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미터"(으)로 총 2,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리튬이온전지 속 미세 구조물 간격 바꿔 이온 이동량 3.4배까지 높였다동아사이언스 l2021.04.05
- 음극, 나노 다공성 막으로 이뤄진 전지를 얇게 잘라냈다. 양극과 음극에는 100㎛(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 분의 1m) 크기의 미세 구조물들이 약 100㎛ 간격으로 균일하게 배치돼 있다. 연구팀은 이 간격을 80㎛, 90㎛, 110㎛ 등으로 바꿔 균일하지 않게 배치한 후 이온 이동량의 변화를 관찰했다. 그 ... ...
- [표지로 읽는 과학] 단백질 설계 인간계 ‘지존’이 만든 ‘항체 케이지’동아사이언스 l2021.04.04
- 항체와 단백질을 섞어 주기만 해도 알아서 효과적으로 결합하는 나노케이지(나노미터 크기의 주머니 구조) 형태의 ‘항체 케이지’를 찾아냈다. 연구팀이 설계한 48개 구조 가운데 4개가 이런 항체 케이지를 형성했다. 이들은 2면체, 4면체, 8면체 및 20면체 구조를 하고 있어 대칭을 이루며 접힐 수 ... ...
- 제4의 물질 ‘플라즈마’로 액체-기체 경계면 안정성 높인다동아사이언스 l2021.04.02
- 안정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실험으로 확인했다. 연구팀은 또 속력이 1초당 수십 킬로미터인 플라즈마 총알이 물 표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강한 전기장을 발생시켜 물 표면이 안정성을 높인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이를 통해 ‘플라즈마-물 이론 모델’을 만들었다. 최원호 교수는 "이번 연구는 ... ...
- [사이언스N사피엔스]시간과 공간이 아닌 시공간2021.04.01
- 초속 약 3억 미터)으로 날아간다 하더라도 수명이 백만 분의 2초니까 비행거리가 겨우 600미터에 불과하다. 많은 수의 뮤온이 대기 상층에서 만들어지더라도 대부분은 금세 다른 입자들로 붕괴해 버리기 때문에 지표면까지 도달하는 뮤온의 개수는 극히 적다. 실제 실험에서는 예상보다 훨씬 많은 ... ...
- 3D 프린팅으로 나노미터 구조물 수천개 동시에 짓는다동아사이언스 l2021.04.01
- 이 정전기 렌즈를 통해 뒤이어 도달하는 나노입자들을 구멍 중심으로 집중시켜 100나노미터 크기의 에어로졸로 집속시키는 원리를 3D 프린팅 기술에 활용했다. 특히 3D 나노 구조물을 한 번에 수천개 이상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이 개발한 3D 나노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면 3D 나노 ... ...
- '미세먼지 심할 땐 힘든 운동 피하세요' 젊은층에 역효과·혈관질환 위험 높여동아사이언스 l2021.03.30
- 국제학술지 ‘유럽심장저널’에 발표했다. 미세먼지(PM10)는 입자 크기가 10㎛(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 이하인 먼지다. 미세먼지 중 입자가 2.5㎛ 이하면 초미세먼지(PM2.5)로 분류된다. 미세먼지는 심혈관질환을 일으키는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규칙적인 운동은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 ...
- 식중독균 30초만에 잡아 1분내 검출한다동아사이언스 l2021.03.29
- 섬모 구조체를 만들었다. 나노 섬모 구조체는 박테리아가 잘 달라붙도록 길이 5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인 나노 필라멘트에 수십nm 수준의 털이 달린 형태를 하고 있다. 연구진은 여기에 살아있는 박테리아에서 나오는 효소를 분해해 형광 신호를 내는 형광 유전자 프로브도 결합해 ... ...
- 중국 내몽골·몽골서 시작한 황사 북서풍 타고 한반도로…30일까지 이어져동아사이언스 l2021.03.29
- 시설물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다. 미세먼지(PM10)는 지름 10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 이하인 입자다. 29일 10시 기준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는 1시간 평균 726㎍/㎥이다. 그 외 수도권인 수원 438㎍/㎥, 강화 616㎍/㎥으로 관측된다. 서청주 967㎍/㎥, 흑산도 954㎍/㎥, 군산 901 서청주 ... ...
- [과기원은 지금] 김도현 KAIST 교수, 마이크로섬유 대량생산 공정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1.03.25
- UNIST)은 24일 남궁선 물리학과 교수와 미국 미네소타대 연구팀이 10nm(나노미터10억분의 1m) 이하 채널을 갖는 초미세 반도체 전극과 2차원 반도체 소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반도체 안의 패턴을 빛으로 그리는 공정이 필요없어 대량생산에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
- 인공 미니 뇌 활동, 정밀하게 측정한다동아사이언스 l2021.03.24
- 성균관대와 KAIST팀 등도 함께 연구에 참여했다. 이번에 개발된 소자는 5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크기의 전극이 25개 달린 형태다. 작은 발열체를 가지고 있어 전기 자극을 주는 전극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광유전학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소형 발광다이오드(LED) 조명도 달려있다.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