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스"(으)로 총 2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조성관 전남과학고 입학관리부장 “자기주도형 인재 기다린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포함해 레이저 커터 등 자체 제작 설비와 아두이노 키트, 라즈베리 파이 등 오픈소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가상현실(VR) 장치와 모션인식장치도 갖추고 있다. 조 부장은 “무한상상실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인재들이 쏟아져 나오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전남과학고 진학을 ... ...
- [Culture] 매, 매, 매운맛을 주세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청양고추보다 300배 이상 맵다. 만지기만 해도 화상을 입을 수 있어 묽게 희석한 핫소스(The Last Dab)로만 판매된다. 세계적으로 매운맛 순위에 올라간 부트 졸로키아, 캐롤리나 리퍼 등은 고추 중에서도 ‘카프시쿰 치넨세(Capsicum chinense)’ 품종에 속한다. 한국 고추는 남미의 할라피뇨, 이탈리아의 ... ...
- [Origin] 계란의 ‘슈퍼 파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강도가 높은 재료를 만들 수 있다니 정말 신기합니다. 그 비결은 연구팀의 ‘마법의 소스’인 계면활성제에 있습니다. 계면활성제의 재료를 다양한 조합비로 만들어 넣고 완성된 겔의 강도를 실험한 결과, 최고 강도가 삶은 계란 흰자의 150배로 측정됐습니다. 아쉽게도 이 계면활성제를 만든 ... ...
- [인터뷰] UNIST 신입생 대표 김윤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들게 되고요. 그런 식으로 스스로 게임 시간을 조절했습니다.” 취미를 자소서와 면접의 소스로 활용취미 활동으로 보낸 시간은 입시에도 도움이 됐다. 김 씨는 노래를 좋아해서 노래 동아리 활동을 했고, 만들기를 좋아해서 발명 동아리도 했다. 운동을 좋아했지만 잘 하지는 못해서 학교에 있는 ... ...
- [Issue] 야식의 유혹, 도저히 뿌리치기 어렵다면 ‘착한 야식’을!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따라 열량이 천차만별이어서 수치로 비교하기는 좀 어렵습니다. 기본 도우와 토마토 소스, 토핑으로 올라가는 갖은 채소는 열량이 크게 높지는 않지만 변수는 바로 치즈입니다. 끊길 듯 말 듯 길게 늘어나는 모짜렐라 치즈는 피자의 가장 중요한 재료죠. 게다가 요즘에는 도우의 테두리에 온갖 ... ...
- [Culture] 이황화결합과 가교결합, 크루아상 & 애플파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물성이 변하지 않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이어서 애플파이뿐만 아니라 피자 소스나 바비큐 소스를 만들 때에도 사용됩니다. 신원선연세대에서 식품영양학을 전공하고 일본 교토대에서 단백질 구조 및 기능 특성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부터 11년간 한국식품연구원에서 선임연구원으로 ... ...
- Part 1. [변신 1단계] 남아프리카에서 전세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종이에요. 본래 남아프리카의 야생종으로 불가리스(vulgaris ), 라나투스(lanatus ), 뮤코소스페르무스(mucosospermus ) 세 종류로 나뉘지요.우리가 평소에 먹는 수박은 불가리스에 속해요. 모두 같은 조상에게서 유래했지만, 불가리스만 단맛이 나서 사람들이 식용으로 재배하기 시작했거든요. 나머지 두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높다. 이제 관건은 차별화된 결과를 내는 것이다. 별다른 전문지식이 없어도 오픈소스의 데이터만 바꾸면 대충 쓸 만한 결과가 나오는 상황에서, 앞으로는 공개된 인공지능 기능을 활용해 더 좋은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능력이 중요해질 것이다. 알파고 기술을 활용한 실질적인 제품이나 ... ...
- [Culture] 캐나다 국방연구개발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음식인 ‘푸틴’을 드셔보시기 바랍니다. 감자를 껍질째 썰어 튀기고 그 위에 그레이비 소스와 응고된 치즈를 얹어 먹는 음식인데, 어마어마한 열량만큼 큰 힘을 내줍니다. 1950년대 퀘백 주에서 먹던 푸틴이 원조이지만 현재는 캐나다 어디서나 식당에 가면 쉽게 먹을 수 있습니다 ... ...
- [Future] ‘부정맥 모음곡’으로 부정맥 조기 진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어떤가요? 츄 교수 : 지금은 심전도 데이터를 음악으로 만드는 데 몰두하고 있지만, 다른 소스로 작곡하는 것도 염두에 두고 있답니다. 어떤 사람들은 뇌전도나 바다, 우주 현상에서 데이터를 얻어 음악을 만듭니다. 심박으로 작곡한 음악이 아름다운 점은 ‘무지카 후마나(Musica Humana)’라고 부르는,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