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5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UNIST, '나노주름' 관찰·제어 동시 가능한 나노현미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UNIST)은 박경덕 물리학과 교수팀이 2차원 반도체에서 나타나는 ‘나노주름’을 nm(나노
미터
10억분의 1m) 수준의 정밀도로 관찰할 수 있는 ‘능동형 탐침 증강 광발광 나노현미경’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현미경을 이용하면 반도체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나노주름을 15nm ... ...
3D프린팅으로 만든 인공 폐로 코로나 백신 개발에 사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온-디맨드’ 방식의 고정밀 잉크젯 바이오 프린팅을 이용해 적층한 뒤 약 10μm(마이크로
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로 두께가 얇은 3층 구조의 폐포 장벽을 생성해 인공 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드롭 온 디맨드는 잉크젯 카트리지에 가하는 압력으로 초미세 잉크 방울을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 ...
한달내 자연에서 분해되는 KF94 마스크용 필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있어 여러 번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개발한 필터는 초미세먼지 기준인 2.5마이크로
미터
(㎛·100만 분의 1m) 크기 입자 98.3%를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마스크 표준 기준인 N95(0.3㎛ 크기 입자 95% 차단)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한국 기준인 KF94와도 비슷한 수준”이라고 ... ...
포항공대 3차원 프린팅으로 실험용 인공 폐 개발
연합뉴스
l
2021.03.22
"바이오 프린팅을 이용해 세포를 프린팅하고 조직을 제작하고 있지만, 약 10㎛(마이크로
미터
) 두께의 3층 구조를 가진 폐포 장벽을 모사한 것은 세계 최초"라며 "이번에 만든 인공 조직은 대량생산·품질 관리가 가능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비롯한 전염성 호흡기 바이러스에 ... ...
‘빅뱅 머신’ LHC, 10년 간 힉스 포함 59개 새 입자 발견…국내 중소기업 역할 톡톡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반도체 검출기가 대형 포일처럼 감싸고 있다. 이 검출기 표면에는 지름 70μm(마이크로
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로 머리카락 한 올 두께의 미세한 구멍이 촘촘히 뚫려 있다. 이 구멍 사이로 자기장이 흘러 뮤온 입자를 재빨리 잡아낸다. 양 교수는 “대형 포일 세겹이 검출기를 감싸 10억 분의 1초 만에 ... ...
여자 화장실의 뱀, 공포와 경악
팝뉴스
l
2021.03.20
펼쳐졌다. 여자 화장실 변기 속에 뱀이 똬리를 틀고 있었다. 보통 뱀도 아니고, 약 4
미터
길이의 커다란 뱀이었다. 최근 호주 찰스 다윈 국립공원의 여자 화장실에서 일어난 사건이었다. 호주에 서식하는 뱀 중 두 번째로 큰 종류인 ‘올리브 비단뱀’ 한 마리가 변기에 들어갔고, 공원 관리인이 ... ...
2차원 반도체 소재 결함 없앴다…단결정 대면적 합성법 개발
연합뉴스
l
2021.03.18
만들기 위해서는 원자 수준의 결정들을 한 방향으로 정렬시켜야 한다. 연구진은 나노
미터
(㎚·10억분의 1m)급 두께의 2차원 반도체 소재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TMD)이 톱니 모양 표면의 금 기판 위에서 단결정 합성하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어 TMD 결정 방향이 금 기판 톱니 표면과 나란할 때 가장 ... ...
초음파로 코로나19 바이러스 부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주파수 크기의 2배였다. 위어즈비키 교수는 "스파이크 단백질은 높이가 약 10㎚(나노
미터
·100만분의 1㎜)로 워낙 작고 구성 성분을 전부 알 수 없어서 모델링할 때 많은 가정이 필요하다"며 "향후 돼지에게서 나타나는 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TGEV)를 대상으로 초음파 노출 시간 등 어떤 요소가 ... ...
기계연, 세계 최고 수준 효율·안전성 가진 태양전지 개발
연합뉴스
l
2021.03.17
물질을 여러 층 쌓아야 한다.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로 주목받는 양자점은 10㎚(나노
미터
·100만분의 1㎜) 이하의 반도체성 결정 입자로, 크기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반도체 물성을 바꿀 수 있어 다층 흡수체를 만드는 데 매우 유리하다. 기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판 위에 ... ...
전국 곳곳 황사 영향 미세먼지 나쁨 수준…18일까지 황사 이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황사의 영향으로 미세먼지(PM10)도 수도권 대부분 지역에서 매우 나쁨 수준 농도인 세제곱
미터
당 150㎍ 이상을 기록했다. 입자가 큰 황사는 미세먼지에 영향을 준다. 중국 베이징에 10년 만의 최악의 황사를 일으킨 모래바람이 한국을 덮친 결과다. 기상청에 따르면 14일부터 내몽골고원과 중국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