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296건 검색되었습니다.
더 안전하게, 광범위하게...'올인원' 유전자가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작용하는 것을 'RNA 의존적(dependant)'이라고 부른다. 배상수 서울대 의과대학 분자유전
공학
실험실 교수는 "RNA 의존적인 재조합효소가 처음으로 발견됐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핵심"이라며 "수정할 염기서열을 조절하기 용이해 통합적이고 설계하기도 쉬운 유전자 교정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라고 ... ...
[과기원NOW] 포스텍, 루푸스 발병 메커니즘 밝혀내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학술지인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최근 게재됐다. ■ KAIST는 박제균 바이오 및 뇌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다양한 '스페로이드' 배열을 맞춤형으로 손쉽게 제작하고 이를 구획화해 다중 시약 처리를 할 수 있는 조립형 마이크로어레이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세포들이 뭉쳐 생성된 구형 ... ...
UNIST 제5대 총장에 박종래 서울대 재료
공학
부 명예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재료
공학
부 명예교수. UNIST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5대 총장으로 박종래 서울대 재료
공학
부 명예교수가 선임됐다. UNIST는 26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제40회 임시이사회에서 박종래 서울대 명예교수를 차기 총장으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서울대 기술지주회사 대표이사와 ... ...
[과기원NOW] KAIST, 챗MOF로 96.9% 금속 유기 골격체 물성 예측하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AI) 챗봇 '챗MOF(ChatMOF)'가 적절한 답변을 제공한다. KAIST 제공 ■ KAIST는 김지한 생명화학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 기반의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해 금속 유기 골격체(MOF)의 특성을 예측하고 새로운 재료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챗봇 시스템 '챗MOF(ChatMOF)'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 ...
[사이언스게시판] 반도체 학생들, '내 칩(My Chip) 서비스' 통해 전문가로 발돋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참여했던 학생들이 경험과 성과를 공유하는 교류회를 26일 제주도에서 개최되는 대한전자
공학
회 하계 학술대회에서 시행했다고 밝혔다. '내 칩 서비스'는 반도체 설계 전공 학부생 및 대학원생들이 스스로 설계한 칩(Chip)을 공공 팹(Fab)에서 제작해 직접 검증할 기회를 부여하는 실무 인재 양성 ... ...
"불가능으로 여겨졌던 양자컴 오류 수정 성공…상용화 앞당길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앞으로 많은 개선이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양자과학은 순수과학과
공학
응용이 결합한 학문"이라며 "100큐비트급 되는 기기들이 근미래에 출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
[사이언스게시판] 생명연,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의료 기술개발 본격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치료기술개발 사업단장. 생명연 제공 ■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은 인공아체세포를 활용한 재생치료 원천기술 개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14일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치료기술 개발 사업단'을 설치해 업무를 개시했다. 허정임 사업단장이 이끄는 ... ...
[과기원NOW] KAIST, 폴란드 작가 조형물 'HOPE' 설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성능은 높이면서 환경 보호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화학
공학
회지' 7월호에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25일 오룡관에서 광주·전남 지역 대표 기업인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인식 지식융합연구소 소장을 초청해 조찬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국내 ... ...
연세대 설치될 IBM 양자컴 모형…연기도 찍는 '퀀텀닷' 이미지센서 한눈에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초전도체 방식 외에도 구현이 가능하다. 성균관대 나노과학기술원(SAINT) 이온포획 양자
공학
연구실에서는 전하를 띤 입자인 이온을 전자기장으로 붙잡아 이를 하나의 큐비트로 활용하는 기술을 소개했다. 위지원 SAINT 연구원은 "현재 초전도 방식으로 구현한 큐비트는 개수가 많지만 인접한 ... ...
과기 유공자 김영걸 포스텍 명예교수 별세…美대학 종신직 마다하고 귀국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당시 국내에 관련 분야 대형 국제학회를 유치해 성공적으로 개최하는 등 우리나라 화학
공학
계 국제적 리더십 확보에도 기여했다. 이러한 업적과 공로로 2019년 정부가 지정하는 과학기술 유공자로 지정된 바 있다. 빈소는 이대서울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27일 오전 10시 고별식이 진행된다.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