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d라이브러리
"
미생물
"(으)로 총 1,584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의 주요 지진 발생 지역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 바이러스 등
미생물
을 취급할 때 생기는 감염재해(感梁災害) 생물재해라고도 한다
미생물
실험실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연구대상인 병원(病源)
미생물
(세균 · 바이러스 · 진균 · 기생충 등)에 감염되는 실험실 내 감염과 병원에서 의사 등 종업원이나 환자가 약재 내성균(耐性菌) 등에 감염되는 ... ...
숲 속에 핀 '나무의 귀' 목이버섯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초여름 그늘 사이로 햇빛을 받아 더욱 빛나는 숲의 초록을 만끽하고 코끝을 찡하게 할 정도로 싱그러운 풀내음을 맡으며 산을 오르다 보면 활엽수 고목에 귀처럼 달린 버섯을 만날 수 있다. 바로 목이(木耳)버섯이다. 버섯 이름도 ‘나무의 귀’라는 뜻이다. 우리나라에서 이 버섯은 이른 봄부터 ... ...
갈릴레오 시스템용 두 번째 위성 발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내부구조를 사진찍을 수 있다여러가지 화학적 변화로 식품에 변질 또는 부패를 일으키는
미생물
· 효소 등을 사멸 또는 불활화시키는 처치 주로 식품저장에 이용한다 식품의 방사선 조사는 목적에 따라 저선량조사 · 중선량조사 · 고선량조사로 나눈다방사선이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 ...
“신토불이~!” 우주로 가는 한국음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그런데 이번에 우리나라가 승인을 받으면서 세 번째 나라가 된 거죠.지구에서는 안전한
미생물
이 우주에서 돌연변이를 일으킬수 있기 때문에 우주 식품은 꼭 멸균처리를 해야 해요. 그래서 김치는 방사선으로 젖산균을 없앴어요. 또 곡물가루는 막대 형태로, 수정과는 가루로 만드는 등 우주에서 ... ...
3. 고품질 바이오석유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17만 곳의 주유소, 자동차 2억4300만 대의 엔진을 바꿔야하는 문제가 있다.반면
미생물
이 당분을 먹고 석유, 즉 탄화수소를 만들어내면 생산과정이 훨씬 단순해진다. 기름은 물과 섞이지 않기 때문이다. 인공균주는 당분을 섭취해 탄화수소로 만든 뒤 세포 밖으로 배출한다.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 ...
바다의 '젖줄' 하구역 살려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때문이다.그 결과 하구역(강어귀)엔 ‘검은 그림자’가 드리워졌다. 바다에 사는
미생물
인 플랑크톤의 종조성이 바뀌고 갯벌과 연안서식지가 줄어 어민들의 생계를 위협했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서해안의 어획량도 급감했다. 연구단의 강성현 박사는 “한강하구 섬들을 잇는 연도교 부근에 ... ...
지구온난화 가속시키는 바이오연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 방선균 · 곰팡이 · 조류(藻類) 등의
미생물
을 대량으로 배양해서 만들어지는 단백질
미생물
단백, 균체단백, SCP라고도 한다 단 한 개의 세포로 된 동물 아메바 · 짚신벌레 · 대양충 같은 동물이 이에 속한다 몸이 한 개의 세포이기 때문에 특별한 기관은 없고 식포(食胞) · 수축포(收縮胞) 등의 ... ...
반도체 나노 조각가, 플라스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상태의 물을 활성수라 부르는데 pH가 2.8~3.0으로 산성을 띤다. 활성수를 테스트한 결과
미생물
살균력이 뛰어나 농약을 대신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 상추 같은 채소에 뿌려주면 일시적으로 성장을 멈추게 해 출하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과일이나 꽃에 분무하면 신선도가 오랫동안 유지되는 ... ...
첨단과학 포장이사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 직물, 목재를 갉아 먹는 벌레가 생기지 않게 신경 써야 한다. 습기가 높고 따뜻하면
미생물
이나 곰팡이가 생기므로 서늘하고 건조한 환경을 유지해야 한다.6. 햇빛과 먼지 : 유물은 먼지와 공기 속의 불순물에도 영향을 받는다. 공기 중의 황 성분이 납이 든 물감과 만나면 황화납이 만들어지면서 ... ...
PART1 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장식하는 산호도 상황이 다급해지면 친구를 버린다. 몇몇 산호는 광합성을 하는
미생물
인 조류에게 서식지를 제공한다. 대신 조류는 광합성 산물을 산호와 나눈다. 그런데 지구온난화로 수온이 급증하면서 산호와 조류의 공생이 흔들리고 있다. 조류는 어느 선 이상으로 수온이 올라가면 제 몸을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