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2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입으면 땀에서 '포도당 수치' 감지하는 웨어러블 시스템동아사이언스 l2024.06.13
- 펑셔널 머터리얼스‘에 지난 4월 온라인 출판됐다. (왼쪽부터) 박인규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정준호 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하지환 KAIST 박사과정생(제1 저자). KAIST 제공 ... ...
- [과기원NOW] GIST, 광양시와 인재 양성 및 신산업 육성 위한 MOU 체결 外동아사이언스 l2024.06.13
- 1시부터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최영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이 뇌 표면 뉴런 활동을 실시간으로 시각화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지난 4월 24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중개의학'에 공개했다고 12일 밝혔다. 최 교수팀이 개발한 뇌피질뇌파 ... ...
- 홀로그램 구현해 원자·분자 구조 파악하는 '초고속 카메라'동아사이언스 l2024.06.12
- 입자의 홀로그램 패턴을 더 명확하게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포스텍은 김동언 첨단원자력공학부 교수팀이 쑤안양 라이 중국과학원 우한 물리수학연구소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단일 주기 레이저 펄스로 입자의 광전자 홀로그램 패턴을 추출하고 조작하는 데 성공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 ...
- [과기원NOW] DGIST, 뇌 속 세포들 간 소통방법을 집대성한 종설 논문 발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6.12
-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세포다. ■ 포스텍은 장진아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와 황동규 바이오프린팅 인공장기 응용기술센터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이 바이오프린팅과 조직 조립 기술을 결합해 복잡한 좌심실 근육의 섬유 구조를 정확하게 재현한 모델을 ... ...
- 로봇이 음식쓰레기·재활용품도 구분…복잡한 인간 촉각 모방동아사이언스 l2024.06.12
- 높은 정확도로 구분할 수 있는 로봇이 개발됐다. 롱 주 중국 칭화대 정밀기기·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인간의 열감을 모방해 물체를 잘 구별할 수 있는 촉각 센서를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응용물리학리뷰’에 11일 발표했다. 사람은 물체가 뜨거운지, 차가운지, 부드러운지, ... ...
- ETRI, CDMA 상용화 공로로 IEEE 마일스톤 등재동아사이언스 l2024.06.11
- 국내 연구진이 세계에서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기술이 전기전자공학자협회(IEEE)가 주관하는 마일스톤에 등재됐다고 밝혔다. 북미·유럽·일본과 같은 기술 강국이 업적의 대부분인 IEEE 마일스톤에 한국 기술이 선정된 것은 최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SK텔레콤, ... ...
- 잡아당겨도 고해상도 유지하는 OLED 디스플레이동아사이언스 l2024.06.11
- 해상도가 떨어지지 않는 신축형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KAIST는 유승협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늘려도 고화질을 유지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반의 신축형 디스플레이를 개발한 연구 결과를 4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 ...
- 상온 양자컴 가능성 열었다…2차원 '스커미온' 생성·제어 첫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4.06.11
- 양자기술연구소 양자자기센싱그룹이 김갑진 KAIST 물리학과 교수팀, 이창구 성균관대 기계공학과 교수팀, 임미영 미국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LBNL) 연구원과 함께 상온의 2차원 자석 표면에서 스커미온을 구현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3일 ... ...
- [과기원NOW] 이재석 GIST 명예교수, 일본고분자학회 국제상 수상 外동아사이언스 l2024.06.10
-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신소재공학부 이재석 명예교수가 일본고분자학회 '국제상'을 수상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상은 고분자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일본과의 교류에 공로가 큰 연구자에게 주어진다. 이 교수는 고분자 합성 중 음이온 중합에 ... ...
- 레이저로 열에너지 정밀 제어…고효율 AI반도체 공정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6.10
-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장재은 교수와 권혁준 교수 공동연구팀이 인공지능(AI)형 메모리 트랜지스터를 고효율로 만들 수 있는 공정기술을 개발해 연구결과를 지난달 1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공개했다고 10일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