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공기
뱅기
날틀
AIRCRAFRT
비행사
선박
우주선
뉴스
"
비행기
"(으)로 총 809건 검색되었습니다.
착륙 전, 착륙 후 ‘魔의 11분’ 극복 방법 없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7.10
'28L' 활주로는 방향각도로는 280도, 즉 10시 방향으로 뻗어있다. 따라서 활주로에서
비행기
를 보는 방향인 4시 방향으로 전파를 쏜다. 이 두 장치가 보내는 전파를 따라 가면 항공기는 활주로의 중심을 따라 3°를 유지하며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게 된다. 항공기의 안전한 착륙을 돕는 또 다른 ... ...
태양열만으로… 첫 美대륙 횡단 비행
동아일보
l
2013.07.09
“2015년 봄에는 솔라 임펄스를 더 개량해 5일간 밤낮을 가리지 않고 날 수 있는 태양광
비행기
로 세계일주에 도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박희창 기자 ramblas@donga.com [화제의 뉴스] - 기적의 탈출… 아시아나機 최악은 피했다 - U20 한국, 승부차기서 이라크에 분패…4강 좌절 - “비 때문에 성폭행 ... ...
활주로에 꼬리 충돌뒤 튀어올랐다 쾅… 화염 뚫고 필사 탈출
동아일보
l
2013.07.08
비행기
에서 뛰어내리기도 했다. 승객들이 모두 여객기를 빠져나와 한숨을 돌리는 순간
비행기
내부에서는 화염이 솟았다. 활주로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 연료에 불이 붙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정했다. 존 핸스먼 매사추세츠공대 항공학과 교수는 “항공사들은 위급 상황 때 승객들을 90초 안에 ... ...
“굉음 뒤 지진난듯 기체 요동쳐, 매캐한 연기속 비명… 지옥 방불”
동아일보
l
2013.07.08
씨 일행을 부축해 줬다. 금 씨가 공항 한쪽에 마련된 임시 대피소로 들어서는 순간 사고
비행기
쪽에서 폭탄이 터지는 듯한 굉음이 한 차례 더 들려왔다. 금 씨는 어머니와 함께 동생이 사는 미국 콜로라도 주 덴버로 가기 위해 샌프란시스코 공항을 경유하던 중이었다. 헬리콥터로 샌프란시스코에서 ... ...
아시아나기, 이륙 3분-착륙 8분 ‘마의 11분’
동아일보
l
2013.07.08
것은 조종사가 이 시간대에 항공기를 완전히 제어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륙할 때는
비행기
가 최대한 힘을 내서 떠오르는 중이어서 기체 결함 등 위험 요인을 발견해도 조종사가 즉각 대처하기 어렵다. 착륙 전에는 항공기가 고도를 크게 낮춰 지면과 가까워진 상태이므로 긴급 사태가 발생할 때 ... ...
아시아나기, “착륙 5분전 교신” vs “착륙 직후 교신”… 5분 미스터리
동아일보
l
2013.07.08
부딪쳤다. 충돌 순간
비행기
꼬리 날개가 동체에서 떨어져 나가면서 불꽃이 일었다.
비행기
동체는 600m가량 활주로를 미끄러졌다. 기체는 중심을 잃고 활주로에서 약 200m 이탈한 상태에서 멈춰 섰다. 승객들은 사고 항공기를 떠나 잔디밭에 도착하고서야 안도할 수 있었다. 이번 사고와 관련해 ... ...
‘창조경제’ 열풍에도 여전히 관심 밖인 청소년 창의력
동아사이언스
l
2013.07.07
원인을 명확히 밝혀 재발을 막아야 한다는 과제가 있다. 우리에게 알려진 유명한
비행기
사고 중 가장 최근 것은 2009년 US에어라인 소속 여객기가 미국 뉴욕 허드슨 강에 비상착륙한 사건이다. 이 사고는 엔진 속으로 새가 빨려 들어간 것이 원인이었다. 이후 과학자들은 공항 인근의 조류를 ... ...
“세계 최초 비행 성공은 라이트형제가 아닌 美코네티컷주 비행사”
동아일보
l
2013.06.28
형제의
비행기
‘플라이어’를 1달러에 들여오면서 이를 세계에서 최초로 비행에 성공한
비행기
라고 발표했다. 세계 최초 비행을 둘러싼 논란은 그간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독일 프랑스 뉴질랜드 등 여러 나라가 라이트 형제보다 앞서 비행에 성공한 사례가 있다고 주장했다. 4월 호주 역사학자 존 ... ...
누가 더 친환경적일까?
과학동아
l
2013.06.27
짧다. 자동차와 대중교통은 상황에 따라 달랐다. 대형승용차를 혼자 타고 가는 건
비행기
와 비슷한 수준으로 악영향을 끼쳤다. 대형승용차를 타고 1000km를 이동하면 이산화탄소가 250kg까지 나올 수 있다. 하지만 기차나 소형차를 3명이 함께 타고 갔을 때 1인당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는 50kg 정도로 ... ...
하늘을 나는 ET 자전거, 현실로!
과학동아
l
2013.06.23
프로펠러가 튕겨나갔을 때 조종사가 크게 다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프로펠러
비행기
를 설계할 때는 회전의 연장선 상에 조종사는 물론 비행에 필수적인 장치들을 두지 못하도록 돼있다. 구 연구원은 “하늘을 나는 자전거라는 아이디어 자체는 흥미로운 것”이라며, “사람들이 새로운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