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298건 검색되었습니다.
- [푸드테크 뜬다]④ 육류와 근접 '식물성 대체육' 우려되는 조류독감도 예방동아사이언스 l2024.06.21
- 겉모양뿐 아니라 맛과 텍스처도 실제 고기와 점점 비슷해지고 있다. 김필 가톨릭대 생명공학과 교수는 “조직, 형태, 맛은 3D 인쇄기술, 식용 지지체 배합기술 등 식품가공기술 수준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선도기업들은 상당히 유사한 수준에 도달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짐육 대비 ... ...
- [과기원NOW] KAIST "GPT-4V 보다 뛰어난 대형언어모델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2024.06.20
- LMM) '모아이(MoAI)' 성능을 나타낸 모식도. KAIST 제공 ■ KAIST는 노용만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비공개 상업모델인 'GPT-4V'와 구글 '제미나이-프로'를 뛰어넘는 공개형 멀티모달 대형 언어모델(LMM) 2종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LMM '콜라보'와 '모아이'는 단순히 모델의 크기를 ... ...
- 녹슨 철로 그린수소 만든다…"태양광 수소전환 효율 3배 향상"동아사이언스 l2024.06.20
-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장지현 에너지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산화철을 사용한 광전극을 이용해 친환경 수소 생산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수소 생산은 주로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어 환경에 부담을 준다”며 ... ...
- 단단하면서도 길이 5배까지 늘어나는 '유리성 젤'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6.20
-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이클 디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화학 및 생체분자공학과 교수팀이 단단한 유리성 폴리머과 말랑말랑한 젤의 장점을 모두 갖춘 소재를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1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다. 유리(glass)는 원자들의 배열이 일정하지 않은 비정질 ... ...
- 우리 아이 뇌는 어떻게 성장할까…두뇌 발달 ‘열쇠’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24.06.19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소속 홍석준 성균관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뇌의 외적 정보처리와 내적 정보처리를 담당하는 ‘대규모 기능적 전뇌 네트워크’들이 형성되는 과정을 아이들의 뇌 영상을 성장 시기별로 분석해 밝혀냈다고 19일 밝혔다. 외적 ... ...
- 텍스트 입력만으로 정밀한 3D 동작 '뚝딱'동아사이언스 l2024.06.19
- 복잡한 과학 실험을 가상으로 수행하는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응용 가능하다. 로봇공학에서도 이 기술을 적용해 정밀하게 손동작을 제어하면 로봇과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번 연구 논문의 제1저자인 차준욱 UNIST 연구원은 “텍스트 프롬프트와 손과 물체의 상호작용 ... ...
- 여름철 폭염, 10일 전부터 정확히 예측한다동아사이언스 l2024.06.19
-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고 말했다. 두 논문의 제1저자인 탁선래 UNIST 지구환경건설도시공학과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로 여름철 국민들에게 정확한 폭염 정보를 제공해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 ...
- 자율차·사람운전 사고율 비교해보니…"자율차가 낮지만 새벽·해질녘엔 높아"동아사이언스 l2024.06.19
- 필요하다는 지적도 동시에 제기됐다. 셩슈안 딩 미국 플로리다대 토목·환경 및 건설공학부 연구원팀이 자율주행 차량과 인간이 직접 운전하는 차량의 사고 발생 데이터를 비교하고 연구결과를 1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했다. 자율주행 기술은 도로 사고의 주요 원인 중 ... ...
- [사이언스게시판] 극지연구소, LG전자와 극지역 환경보호 나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6.18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뇌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등 13 곳이다. ■ 과기정통부는 한국산업기술연구조합연합회와 민간 주도 기술혁신 및 협력·융합 연구개발(R ... ...
- 노준석 교수, 한국인 최초 美 화학회 '나노 렉처십' 수상동아사이언스 l2024.06.18
- 중 1명으로 이름을 올렸다. 포스텍은 노준석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 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미국 화학회(ACS)에서 선정하는 ‘2024 ACS 나노 렉처십(Nano Lectureship)’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18일 밝혔다. 화학 분야에서 가장 큰 국제 학회인 ACS의 국제학술지 ‘ACS 나노’는 2012년부터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