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d라이브러리
"
미생물
"(으)로 총 1,584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烽燧臺) 역할을 한 셈이다. 봉화 신호를 받은 면역계는 항균물질을 생산해 침입
미생물
을 제거했다.이 연구결과는 2003년 8월 ‘네이처 이뮤놀로지’와 2006년 3월 ‘생화학저널’에 실렸다. 생체신호를 전달하는 단백질 구조를 밝힌 이 연구는 염증반응은 물론 선천성 면역질환의 비밀을 푸는 열쇠가 ... ...
안개 속에 감춰진 공포의 진실 미스트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잡아 입에 넣는 역할을 한다. 대개 히드라는 풀잎이나 물속 나뭇가지에 붙어살면서
미생물
을 잡아먹는다. 히드라는 그 특이한 생김새 때문에 그리스신화에서 영웅 헤라클레스와 대적하는 괴물로 등장하기도 했다.긴 촉수 끝에 날카로운 이빨이 달린 괴물로는 구충이나 편충 같은 기생충이 있다. ... ...
남극 녹아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다른 화합물에 저항성이 있도록 가공한 효소 정화되는 효소도 단독인 것에서 복수로, 또
미생물
균체·동식물 세포로 넓혀지고 있는데, 효소를 비롯한 이들 생체 입자의 고정화에는 인공내장기관이나 새로운 의약으로의 용도도 기대되고 있다 고주파 전력의 가열효과(加熱效果)를 이용한 각종 가공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때문에 사람의 엄지는 강한 힘을 내며 크게 회전할 수 있다운동성을 갖는 단세포
미생물
의 일종으로 크립토스포리디움, 지아디아와 같은 기생성 원생동물은 수인성 전염병의 원인이 된다물이 흐린 정도를 나타내는 탁도의 단위 정수를 거친 수돗물의 탁도는 00 ... ...
PART 2 유출 원유 3분의1 회수한 태안의 기적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알래스카 연안이 오염된 이후 회복이 더뎠던 까닭도 추운 지역이기 때문이었다.한편
미생물
이 기름을 분해할 때는 산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산소가 원활히 공급될수록 분해속도도 빠르다. 결국 내년 여름을 나면서 강한 햇볕에 노출되고 폭풍과 태풍을 겪어야 기름찌꺼기가 없어질 전망이다 ... ...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미래가 장밋빛인 것만은 아니다. 만약 누군가 나쁜 의도로 인체에 치명적인
미생물
을 만들어 무기로 사용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과학자들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생명의 버전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2009년은 영국의 과학자 찰스 다윈이 진화론으로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표시된다 지구에서 가장 흔한 가연성 가스이며, 자연 상태에서는 생물의 유해 등이
미생물
로 분해됨으로써 발생한다DNA에서 발현돼 만들어진 mRNA를 이용해 거꾸로 만든 DNA 염기서열조각 발현된 부분이기 때문에 유전자이거나 그 일부일 가능성이 높다컴퓨터 시스템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고 ... ...
PART 1 태안의 기억을 채집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바지락과 토양 샘플을 분석해 초기 오염상태를 파악하면 이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
로 2차 방제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열대바다에 사는 플랑크톤을 연구하는 노 박사는 “플랑크톤은 굴이나 조개보다 기름 유출사고의 피해를 덜 받는 편이지만 플랑크톤을 먹는 다른 물고기에까지 연쇄적으로 ... ...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하는데, 충치 같은 치과질환을 일으키는 병원균이나 송유관이나 수도관을 오염시키는
미생물
도 같은 특징이 있다.2004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의 제임스 리아오 교수팀은 ‘인공 정족수 인식회로’를 만들어 이런 생체조절 메커니즘이 없는 대장균에 주입한 뒤 이 유전자회로가 잘 ... ...
'팔방미인' 독도의 속살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갈조류의 뿌리에서 새로운
미생물
6종을 찾아냈다. 이 가운데는 항생물질을 만드는
미생물
도 포함돼 있어 신약 개발의 기대주로 주목받고 있다. 노현수 박사팀은 독도의 해양퇴적물에서 선형동물 2종을 발견해 Prochaetosoma dokdoense, Paradraconema asiaticum이라고 학명을 붙였다. 이름에 ‘독도엔스’와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