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Y2K 어떻게 해결하나
과학동아
l
199903
1줄을 고치는데 1달러가 들어간다고 한다. 이를 기준으로 하면 세계적으로 6천억달러,
미국
은 2천억달러, 우리나라는 90억달러가 Y2K를 수정하는데 들어간다.또 한가지 주목할 점은 컴퓨터를 사용한지 얼마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즉 1900년과 2000년을 혼동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는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 ...
현대판 '열려라 참깨' 염력은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03
고장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초심리학자들의 주장이다.한 걸음 더 나아가서
미국
의 딘 라딘은 염력효과가 우연에 대해 0.1% 범위에 머물 정도로 작지만 이것을 증폭시키는 방법을 발견하면 마음으로 제어되는 가전제품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라딘의 예상대로라면 2040년 전후에 ... ...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199903
쪽으로 치우친다는 것으로, 흔히 ‘아인슈타인의 편이’라고 불린다. 이것은 1925년
미국
의 천문학자 애덤스(1876-1956)가 시리우스 동반별의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 백색왜성에서 나오는 빛이 적색편이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입증됐다.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은 그동안 블랙홀 등 ... ...
봄의 불청객 황사
과학동아
l
199903
50%는 장거리까지 수송돼 한국, 일본, 태평양 등에 침전된다. 1998년 4월의 경우는
미국
까지도 수송된 것이 확인됐다.북태평양으로 유입되는 먼지는 주로 봄철에 대기 상층의 편서풍을 타고 아시아로부터 운반된 것으로 그 총량이 자그마치 2천만t에 달한다. 보통 북위 25-40도 지역이 황사의 가장 큰 ... ...
② 정보통신
과학동아
l
199903
관련 웹사이트로 통일원이 만든 웹사이트와 폴 바커(Paul Bakker)씨의 북한 방문 웹사이트,
미국
산호세 머큐리지 기자의 북한 방문 웹사이트 등이 북한 정보를 제공한다.북한의 정보화는 경제사정의 악화와 심각한 식량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드웨어 부문은 국내자본의 부족과 외국 투자 유치의 ... ...
잘 보는 것은 뇌 때문
과학동아
l
199903
명확한 상이 맺히는 것은 원추세포들의 규칙적인 정렬과 관계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미국
로체스터 대학 ‘적응광학’(adaptive optics) 연구팀은 레이저 시스템으로 눈의 안쪽을 세밀하게 그려내는 과정에서 이러한 사실을 발견했다.원추세포에는 짧은 파장의 파란빛을 볼 수 있게 하는 S세포와 중간 ... ...
대륙이 움직인다
과학동아
l
199903
사이에서 발견된 열극(해저산맥 사이로 길다랗게 벌어진 틈새)이다. 이를 바탕으로
미국
프린스턴대학 교수인 해리 헤스(1906-1969)는 1960년 대륙이동설과 맨틀대류설을 어두운 창고 속에서 다시 끄집어냈다. 그는 해저산맥은 맨틀물질이 상승해서 생긴다고 주장했다. 이어 1963년 영국 ... ...
Y2K 비상계엄 시나리오 5
과학동아
l
199903
식량부족 사태에 대비해 최소 2주일 분의 비상식량을 미리 비축하라고 당부하고 있다.
미국
적십자사도 국민들에게 2000년 1월에 있을지 모를 비상사태에 대해 준비할 사항을 공지하고 있다. 우리 정부 역시 Y2K를 해결할 수 없는 영역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국민에게 알려야 하지 않을까 ... ...
신무기 경연장 제1차 세계대전
과학동아
l
199903
성공했지만, 그동안 전쟁을 방관하면서 군수품을 팔아먹던
미국
의 참전을 불러일으켰다.
미국
의 상선들이 U보트의 공격을 받자 윌슨 대통령은 4월 6일 독일 동맹국과의 전쟁을 선포한 것이다.독일에게는 또 하나의 신무기가 있었다. 바로 독가스다. 이것은 암모니아 합성법을 개발했던 프리츠 하버(1 ... ...
우주가 만든 바람개비 우리은하
과학동아
l
199903
우리은하의 크기와 태양의 실제 위치는 할로 새플리(Harlow Shapley)에 의해 수정됐다. 그는
미국
의 윌슨산 천문대 60인치 망원경을 활용해 구상성단까지의 거리를 측정했다. 1917년 93개의 구상성단에 대한 거리와 방향을 측정해 공간상에 그들의 위치를 표시하면서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즉 ... ...
이전
791
792
793
794
795
796
797
798
7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