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d라이브러리
"
속
"(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바일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아니에요. 이보다 훨씬 더 놀라운 일들이 펼쳐질지 모릅니다. 모바일의 발전
속
도는 정말 무서울 만큼 빠르니까요. 모바일이 만들어낼편리하고 멋진 미래의 모습. 즐거운 마음으로 상상해 봐요 ... ...
나는 시금치가 너무 좋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먹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오랫동안 음식을 짜게 먹으면 짠맛에 길들어 계
속
더 짠 음식을 찾게 되기때문이다.엄마, 아빠 도와주세요소금을 덜 먹기 위해 집에서 할 수 있는 간단한 실천 목록● 음식의 간을 맞춘다고 소금이나 간장을 넣는 것은 더 짜게 먹는 지름길. 식탁에서 소금통이나 ... ...
살아 쉼쉬는 녹색의 도시 --유럽의 환경생태도시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출범, 서울을 완전한 환경생태도시로 만들기 위한 노력을 계
속
하고 있답니다. 일본도 감탄한 울산의변화울산은 우리나라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울 공업도시입니다. 하지만 환경오염이 심한 도시라는 달갑지 않은 유명세도 갖고 있었습니다. 공장이 많은 만큼 환경오염도 ... ...
다이어트, 먹으면서 살 빼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걸까요?맛이란 무엇을 먹고 무엇을 먹지 말아야 할지 알려 주는 것이에요. 단맛은 음식
속
에 탄수화물, 고소한 맛은 지방이 들어 있다는 것을 알려 줍니다. 단 음식, 고소한 음식은 우리 몸의 주 에너지원인 탄수화물이나 지방이 들어 있다는 표시죠. 그래서 사람들은 달고 기름진 음식을 좋아하는 ... ...
동이마을 비내리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맞춰 홀로그램을 읽어갔다. 제각각이었던 말소리가 차츰 하나로 모아졌다. 본능처럼 몸
속
에 감춰졌던 노랫가락이 목에서 터져나왔다.빗방울이 투두둑 떨어지며 장막을 두드렸다. 굵은 빗소리에 질세라 노랫소리는 더욱 커져갔다. 흰옷 입은 사람들의 기쁨에 찬 목소리는 온 하늘을 진동시켰고 힘찬 ... ...
살은 왜 찌는 걸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자신의 비만도를 측정해 보세요.1. 체지방 측정체지방을 측정하는 기계나 체중계로 몸
속
에 지방이 얼마나 있는지 측정 해봅니다. 몸무게는 적어도 근육의 양은 적고 지방의 양이 많다면 비만이랍니다. 가장 정확한 비만 판단 방법이지만 측정 도구가 없으면 하기 어려워요.2. 비만도 그래프로 ... ...
만화
속
로봇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도는 게 마치 살아 있는 듯 해요. 터미네이터와 로보캅이 싸우면 누가 이길지 영화
속
에 나온 로봇들을 보면서 상상해 보아요. 전시장 바깥에서는 로봇 카를 직접 몰수도 있답니다. 로봇의 역사나 일본 만화영화에 나온 로봇의 키를 비교한 큰 그림도 많아요. 이번 놀토는 로봇 친구들을 만나 볼래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차지한다. 질소와 산소는 입으로 들이 마신 공기에서 만들어졌고, 나머지 성분은 몸
속
에서 소화 와 발효를 거치며 생겨난다.보통 사람이 하루에 뀌는 방귀는 작은 생수 한 병 정도의 양(600㎖)이다. 원래 방귀는 냄새가 없지만단백질을 분해할 때 나오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이 지독한 냄새를 ... ...
이탈리아 피자 연구가 '피자마자 다 팔리옹'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삼각형조각피자 안에 있는 숫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원 주변의 숫자를 모두 곱하면 원
속
에 있는 숫자가 된다. 비어 있는 동그라미에 들어갈 숫자는 30(2×3×5)이 된다.세 번째 문제의 정답착시현상으로 물결이 일렁이는 듯한 대형 피자는 토핑이 일정한 규칙으로 배열되어 있다. 착시현상을 이용해 ...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기능을 갖는다. 우리 주변에서 눈으로 볼 수 있는 거의 모든 생명체가 다세포생물에
속
한다. 살아있는 실험실눈 좋은 내 친구 현미경우리가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현미경은 대부분 광학현미경이다. 광학현미경은 물체에 빛을 투과시켜 확대해 볼 수 있다. 광학현미경의 구조와 기능을 알아보자 ... ...
이전
803
804
805
806
807
808
809
810
8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