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무술년 ‘황금 개’의 해 과학으로 풀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white foal syndrome)과도 관련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Can Vet J. 2010 Jun; 51(6): 653-657). 요즘은 유전자 검사가 워낙 발전해서 털 색깔 정도는 태어나기 전에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데이터를 쌓아야 한다. 신 대표는 “사물인터넷(IoT)과 웨어러블 기술을 접목해서 개인의 유전체 정보와 생활습관, 질병 이력 등을 꾸준히 추적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나의, 나에의한, 나를위한 개인의 과학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Part 2.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자멸하면서 동시에 주변 세포들의 분열을 돕는 단백질을 분비하기 때문입니다. 카스파제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긴 쥐를 보면 간의 재생 능력이 떨어지는 것도 같은 이유죠.doi:10.1136/gut.2009.204354 세포가 무작위로 증식하는 병인 암(癌)도 세포 자멸의 비자율적 효과와 관련이 있습니다. 암의 높은 ... ...
- Part 1. 현대 기술로 재탄생한 반 고흐의 그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연구팀은 DNA를 이용해 동전 크기의 을 만들었지요.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물질인 DNA는 A, G, C, T의 네 종류의 염기로 구성되어 있어요. A와 T, G와 C 이렇게 두 종류씩 짝을 이뤄 단단히 결합하는데, 이 결합을 이용하면 긴 DNA가닥을 다양한 형태로 접을 수 있지요. 이를 ‘DNA ... ...
- Part 1. 1998~2018, 해시태그로 본 20년의 기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우주에서 장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도 나왔다. 우주 공간에서 보낸 1년간 스콧의 유전자 기대수명이 길어졌기 때문이다. DNA의 말단에 달린 ‘텔로미어’는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점점 길이가 짧아진다. 즉 텔로미어의 길이가 짧을수록 노화했다는 의미다. 스콧의 텔로미어 길이는 지상에 있던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많은 연구를 통해 빛으로 조절이 가능한 다른 이온채널들의 개발이 이뤄지고 있고, 광유전학 기법을 이용해 뇌 영역과 신경회로의 기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질병이나 특정 행동의 원인을 밝히고, 나아가 빛을 이용해 난치성 질병을 치료하는 미래를 위해 ... ...
- 전세계에 수학덕심 퍼뜨리기 전염병주식회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실제로 천연두는 지구에서 사라진 단 2개의 전염병 중 하나입니다. 예방백신은 물론 유전정보인 게놈까지 해독했을 정도로 연구가 되어있죠. 여기서 빼놓을 수 없는 수학자가 있습니다. 수 많은 수학자를 배출한 집안 베르누이가의 다니엘 베르누이예요. 물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베르누이 ... ...
- Part 2. 에 숨겨진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겹 해바라기의 유전자도 분석해 봤지요. 그 결과, 꽃잎의 모양을 결정하는 유전자에서 돌연변이를 발견할 수 있었답니다. 해바라기가 점점 시들고 있다?!반 고흐는 그림에 노란색을 많이 사용했어요. 특히 는 꽃과 배경, 화병까지 모두 노란색 계열로 칠해져 있지요. 그런데 그림 속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선택과 집중 필요인공장기 기술은 대표적인 융복합 연구 분야다. 인간과 동물의 유전적 특징을 자세하게 밝혀내는 기초과학 연구에서 시작해 생명공학, 의료공학 등 공학 분야와 두루 협력해야 실현이 가능하다. 대학과 병원, 산업계의 협력이 필수다. 인공장기 기술은 향후 사회적으로나 ... ...
- [과학뉴스] 모래 한 알에 미생물 10만 개과학동아 l2018년 01호
- ISME Journal)’ 2017년 12월 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모래알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지름이 202~63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인 모래 입자에서 1만~10만 개에 이르는 미생물을 발견했다. 모래 한 알이 미생물에게는 수만 명이 사는 ‘대도시’인 셈이다. 게다가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