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노"(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쓸모없는 열을 전기로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반도체의 일종으로 온도 차이를 전기로 바꾸는 성질이 있다.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은 나노크리스탈을 텔루르화납 속에 고루 분산시켜 전자가 잘 산란되지 않는 물질을 만들었다. 비나약 드라비드 노스웨스턴대 재료과학과 교수는 “현재 14%의 열을 전기로 바꿀 수 있다”며 “열 형태로 사라지는 ...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수 있는 전파흡수 재료와 전자·세라믹 복합 재료를 개발했다. 이 밖에도 텅스텐-구리 나노복합분말 및 성형체 제조기술 역시 개발해 RAS식 전파흡수 방식도 가능성을 보여줬다. 2006년 당시 민간기업에서도 스텔스 관련 도료와 전파흡수장치를 개발해 화제가 됐다. 결국 ADD는 2008년 이런 기술들을 ... ...
- 달라붙는 속옷이 몸에 좋은 이유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수도 있고, 자체 발열도 가능한 구조로 합성할 수도 있으며 신축성을 조절할 수도 있다. 나노 수준으로 가늘게 만들고 화학처리를 해 오염을 방지하는 구조로도, 접착력을 조절하는 구조로도 만들 수 있다. 실을 어떤 밀도로 어느 방향으로 짜느냐에 따라 통기성, 압력, 탄성 등을 조절할 수도 있다 ... ...
- 화학이 사라지면 게임도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1호
- 표면에만 붙는 분자를 끼워 넣는 약물전달시스템이 연구되고 있어요. 이렇게 하면 나노 입자가 병든 세포만을 찾아가 약을 전달할 수 있어 부작용이 훨씬 줄어들 거예요.전도성 플라스틱보통 플라스틱은 전기가 통하지 않아요. 그래서 전기가 통하는 것을 막아 주는 재료로 사용하죠. 하지만 전기가 ... ...
- 태양광으로 힘 얻는 말벌 발견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짙은 갈색 몸에 큰 노란줄무늬를 가지고 있다. 줄무늬 옆에 있는 갈색 상피에 16nm(1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로 파인 작은 흠집이 빛을 반사되지 않고 산란하게 만들었다.5nm정도의 크기로 솟아있는 노란줄무늬는 각각이 견고히 엮여 있었고 산란된 햇빛을 흡수하는 역할을 했다. 플로트킨 교수는 ... ...
- 황당맨의 취재수첩과학동아 l2011년 01호
- 1세계에서 가장 얇은 제올라이트 개발세계 최초로 2나노미터(1nm=10억 분의 1m) 두께의 판(版)형 제올라이트 합성에 성공한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를 취재하기 위해 황당맨이 만났다. 유 교수는 2007년 국가과학자로 선정된 제올라이트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다. ‘끓는 돌’로 불리는 제올라이트는 ... ...
- 한반도의 수질오염을 감시한다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생활용품에 많이 쓰이는 은나노 물질이나 탄소나노튜브와 같은 나노물질도 물속 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과불화화합물도 주요 관심 대상이다. 과불화화합물은 코팅제로 주로 생활용품의 표면 처리에 많이 ... ...
- 우주엘리베이터의 상상과 현실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좀 더 가볍고 강한 금속도 마찬가지다. 현재 가장 유력한 후보는 탄소나노튜브다. 탄소나노튜브는 인장력에 매우 강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우주엘리베이터를 만들기에 충분하다. 과학동아 2010년 12월호 ‘라이프 스타일 혁명 10대 기술 우주엘리 우주엘리베이터는 지표면의 출발지와 우주공간의 ... ...
- Part 1-2. 대한민국 시계, 세계에 우뚝 서다!수학동아 l2011년 01호
- 도움을 준다. 대한민국 표준시는 국제협정시와 정확하게 9시간 차이를 두고 50나노초(1나노초=10억 분의 1초) 이내로 일치한다. KRISS-1은 세계에서 인정받는 ‘시계 중의 시계’로, 1차 주파수표준기로 등록된 원자시계는 현재 미국, 독일, 프랑스와 같은 선진국 몇 곳에만 있다.Tip 현재 우리가 쓰고 ...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스’에 발표했다. 종이의 성분인 셀룰로오스에 탄소나노튜브를 층층이 섞으면 전도성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김 교수팀은 이미 2000년대 초반, 종이에 전류를 흘려주면 파르르 떤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것은 어떤 물질을 누르거나 구부리면 전기가 생기는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