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d라이브러리
"
나노
"(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수 있는 전파흡수 재료와 전자·세라믹 복합 재료를 개발했다. 이 밖에도 텅스텐-구리
나노
복합분말 및 성형체 제조기술 역시 개발해 RAS식 전파흡수 방식도 가능성을 보여줬다. 2006년 당시 민간기업에서도 스텔스 관련 도료와 전파흡수장치를 개발해 화제가 됐다. 결국 ADD는 2008년 이런 기술들을 ... ...
Part 1. 구제역 전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게놈의 40만 분의 1에 불과하다!)을 감싸고 있다. 공 모양인 바이러스 입자의 지름은 25nm(
나노
미터, 1nm=10억분의 1m) 크기로 3000마리를 나란히 놓아야 머리카락 한 가닥의 지름이 된다.바이러스가 살아 있느냐 여부는 단백질에 둘러싸여 있는 게놈이 온전하게 보존돼 있느냐에 달려 있다. 또 숙주 ... ...
쓸모없는 열을 전기로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반도체의 일종으로 온도 차이를 전기로 바꾸는 성질이 있다.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은
나노
크리스탈을 텔루르화납 속에 고루 분산시켜 전자가 잘 산란되지 않는 물질을 만들었다. 비나약 드라비드 노스웨스턴대 재료과학과 교수는 “현재 14%의 열을 전기로 바꿀 수 있다”며 “열 형태로 사라지는 ... ...
한반도의 수질오염을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생활용품에 많이 쓰이는 은
나노
물질이나 탄소
나노
튜브와 같은
나노
물질도 물속 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과불화화합물도 주요 관심 대상이다. 과불화화합물은 코팅제로 주로 생활용품의 표면 처리에 많이 ... ...
우주엘리베이터의 상상과 현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좀 더 가볍고 강한 금속도 마찬가지다. 현재 가장 유력한 후보는 탄소
나노
튜브다. 탄소
나노
튜브는 인장력에 매우 강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우주엘리베이터를 만들기에 충분하다. 과학동아 2010년 12월호 ‘라이프 스타일 혁명 10대 기술 우주엘리 우주엘리베이터는 지표면의 출발지와 우주공간의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스’에 발표했다. 종이의 성분인 셀룰로오스에 탄소
나노
튜브를 층층이 섞으면 전도성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김 교수팀은 이미 2000년대 초반, 종이에 전류를 흘려주면 파르르 떤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것은 어떤 물질을 누르거나 구부리면 전기가 생기는 ... ...
태양광으로 힘 얻는 말벌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짙은 갈색 몸에 큰 노란줄무늬를 가지고 있다. 줄무늬 옆에 있는 갈색 상피에 16nm(1
나노
미터=10억분의 1m) 크기로 파인 작은 흠집이 빛을 반사되지 않고 산란하게 만들었다.5nm정도의 크기로 솟아있는 노란줄무늬는 각각이 견고히 엮여 있었고 산란된 햇빛을 흡수하는 역할을 했다. 플로트킨 교수는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1세계에서 가장 얇은 제올라이트 개발세계 최초로 2
나노
미터(1nm=10억 분의 1m) 두께의 판(版)형 제올라이트 합성에 성공한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를 취재하기 위해 황당맨이 만났다. 유 교수는 2007년 국가과학자로 선정된 제올라이트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다. ‘끓는 돌’로 불리는 제올라이트는 ... ...
Part 1-2. 대한민국 시계, 세계에 우뚝 서다!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도움을 준다. 대한민국 표준시는 국제협정시와 정확하게 9시간 차이를 두고 50
나노
초(1
나노
초=10억 분의 1초) 이내로 일치한다. KRISS-1은 세계에서 인정받는 ‘시계 중의 시계’로, 1차 주파수표준기로 등록된 원자시계는 현재 미국, 독일, 프랑스와 같은 선진국 몇 곳에만 있다.Tip 현재 우리가 쓰고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더 히에르 교수의 편지에 대한 국내 그래핀 전문가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성균관대
나노
과학기술원 홍병희 교수는 “그의 주장은 자신이 노벨상을 받지 못했다는 불만에 불과하다”며 “억지스러운 면이 많다”고 잘라 말했다. 지 교수는 “그래핀을 전자부품으로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명한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