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 이름 새긴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질문이었다. 먼저 피타고라스 소수는 4로 나누면 항상 나머지가 1이다. 또 k가 1보다 큰 자연수일 때 페르마 수 Fk=22k + 1은 항상 피타고라스 소수이거나 이들을 소인수로 갖는다. 에우클레이데스가 소수가 무한함을 보인 방식으로 피타고라스 소수가 무한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이처럼 어떤 ...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셰인 게로의 연구를 통해 개체수 등 정보가 잘 알려져 있어, 좋은 연구 대상입니다. 자연 다큐멘터리 감독 톰 머스틸이 쓴 책 ‘고래와 대화하는 법’에 따르면, 해양로봇 전문가, 고래 생물학자, 인공지능(AI) 전문가, 언어학자 등이 모인 CETI는 2026년까지 향고래와의 ‘양방향 소통’에 성공하는 ... ...
- [이달의 책] \네오알키미스트: 새로운 물질을 창조하는 과학적 원리 외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의 정의를 풀어보면 “공간을 차지하고 질량이 있는, 다양한 자연 현상을 일으키는 실체”라지만, 물질의 이런 의미를 의식하는 경우는 꽤 드물다.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물질이란 ‘세상의 모든 것’일 것이다. 각자 자신의 ‘구체적인 대상’을 떠올리며 ... ...
- 세상에서 가장 섹시한 수, 섹시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쌍둥이 소수가 무한히 많은지 밝히는 연구가 수학계 대표 난제기 때문이다. 1보다 큰 자연수는 소수의 곱으로 유일하게 표현되기 때문에 소수의 성질을 이해하는 것이 수의 성질을 다루는 정수론에서 매우 중요하다. 문제는 소수가 불규칙하게 나타나 연구하는 것이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다 ... ...
- 자연의 절대 법칙 튜링의 반응-확산 방정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법칙이 있고, 엄밀하게 잘 세운 방정식 하나로 전부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자연의 법칙을 설명하기 위해 튜링은 피부 색소에 해당하는 형태소가 2개고 화학반응이 일어난다고 가정했다. 만약 형태소가 하나라면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확산만 일어나기 때문에 아래 ... ...
- 컴퓨터 공학도들, 2000년 전 파피루스를 읽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피소가 귀히 여긴 당대의 지식이 적혀 있을 것이다. 헤르쿨라네움의 화려한 영광은 대자연의 재앙 앞에서 속수무책이었다. 기원후 79년 베수비오 화산이 폭발하며 내뿜은 화산재가 파피루스의 빌라를 뒤덮었다. 약 20m 두께로 쌓인 화산재의 열로 저택 안에 보관됐던 파피루스들은 모두 숯처럼 ... ...
- 치킨은 피보나치 수로 주문하자!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정리’를 이용해 피보나치 수로 분해해 시키라는 것이다. 제켄도르프 정리는 모든 자연수는 하나 이상의 연속하지 않는 피보나치 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는 유일하다는 것이다. 이름은 벨기에의 의사이자 아마추어 수학자 에두아르 제켄도르프에서 유래했다. 제켄도르프는 관련 연구를 197 ... ...
- AI, 예보에 도전장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수치예보모델을 대신하는 거죠. 딥마인드는 “AI가 방정식으로는 완벽히 표현되지 않는 자연의 패턴을 포착한다”며 “최신 자료도 주기적으로 학습해 기후위기로 나타나는 새로운 날씨 특성을 잡아낼 수 있어 예보 정확도가 높다”고 설명했어요. 그래프캐스트는 2018년 ECMWF의 중기예보모델 결과와 ... ...
- 생성 AI 왜 강력할까? 핵심은 트랜스포머 모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생성 인공지능(AI)에 열광하는 이유는 기계가 인간의 ‘자연어’를 이해하고 생성하기 때문이다. 그 기술의 시작은 2017년 구글 브레인의 아시시 바스와니 연구원팀이 발표한, ‘Attention Is AII You Need’ 논문의 ‘트랜스포머 모델’이다. 트랜스포머 모델은 입력된 값들 사이의 연관성을 스스로 ... ...
- [과학동아 X 서울시립과학관] 공간과 콘텐츠의 연결 과학동아를 과학관에서 만나세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모티브로 꾸민 공간이었다(1687이라는 숫자는 뉴턴이 물리학의 구약성서라고 불리는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프린키피아)’를 발표한 연도에서 따왔다). 나뭇가지 모양의 벤치와 잎사귀 모양의 책꽂이 너머엔 사람 키보다 큰 ‘빅 북(big book)’이 놓여있었다. 빅 북에선 따끈따끈한 과학동아 12월호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