 알아내는 방법을 설계했습니다. 2007년까지만 해도 해외에서는 ... ...
- [과학뉴스] 자폐증 일으키는 유전자 ‘삼돌이’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연구진은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 3만2000명을 대상으로 대규모 연구를 진행한 결과 삼돌이 유전자가 자폐증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월 16일자에 실렸다. doi:10.1073/pnas.170766311 ... ...
- [Origin] 피 한방울 이즈 베리 임폴턴트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검출하는 데도 유용하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의 경우 고감도 진단을 위해서는 유전자증폭기술(PCR)로 사전처리를 해야 하는데, 양자점을 이용하면 바이러스를 바로 검출하는 고감도 키트를 개발할 수 있다. 전 교수는 “고감도 검출 키트를 이용하면 아주 적은 양의 바이오마커도 검출해 질병을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