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스"(으)로 총 267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내 첫 삼성전자 계약학과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앞으로 반도체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체 운영체제나 컴파일러(컴퓨터 프로그래밍 소스를 기계어로 바꾸는 프로그램)를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설계 분야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데도 힘쓸 계획이다. 전 학과장은 “매년 20명 정도의 소프트웨어 전문 인력이 배출되는데, 이를 30명까지 올리는 게 ... ...
- 손에 붙이고, 옷에 심고 웨어러블 패션의 시작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소스와 드레인이 마주보는 길이가 섬유의 지름(1mm 이하) 수준이었다”며 “이번에는 소스와 드레인 가닥을 따로 만든 뒤 꼬아서 마주보는 길이가 10cm 이상 대폭 길어졌다”고 말했다.그 결과, 현재 섬유형 트랜지스터는 기존에 비해 전류가 1000배 이상 많이 흐른다. 1000번 이상 구부리거나 세제를 ... ...
- 포도알 먹지 마세요, 전자레인지에 돌려 보세요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생성되고, 이를 제어하면 지름이 수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인 나노 광원 소스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 광원을 이용해 모든 방향에서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안테나와 초고해상도 나노 이미징 기술을 개발하는 데 접목할 수 있다는 것이다.송 부장은 “플라스마가 지속적으로 ... ...
- [과학자의 부엌] 진공과 온도의 효과적인 만남 수비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흐드러지게 꽃이 피어 있는 한 폭의 수채화가 연상됩니다. 평소 닭 가슴살은 뻑뻑해서 소스 없이는 먹기가 힘듭니다. 하지만 이 요리는 다릅니다. 수비드(sous-vide) 조리법을 썼기 때문입니다. 수비드로 조리한 스테이크는 정말 촉촉하고 부드럽습니다. 감자 퓨레는 감자로 만든 것이 맞나 싶을 만큼 ... ...
- [Issue] 여름 바다에서 피해야 할 5대 세균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이 균은 모든 환경에서 골고루 발견됐다. 반면 35%로 두 번째로 많이 검출된 크리소스포리움 속(Chrysosporium)은 주로 사람이 많고 마른 모래가 있는 곳에서 발견됐다. 사람이 몰리는 부산지역 바닷가에서 피부 질환을 유발하는 진균을 확인한 건 이 연구가 처음이다. 연구를 총괄한 김소진 서울대병원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셈이에요. 소수로 만든 요리, 자연수! 12=6×2에서 2가 고기, 야채 같은 재료면, 6은 토마토 소스입니다. 2는 1×2를 빼면 다른 수의 곱으로 쪼갤 수 없는데, 6은 3×2로 다시 쪼갤 수 있으니까요. 6도 쪼개면 결국 12=6×2=3×2×2가 됩니다. 이제 이 수를 잘 살펴봅시다. 여러 번 곱해지긴 했지만, 12는 2와 ... ...
- [Culture] 음식의 화룡점정, 소스 분산액&유화액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전분은 소스를 걸쭉하게 만드는 역할도 합니다.맛있는 화이트소스를 만들려면 밀가루와 버터, 우유를 각각 1, 1, 17의 비율로 넣으면 됩니다. 오늘 저녁에는 가장 맛있는 유화액을 만들어 눈코입이 모두 즐거운 요리에 도전해보세요. 신원선연세대에서 식품영양학을 ... ...
-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집집마다 한 대씩 있다면 점심에는 쌀가루를 넣고 떡을, 저녁에는 밀가루와 토마토소스를 넣고 피자를 ‘인쇄’해 먹을 수 있을 텐데.실제로 2010년대 초반 미국 코넬대, 스페인 3D 프린터 제조업체 ‘내추럴 머신스(Natural Machines)’, 네덜란드 응용과학기술연구소(TNO) 등은 초콜릿과 쿠키, 피자, 햄버거 ... ...
- 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마찬가지로 컴퓨터공학을 전공했다. 전공을 통해 게임 프로그래밍에 반드시 필요한 소스코드를 만들 때 사용하는 컴퓨터언어를 습득했고, 중앙연산처리장치(CPU)나 그래픽 처리장치(GPU) 등 하드웨어의 원리도 배웠다. 특히 게임은 프로그래밍 중에서도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축에 속하는 만큼, ...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큰 부분이 암흑에너지의 양이다.박 교수팀은 초기 우주가 급팽창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소스가 필요한데, 그 역할을 힉스장이 할 수 있다는 ‘힉스 인플레이션’ 이론을 발표했다. 힉스 입자의 성질을 측정한 결과를 토대로 힉스 입자가 초기 우주에 어떤 역할을 했을지 예측한 결과다. 연구결과는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