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56건 검색되었습니다.
돼지 이어 원숭이 뇌에 칩 심은 일론 머스크, 생각으로 게임하는 원숭이 곧 공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시제품 ‘V2’도 함께 선보였다. 머스크는 이 로봇이 1시간 안에 뇌 속에 지름 5마이크로
미터
(㎛·100만 분의 1m) 미세 전극 1024개를 심을 수 있다고 밝혔다. 뉴럴링크는 칩 이식을 라식 수술만큼 간단하고 안전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사람 뇌에 무선 칩을 심겠다는 머스크 계획은 ... ...
물을 토하는 변기
팝뉴스
l
2021.02.02
해외 SNS 화제의 영상은 물을 토해내는 변기의 모습을 담고 있다. 물줄기는 강력하다. 2
미터
이상으로 물이 날아갔다. 화제의 변기는 한 사람이 영원히 잊지 못할 악몽을 남길 수 있다는 평가는 받는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 ...
시스템반도체 R&D에 올해 2400억원 투입…“제2 D램 신화 이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1
NPU 등을 개발할 수 있는 AI 반도체를 설계하고, 이를 구현할 신소자를 발굴한다. 10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이하의 초미세공정으로 AI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는 장비 기술도 지원한다. 정부는 미래 컴퓨팅 패러다임을 바꿀 기술로 평가받는 PMI(Processing in Memory·메모리 프로세서 통합) 기술도 ... ...
동물 행동 조종하는 ‘뇌세포 리모컨’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9
만든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들어진 피에조 이온 채널에 특수 주사기로 크기가 500nm(나노
미터
·10억분의 1m)인 나노나침반을 붙였다. 피에조 이온 채널을 열고 닫기 위해서는 1~10피코뉴턴(pN·1피코뉴턴은 1조분의 1뉴턴)에 해당하는 힘이 필요하다. 힘이 이보다 작으면 이온 채널이 작동하지 않고 크면 ... ...
인공 뇌 신경회로 분석할 3D 전극시스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8
뇌 회로를 찾아낼 수 있게 된다. KIST 제공 연구팀은 머리카락 절반 두께인 50마이크로
미터
(㎛·100만 분의 1m) 두께 실리콘 탐침 63개로 구성된 측정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를 인공 뇌에 꽂으면 탐침에 달린 전극이 뇌의 신호를 측정한다. 탐침 내부에는 광섬유와 약물 전달 통로가 설계돼 있어 ... ...
[랩큐멘터리]구글·인텔도 뛰어든 양자컴퓨터 세계로 '퀀텀점프'
동아사이언스
l
2021.01.28
나노
미터
(nm·10억분의 1m) 크기로 줄어들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는 양자역학은 실생활에서는 결코 느끼기 힘든 연구 분야다. 인간의 직관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다양한 현상을 설명하는 최신 물리학이지만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분야가 많다. 하지만 초전도체나 양자컴퓨터처럼 인류의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mRNA는 어떻게 백신으로 개발되었고 무엇을 더 할 수 있는가
2021.01.27
오래 머무를 수 있게 도와준다. 이렇게 만들어진 지질나노입자는 보통 지름 100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정도로, 바이러스 입자와 비슷한 크기이다. RNA 백신의 장점과 한계 코로나19 백신의 사례에서 보았듯, mRNA 백신의 장점은 무엇보다 신속성과 유연성이다. 병원체의 유전자 정보만 알면 ... ...
피부에 붙이면 1분안에 마약성분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7
장착했다. 누에고치에서 얻은 천연 단백질을 정제해 용액으로 만들고 이를 두께가 160나노
미터
(nm·10억 분의 1m) 필름 형태로 만들었다. 필름 위에 마약 성분에서 나타나는 라만 신호를 증폭시킬 때 필요한 250nm 두께의 나노선을 달아 피부에 붙일 수 있는 패치형 센서를 만들었다. 이 패치를 피부에 ... ...
혈관·피부·근육 쉽게 만드는 세포 공장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7
미국 기업인 코닝이 개발한 트랜스웰(Transwell)이 주로 쓰였다. 트랜스웰은 μm(마이크로
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 수준의 작은 구멍이 여러 개 뚫린 얇은 막을 사이에 두고 세포를 함께 키우도록 설계됐다. 하지만 막 구멍의 밀도가 낮고 막 두께가 수십μm 정도로 세포 사이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 ...
초미시 세계 관찰하는 기술로 물질 만드는 근본 힘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7
밝히는 대형이온충돌실험(ALICE·앨리스)을 수행하는 국내 7개 연구팀이 1펨토
미터
(1펨토
미터
는 1000조 분의 1m) 규모의 초미시 세계를 관찰하는 ‘펨토스코피’ 기술로 강입자인 오메가 입자와 양성자 사이의 강력을 정밀하게 측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앨리스는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의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