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d라이브러리
"
나노
"(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탄탄한 기초가 가져온 빛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 있는 분야를 연구할 수 있어 자기 연구에 대한 열정이 대단하다.필자는 현재 대학에서
나노
포토닉스 소자와 홀로그래픽 3D 디스플레이를 연구하고 있다. 연구실에서 얻은 성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비전과 방향을 올바르게 설정하고 구체화하기 위해 기초 연구에 충실히 임하고 있다. 필자를 비롯한 ... ...
투명테이프가 선물한 노벨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성공해 크게 화제가 되기도 했다.그래핀은 C60 ‘풀러렌’, 탄소
나노
튜브와 함께 탄소
나노
물질 분야의 3형제로 불린다. 그래핀은 3형제 중 가장 늦게 연구를 시작한 막내지만, 2차원 평면의 단순한 구조여서 입체 형태의 다른 두 물질보다 응용 가능성이 높다.첨단 재료로 활약이 기대되는 ... ...
짜릿한 전기 세상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능력이 줄어들지 않았어요. 게다가 충전도 가능해 마치 전지처럼 사용할 수 있답니다.*
나노
미터 : 1㎝보다 1000만 배 작은 길이.버려지는 에너지도 다시 보자!자동차가 지나가면서 땅이 울리는 진동이나 사람의 움직임도 모두 에너지예요. 지금까지 이런 에너지들은 더 이상 쓸 수 없다고 ... ...
유비쿼터스 시대, 우리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1970년대 후반 고분자를 중합하는 과정에서 도핑을 통해 고분자의 전기 전도도가 구리에 가깝게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이후 유기 및 고분자 ...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및 미국 스탠퍼드대 박사후연구원을 보내고 현재 울산과학기술대
나노
생명화학공학부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 ...
고분자
나노
재료학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1. 고분자
나노
재료학이란 무엇인가요?고분자(polymer)의 어원을 살펴보면 그리스어로 ‘많다’라는 의미의 ‘poly’와 ‘부분’이라는 뜻의 ‘meros'로부터 유래 ... 배우며 이전까지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새로운 세계를 만날 수 있었다. 고분자
나노
재료학이 21세기를 어떻게 바꿀지 기대된다 ... ...
하늘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충돌할 위험도 적지 않다.이 뿐만이 아니다. 열권은 태양에서 오는 파장이 100nm(
나노
미터, 10억분의 1m) 이하의 극자외선이나 우주방사선을 지표면으로 내려오지 못하도록 흡수한다. 만약 열권의 대기 농도가 옅어지면 자외선이나 우주 방사선 같은 고에너지 복사선이 지표면으로 내려올 것이다. ... ...
나노
용어 알고 쓰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나노
(nano) 용어를 명확히 정리한 국가 표준이 제정됐다. 이번에 확정된 국가 표준에 따르면
나노
크기(nanoscale)는 1∼100nm(
나노
미터,1nm= 10억 분의 ... 늘어나면서 관련 용어에 혼란을 초래하고있다”며 “새 표준은 국제표준화기구(ISO)
나노
기술위원회의 기준을 근거로 하고 있다”고 설 ...
[지식의 길을 묻다] IT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실제로 시도해 보기 전까지는 모르는 일”이라고 강조했다.▶김홍구 피츠버그대 교수 겸
나노
연구소장은 IT의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과거 과학의 발전 방식과 다르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IT는 페르마의 정리처럼 무언가가 ... ...
해파리 단백질로 태양광 발전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같은 화학적 광원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크기를 아주 작게 만들면
나노
기계의 전력원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연구팀은 낮은 효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추가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색소증감태양전지의 효율은 10~15% 정도지만 생물광전지는 효율이 0.1%정도다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절대 배울 수 없는 지식과 기술이 우리 연구실에는 있다는 자부심을 갖는 것 같아요.”
나노
고분자를 만드는 원천기술과 이를 능숙하게 다루는 연구원들이 있어 고분자 재료 연구실에서 울리는 승전보는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고수의 비법전수 안 되는 건 없다. 힘들다고 도중에 그만두면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