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d라이브러리
"
속
"(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엄마, 아빠 미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거라고 생각하기 쉬워요. 하지만 부모님도 실수할 수 있답니다. 부모님이 나와의 약
속
을 잊는 실수를 했다고 해서 무조건 화를 내지 말고 부모님도 우리처럼 실수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이야기해 보세요.어떤 기분일까 생각해 보기우리가 기쁠 때는 부모님도 기쁘고 우리가 화가 날 때는 ... ...
우주로 이사가는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날거나 우주에 가는 일도 오래전에는 상상일 뿐이었다. 그래서 뜨거운 관심과 연구가 계
속
되는 지금, 우주에 살고자 하는 인류의 꿈은 결코 헛되어 보이지 않는다. 과연, 모든 숙제를 풀고 우주로 이사 가는 날은 언제쯤일까 ... ...
말라리아 약초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지난 1500년 동안 개똥쑥은 모기를 통해 감염되는 말라리아를 치료하는데 사용돼 왔다. 개똥쑥에서 추출한 아르테미신(Artemisin)이 말라리아 치료에 우수한 ... 궤도의 법선방향으로 향한 가
속
도의 성분 질점이 가
속
도 운동을 하고 있을 때 가
속
도는
속
도에 평행하는 성분과 수직의 성분으로 ... ...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통해서 앞날을 아는 것보다 더 중요한 무언가를 보고 있는지도 모른다.▼관련기사를 계
속
보시려면?당신 얼굴의 진실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 걸어 다니는 신분증, 얼굴 2. 부모 얼굴, 골라 닮을 수 있을까? 3. 근육 따라 울고 웃었다 4. 나는 꽃미남이 ... ...
마빡이는 엄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대 로브손 앤슬리 박사는 오랜 시간 운동을 하면 몸
속
신호전달분자인 ‘인터류킨-6’이 뇌에 신호를 보내 운동을 중단하거나 강도를 줄이도록 명령한다는 사실을 2004년 ‘뉴사이언티스트’에 발표했다. 이 연구결과는 장거리 육상선수나 사이클 선수가 지치는 이유는 ... ...
우리 포옹할까요?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피부에 존재한다고 주장했다.촉각은 주로 고
속
신경조직망에 의해 초
속
60m의 빠른
속
도로 뇌에 전달된다. 외부의 압력이나 자극에 재빠르게 대처해야 적절히 반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피부에는 초당 1m밖에 이동하지 못하는 느린 신경망도 존재한다. 이를 CT(C-Tactile)신경계라고 하는데, ... ...
인디언들은 초신성 폭발을 봤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따라서 그림이 그려진 시기가 초신성이 폭발한 때와 비슷하다는 사실만으로 인디언 그림
속
에 있는 별이 초신성이라고 확신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지금부터 약 1000년 전에 초신성이 폭발했으며, 고대 중국인이나 아메리카 인디언이 보았을지도 모르는 초신성의 폭발 잔해를 지금 우리가 ... ...
첨단 기술에 편한 옷 입히는 디자인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쉽다. 특히 텍스트 레이아웃을 대각선으로 나누면 직사각형 모양 레이아웃일 때보다 독서
속
도가 최대 30% 빨라진다.이 교수는 “새로운 화면표시장치 기술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텍스트 레이아웃 디자인만으로도 소비자에게 새로운 기술 이상의 효과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주식투자에서 실패 않는 법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수익률과 미래의 수익률이 일정한 관계로 맞물려있다는 뜻이다.대형주는 β(T)가 계
속
0의 값을 가지므로 과거의 수익률로 미래의 수익률을 예측하기 힘들다. 반면 중·소형주의 경우 분석 초기에는 β(T)가 양의 값을 갖다가 시간이 흐르면서 0에 가까워진다. 과거의 수익률이 미래의 수익률에 영향을 ... ...
티라노사우루스보다 힘 센 물고기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설명했다.그는 또 “이처럼 막강한 힘을 가지고 있었던 둔클레오스테우스는 바다
속
의 어떤 생물이라도 잡아먹을 수 있어 고생대 데본기의 먹이사슬 꼭대기에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연구팀은 컴퓨터를 이용한 연구 방법을 바탕으로 멸종된 다른 생물체의 먹이사슬도 밝힐 계획이라고 ... ...
이전
799
800
801
802
803
804
805
806
8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