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몸무게 3kg만 달라져도 생체분자 바뀐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나왔다. 마이클 스나이더 미국 스탠퍼드대 유전학과 교수팀은 실험참가자 23명의 유전체와 단백질, 대사물질, 미생물 구성 등 분자 정보를 수집하고 몸무게 증감에 따른 이들의 변화를 분석했다. 생명 현상과 관련된 대량의 정보를 컴퓨터로 분석해 전체적인 생명 현상을 파악하는 ‘오믹스’기술을 ... ...
-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잊을 만하면 찾아오는 조류인플루엔자(AI)와 구제역. 지난해 11월 전북 고창을 시작으로 올해 1월 12일 기준 고병원성 AI 14건이 발생했다. 닭과 오리 ... 유전자는 찾지 못했다. 변 농업연구사는 “장기적으로는 AI 등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 유전자를 집중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 [Origin] 몸 밖의 몸,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4@cam.ac.uk영국 케임브리지대 줄기세포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생쥐 유전모델과 오가노이드, 그리고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해 암 발생 과정에서 암 세포와 주변 정상세포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있다 ... ...
- [과학뉴스] 빨리 오고, 예측 빗나가고 올해 독감, 왜 이리 독한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동시에 유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례적이다. 독감을 유발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유전자의 구조나 단백질의 종류에 따라 A, B, C형으로 나뉜다. 이 중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종류는 A형과 B형이다. 보통 겨울에 A형 독감이 지나고 나면 봄에 B형 독감이 유행하지만, 올해는 초겨울부터 A형과 ... ...
- [종목2] 스켈레톤, 세계랭킹 1위 도운 DNA 훈련법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있는 체질”이라고 말했다. 근육량 균형 맞추고 최적의 피로회복 방법 개발연구팀은 유전자 검사 외에도 선수별로 근육 발달 상태를 분석해 맞춤형 훈련법을 제시했다. 윤성빈 선수의 경우 양쪽 다리 근육에 균형을 잡아 줄 필요가 있었다. 근육량을 측정해보니 왼쪽 다리의 근육이 오른쪽보다 20 ... ...
- [Future] ‘불멸의 삶’ 한국 상륙,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서식하는 물고기는 혈액이 얼어 죽는 일이 없다. 진화적으로 저온에서 얼지 않는 유전자를 지녔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이들 물고기에서 분리한 ‘결빙방지단백질(AFP)’, 북극 효모로부터 분리한 ‘얼음결합단백질(IBP)’ 등을 실험실에서 배양했다. 이들을 섞어 만든 특수용액을 동결 과정에 ... ...
- [인터뷰] 장서현 “과학동아가 면접에 결정적인 도움 됐어요”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내용이 주어졌고, 어떻게 하면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지 물었다. 장 씨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로 치료 방법을 설명했다. 그러자 교수가 고등학교에서 배우지 않는 내용을 어떻게 알고 있는지에 대해 질문했고, 장 씨는 과학동아에서 본 내용이라고 답했다고. “실제로 면접 때 과학동아에서 본 ... ...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나타낼 수 있다. 권 센터장은 “EPO와 관련된 유전자 도핑을 적발하는 기술을 준비했지만 유전자 도핑이 실현될 가능성이 낮아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적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으로 金빛 질주, 국가대표 사이언스[종목1]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점입니다. 이를 통해 아빠에게서 받은 염색체와 엄마에게서 받은 염색체 사이에 유전물질 교환이 이뤄집니다. 염색체 수 확인하는 셀프 시스템그런데 흥미롭게도 정모세포와 난모세포가 각각 감수분열로 만들어낸 생식세포 수가 다릅니다. 정모세포가 감수분열을 해서 4개의 정자를 만들어내는 ... ...
- [Issue] 설마 내가 우울증? 우울증 검사 직접 받아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특징을 보인다. 망상이나 환각을 보는 ‘정신병적 우울증’도 있다. 학계에서는 유전자나 호르몬, 뇌의 특정 부위 변화 등으로 우울증을 진단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해왔다. 가령 멜랑콜리아 우울증의 경우 다른 우울증에 비해 렘(REM) 수면에 돌입하기 전까지 걸리는 시간, 즉 렘 수면 잠복기가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