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공간을 가득 채우려면 사면체로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채울 수 있는 입체도형은 무엇일까요? 사면체가 답이라는 연구결과가 최근 발표됐습니다.
미국
뉴욕대학교 연구팀은 상자 안에 사면체 모양의 주사위들을 넣고 흔든 다음, 상자가 가득 찰 때까지 주사위를 채웠습니다. 그리고 주사위 사이의 남은 공간을 확인하기 위해 물을 부었습니다. 그 결과 ... ...
꿀벌보다 못한 인간의 선거방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일을 성공적으로 해내는 걸까. 비밀은 1997년이 돼서야 밝혀지기 시작했다. 1995년부터
미국
코넬대 생물학자 토마스 실리 교수는 새집을 찾아 나선 꿀벌의 의사소통을 규명하는 데만 매달려왔다. 실리 교수는 자신의 학생인 수잔나 버만과 함께 그 전까지 누구도 해보지 않은 시도를 했다. 이사를 나온 ... ...
사람은 죽어서 ‘불멸의 업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앨 고어가 환경 재앙을 넘어 아름다운 성장을 하기 위한 선택의 방법을 제시했다.
미국
의 태양열 발전소에서 중국의 풍력 에너지 단지, 유럽의 스마트그리드 계획까지 전 세계는 환경 재앙을 극복하고 침체된 경제를 살리려는 길로 들어섰다. 저자는 이 책에서 환경과 발전 사이의 이분법을 버리고 ... ...
절대 터지면 안 되는 ‘열통 터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우리나라에서는 그런 사고 기록이 없지만 외국에서는 가끔 있나 봐.그래서 농촌진흥청과
미국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의 홈페이지에 가보면 분뇨처리 시설은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자료를 제공하면서 철저한 주의를 당부하고 있어. 이들 자료에 따르면 가능한 한 비료와 분뇨는 움직이지 않게 하고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하고 중요 시설물을 파괴하는 피해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이 재미있는 아이디어는 1974년
미국
의 레오나드 볼 박사가 처음 제안한 것으로 뇌운과 피뢰침 사이를 레이저광으로 연결해 낙뢰가 발생하기 전에 뇌운에 축적된 정전기를 방전시킨다는 계획이다. 뇌운에서 빠져나온 정전기는 레이저가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구조 연구에 뛰어들었다. 그들 중에는 지난해 요나트 박사와 함께 노벨화학상을 받았던
미국
예일대 토머스 스타이츠 박사와 영국 케임브리지 분자생명연구소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 박사도 있었다. 요나트 박사는 리보솜 구조 연구의 선구자였던 셈이다.드디어 2000년 요나트 박사를 비롯한 3명의 ... ...
도덕심, 자기장에 흔들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매사추세츠대 리안 영 교수팀은 자기장이 사람의 도덕적 판단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
미국
립과학원회보(PNAS)’ 4월 13일자에 소개했다. 실험참가자의 머리에 자기적인 변화를 주고 어떤 상황의 도덕성을 판단하라고 제시했더니, 대다수 참가자에게서 정황은 무시하고 오직 결과로만 판단하는 ... ...
인류 진화의 비밀 풀리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250만 년 전~200만 년 전에 아프리카누스가 진화한 흔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미국
뉴욕 스토니브룩대 프레드 그린 박사도 “버거 박사팀이 아프리카누스끼리의 개체변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며 “두 화석 중 하나가 미성숙한 나이이기 때문에 해부학적 특성이 성인과 다를 수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10-9m) 굵기의 은으로 만든 실오라기로 투명망토용 메타물질을 개발했다. 당시 이 연구는
미국
의 시사주간지 타임의 ‘2008년 10대 과학발견’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그 이듬해 장 교수팀은 그물망 구조를 카펫형으로 진화시켰고, 마이크로파에만 적용하던 것을 파장이 가시광선의 1.8~2.4배에 불과한 ... ...
한의학으로 본 ‘애가 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사람들이 많지만, 화병은 197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체계적으로 연구돼 1996년에는
미국
정신과협회에서 한국인에게 나타나는 특이한 정신질환의 일종으로 공인한 질병이다. 화병을 문화 관련 증후군으로 분류한 것은 서양의학에서 다루는 우울증이나 신체형장애와는 다른 독특한 증상과 특징들이 ... ...
이전
804
805
806
807
808
809
810
811
8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