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분해"(으)로 총 3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법에 걸린 수?기사 l20230128
- 또 7을 빼고 1부터 6까지 곱한 값과 8부터 10까지 곱한 값이 같지요.왜 그럴까요? 소인수분해를 통해 답을 알 수 있습니다 7!을 소인수분해해 다시 곱하면 결국 7부터 10까지 곱한 값임을 알 수 있습니다.그리고 양 변을 7로 나누면 6! = 8부터 10까지 곱한 값임을 알 수 있죠 또 있어요! 계산기를 이용해 1부터 10까지의 ...
- 남자애한테 ㄱㅃ친 썰(사이다 좀..포스팅 l20221231
- 했는데 계속 이래요 진짜 속상하고 화나요 언제는 제가 샤프심이 별로 없어서 아껴 쓰고 있었는데 제가 화장실 간 사이 제 샤프 막 분해해서 맘대로 가지고 놀고 있고 샤프심 다 부러뜨리고 해서 제가 화를 냈더니 아 어쩌라고요오 응 니도 하는데 뭔 상관 이러는거에요,,, 저는 걔 물건을 맘대로 만진적도 없고 애초에 남자애들한테 관심 없어서 가까이 가 ...
- 겨울철 도로에 뿌리는 흰 가루의 정체는?!기사 l20221217
- 불가사리는 바다의 해적이라고 불립니다. 왜냐하면 산호초를 파괴하고 해산물들을 먹어치우기 때문입니다. 불가사리들을 단백질 분해하면 ‘탄산칼슘 다공성 구조체’를 얻을 수 있는데, 다공성 구조체는 염화이온을 흡착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성질을 활용하여 만든 제설제로 부식과 환경문제를 해결하였습니다. (참고로 이 제설제는 염화칼슘 제설제보 ...
- 롯데케미칼 본사를 다녀와서기사 l20221216
- 수 있다는게 신기했습니다. 그런데 저는 플라스틱을 재사용 하는 게 환경에 그렇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플라스틱을 분해할 때도 공장은 돌아가고 유해한 연기가 나오지 않겠어요? 제 생각에는 플라스틱을 무작정 다시 사용하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을 찾아야 할 것 같습니다. 롯데케미칼을 다녀온 것은 재미있었습니다. 하지만 시간도 짧았고, ...
- 롯데케미칼 일일 인턴 후기!기사 l20221125
- 더 투명하게 만들어져서 약을 정확하게 양을 맞출 수 있다고 합니다. 이것은 재활용이 어려운 품질의 플라스틱을 화학적으로 분해한 것입니다. 이걸로 다시 다른 제품을 만들 수가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말이죠! (맨 처음에 나온 사진입니다ㅎㅎ) 여기 롯데케미칼이라고 쓰여져 있죠! 혹시 눈치채신 분 계신가요? 이 벽이 대리석이죠? 이 ...
- 친목질의 문제점 - 출처 꺼무위키포스팅 l20221116
- 동호회나 인터넷 커뮤니티 등 개인이 사적 취향을 도모하기 위한 조직에서 벌어진다면 최악의 경우에도 해당 커뮤니티만 공중분해될뿐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진 않는다. 하지만 친목질과 그 폐해가 단순 동호회 수준을 넘어 기업 등의 거대 조직, 나아가 국가 단위에서 벌어지게 되면 문제는 보통 심각한 상황이 아니게 된다. 2016년 대한민국 정치계에서 ...
- 직접만든 단편소설:원소깡패단(1화)포스팅 l20221111
- 원소가 막아주고있었다. 산소는짜증났다.자신의 인생친구인 '수소'(1)과 놀려고 갔다.둘은 만나서 놀았다. 물로 변하고 다시 전기로 분해되어 분리되었다. 재밌었다. 다시 물로 변해서 수소와 놀때쯤. 물속에 소금이 투입되었다. 염소는 산소보다도 다른 원소의 전자를 빼앗아 음이 되는 산성 성질이 훨씬 강했다. 산소는 '안녕'이라고 인사했다. 그러나 ...
- 이티뉴머크두그(Feat.제 기사가 어수동에 실립니다)포스팅 l20221109
- 설명은 생략합니다. 다만 1001을 그대로 곱하라고 하면 금방 눈치채니 마술로 신기하게 보이게 조각조각 수의 사지를 찢어서 소인수분해해서 3개의 인수가 남게 하여 꼬아서 문제를 내 신기하게보이게 7곱하고 11곱하고 13곱하라고 한겁니다. 어과동 관리자님께 드리는 추신: Aㅏ,기자님들,굿컴규칙에 질문이 있는데요, 욕설이 긍정적인 의 ...
- 직접 만든 성냥갑입니다!!!포스팅 l20221109
- 사다가 분해해서 향(마찰면)부분 뜯어내고 성냥알 빼서 a4용지로 만든 성냥갑으로 만들어봤습니다. 성냥은,염소산칼륨과 기타 물질이 들어간 성냥대가리를 거친 사포 위에 바른 적린에 마찰시키면 마찰력에의해 성냥갑의 적린에 불꽃이 튀고,그것은 불꽃수준이라 금방 꺼지지만 성냥대가리의 잘타는 염소산칼륨에 옮겨붙어서 불이 붙는 원리로 알고있습 ...
- 울긋불긋 단풍! 여기에도 과학이?!기사 l20221102
- 때 일교차가 크면 클수록 더 선명하고 고운 색을 띠게 된다고 합니다. 안토시아닌과 같은 색소들이 일교차가 클수록, 엽록소를 빨리 분해시켜 색소 합성반응이 활발해져 색이 진해지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오늘은 단풍이 드는 이유를 알아보았습니다! 가을마다 보는 단풍에도 이렇게 신기한 과학이 있었다는 것이 신기했습니다. 가을이 지나가고 있지만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