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③ 아인슈타인은 실수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199904
올린 정보가 완벽하게 똑같다면 이해가 갈 수 있겠는가?이러한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미국
의 천체물리학자 앨런 구스는 인플레이션 우주론을 도입했다. 인플레이션이라는 말은 (표2)에서 보는 것처럼 태초 어느 순간 우주가 갑자기 엄청나게 커진 것을 의미한다. 즉 처음에는 느리게 팽창하다가 ... ...
1945년 노벨생리, 의학상 플레밍, 폴로리, 체인
과학동아
l
199904
원자폭탄을 개발하는 맨해튼 프로젝트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닐 정도의 소액이지만
미국
정부는 플로리와 체인의 호소에 부응하는 투자를 감행했다. 그 결과 대량생산에 성공한 페니실린은 1943년부터 전선에서, 1944년부터는 민간에서도 널리 사용돼 수많은 전염병 환자들의 생명과 건강을 지킬 수 ... ...
천문학자 밴 앨런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904
지구 밖 대기를 연구하려는 과학자의 이해가 맞아떨어진 것이다.마침내 1958년 1월 31일
미국
최초의 인공위성이 발사됐다. 그 안에는 밴 앨런이 만든 가이거계수기라는 측정장비도 들어있었다. 가이거계수기는 하전입자가 들어오면 고전압이 걸린 전극 사이에서 방전이 일어나는 원리를 이용해 ... ...
우주가 팽창한다
과학동아
l
199904
생각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80여년 동안 9번째 행성은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미국
의 천문학자 퍼시벌 로웨(1855-1916)도 9번째 행성을 찾아나선 사람 중 하나다. 보스턴의 부잣집에서 태어난 그는 1894년 애리조나주에 천문대를 세우고 9번째 행성을 찾아 나섰다. 그러나 'X 행성' (planet X)이라고 이름 ... ...
환자의 심리 상태 중시하는 의학
과학동아
l
199904
심신의학은 우리에게 다소 낯설지만 선진국에서는 이미 수십년 전부터 일반화된 용어다.
미국
과 영국의 경우 정신과 의사들이 심신의학을 주도하고 있다. 이들은 각 진료과에 들어가 환자의 상태에 대해 중요한 조언을 해준다. 이에 비해 독일의 심신의학은 내과의사가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 ...
사람 코 흉내내는 '인공 코' 등장
과학동아
l
199904
감지하는 센서 등. 그러나 다른 감각에 비해 후각은 아직 정복되지 않은 분야다.최근
미국
칼텍의 화학자 네이트 루이스와 연구팀은 최신 후각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앞으로의 전망을 밝게 했다. 인공 코가 실용화된다면 그 쓰임새는 매우 다양하다. 차의 브레이크액이 새는 것을 감지하고, ... ...
② 관측우주론의 딜레마, 자식보다 어린 부모?
과학동아
l
199904
설명할 수 있는 이론우주론이 나온 것은 1920년대이다. 현대우주론의 본격적인 장은
미국
의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1889-1953)에 의해 열렸다.허블은 1923-4년에 윌슨산 천문대의 1백인치 망원경(2.5m)을 사용해 얻은 관측자료를 조사해 안드로메다 성운에서 최초로 40개의 세페이드 변광성을 발견한 결과를 ... ...
순간의 역사를 담은 창 필름
과학동아
l
199904
했기 때문에 암실마차가 등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현대식 필름이 개발된 것은
미국
의 이스트만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그는 1888년 코닥사와 함께 필름 여러장을 감은 롤형식의 필름을 개발했다. 필름은 종이에 젤라틴 감광제를 바른 건판이었다. 필름 한장의 길이는 6.35cm였는데, 자그마치 ... ...
텔레비전의 등장
과학동아
l
199904
표현해내는 것이 바로 브라운관이다.브라운관의 위력을 눈치챈 사람은 러시아 출신의
미국
공학자 블라디미르 코스마 즈보리킨(1889 -1982)이었다. 그는 1924년 브라운관을 이용해 원시적인 전자식 텔레비전을 개발했다. 전자식 텔레비전의 진가를 알아본 곳은 즈보리킨이 일하던 웨스팅하우스사가 ... ...
Ⅱ. 분자세계의 좁은문 분리막
과학동아
l
199903
수도 있다는 생각을 했다. 이러한 생각의 밑바탕은 바닷물의 활용이 전제조건이다.1955년
미국
의 라이드와 브래톤은 투명한 얇은 필름을 만들었다. 이 필름을 이용해 소금농도가 3.5%인 바닷물을 분리시킨 결과 소금의 농도가 0.1%이하인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이필름을 그대로는 상업화할 수 없었다. ... ...
이전
790
791
792
793
794
795
796
797
7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