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에게 한 수 배우기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개발한 ‘텃밭에서 배우는 수학’이라는 것인데 1999년부터
미국
전역에서 활용하고 있지요. 우리나라에서도 농촌진흥청이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시범적으로 운영한 적이 있어요.이 프로그램에 따르면 줄기에 잎이 달린 각도를 재거나 다양한 모양의 잎을 회전시키면서 ... ...
기호 2 미로는 천국으로 가는 길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있었어요.이런 미로정원을 탈출하는 방법을 연구한 사람은 다름 아닌 수학자예요.
미국
의 수학자 노버트 위너는 “벽을 따라가면 반드시 출구로 나올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지요.미로에 숨겨진 의미를 알려달라는 부탁을 받고 이 자리에 섰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성당에 새겨진 미로를 ... ...
은둔의 수학 영웅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페렐만은 2002년 푸앵카레 추측을 해결했다고 밝히며 논문을 인터넷에 올렸다. 곧이어
미국
의 대학을 몇 군데 돌면서 강연했는데, 푸앵카레 추측을 해결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강연은 갈수록 붐볐고 기자들도 찾아오기 시작했다.그런데 바로 그 때 페렐만은 고향으로 돌아가 버렸다. 인터뷰를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하고 중요 시설물을 파괴하는 피해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이 재미있는 아이디어는 1974년
미국
의 레오나드 볼 박사가 처음 제안한 것으로 뇌운과 피뢰침 사이를 레이저광으로 연결해 낙뢰가 발생하기 전에 뇌운에 축적된 정전기를 방전시킨다는 계획이다. 뇌운에서 빠져나온 정전기는 레이저가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구조 연구에 뛰어들었다. 그들 중에는 지난해 요나트 박사와 함께 노벨화학상을 받았던
미국
예일대 토머스 스타이츠 박사와 영국 케임브리지 분자생명연구소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 박사도 있었다. 요나트 박사는 리보솜 구조 연구의 선구자였던 셈이다.드디어 2000년 요나트 박사를 비롯한 3명의 ... ...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올리는 데 실패했다.나로호 두 번째 발사를 앞두고 성공 확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미국
과 유럽, 중국 등 우주개발 선진국들이 로켓 발사에 성공하기까지 최소 수십 차례 발사 실패를 경험했기 때문이다. 나로호 발사를 맡고 있는 우주 전문가들은 “우주에 로켓을 쏘아 올린 선진국의 발사 ... ...
도덕심, 자기장에 흔들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매사추세츠대 리안 영 교수팀은 자기장이 사람의 도덕적 판단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
미국
립과학원회보(PNAS)’ 4월 13일자에 소개했다. 실험참가자의 머리에 자기적인 변화를 주고 어떤 상황의 도덕성을 판단하라고 제시했더니, 대다수 참가자에게서 정황은 무시하고 오직 결과로만 판단하는 ... ...
iPad 열풍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아이패드용 애플리케이션을 제품 출시와 함께 내놨다. 올해 6월 남은 학기를 끝내기 위해
미국
으로 돌아갈 예정이라는 그는 “이미 해외 기업들이 아이디어를 선점한 아이폰 애플리케이션 시장 대신 아이패드 시장은 아직 가능성이 많다”며 “사용자 입장에서 사진이나 동영상, 전자책처럼 ‘보는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이에 대해 이종필 연구원은 “한국 사회는 과학적 ‘오리지널리티’가 거의 없다.
미국
과 일본에서 들어온 용어나 사고체계의 틀로 세상만물을 바라본다”며 “과학기사에서 정확성과 엄밀함, 그리고 다양한 시선을 담아야 하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라고 지적한다.이런 목표와 가능성에도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못하는 하급 포도를 연료로 이용한 미생물연료전지를 시험 가동했다. 이 연구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브루스 로건 교수팀이 주도하고 있는데, 향후 그 연구결과에 대한 관심이 매우 크다. 장기간 가동하며 기상관측센서에 전력 공급할 수도미생물연료전지를 이용한 다른 응용분야로 오염저니 ... ...
이전
807
808
809
810
811
812
813
814
8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