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d라이브러리
"
미생물
"(으)로 총 1,584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하는데, 충치 같은 치과질환을 일으키는 병원균이나 송유관이나 수도관을 오염시키는
미생물
도 같은 특징이 있다.2004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의 제임스 리아오 교수팀은 ‘인공 정족수 인식회로’를 만들어 이런 생체조절 메커니즘이 없는 대장균에 주입한 뒤 이 유전자회로가 잘 ... ...
예비 과학도를 위한 글쓰기 매뉴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있듯 탄탄한 논리로 무장한 자신의 글에 흡족해할 날이 곧 올 것이다.강호정 서울대
미생물
학과를 졸업한 뒤 영국 웨일스대에서 습지생태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과학자에게 연구능력 못지않게 글쓰기 능력이 중요하다는 신념으로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때문에 사람의 엄지는 강한 힘을 내며 크게 회전할 수 있다운동성을 갖는 단세포
미생물
의 일종으로 크립토스포리디움, 지아디아와 같은 기생성 원생동물은 수인성 전염병의 원인이 된다물이 흐린 정도를 나타내는 탁도의 단위 정수를 거친 수돗물의 탁도는 00 ... ...
PART 1 태안의 기억을 채집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바지락과 토양 샘플을 분석해 초기 오염상태를 파악하면 이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
로 2차 방제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열대바다에 사는 플랑크톤을 연구하는 노 박사는 “플랑크톤은 굴이나 조개보다 기름 유출사고의 피해를 덜 받는 편이지만 플랑크톤을 먹는 다른 물고기에까지 연쇄적으로 ... ...
다시 보면 고마운 '키다리 아저씨' 혐기성
미생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무성할 뿐이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점은 인간이 살 수 없는 무산소 환경에서 혐기성
미생물
이 ‘키다리 아저씨’처럼 우리를 돕고 있다는 사실이다 ... ...
'팔방미인' 독도의 속살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갈조류의 뿌리에서 새로운
미생물
6종을 찾아냈다. 이 가운데는 항생물질을 만드는
미생물
도 포함돼 있어 신약 개발의 기대주로 주목받고 있다. 노현수 박사팀은 독도의 해양퇴적물에서 선형동물 2종을 발견해 Prochaetosoma dokdoense, Paradraconema asiaticum이라고 학명을 붙였다. 이름에 ‘독도엔스’와 . ...
Part 3 우리 생물자원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우리는 마침내 생물도둑을 붙잡았어. 생물도둑의 가방 속에서는 수많은 식물 씨앗과
미생물
이 사는 흙, 동물의 DNA 샘플 등이 나왔단다. 도망치게 했다면 정말 큰일이었을 거야. 그는 생물도둑을 꽁꽁 묶어 경찰에 넘겨 준 뒤 내게 말했어.네가 할 일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첫째, 우리 주변의 생물에 ... ...
Part 2 보석보다 소중한 신토불이 생물자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Part 2 보석보다 소중한 신토불이 생물자원그런 일이 있었군! 갑자기 화가 나는걸?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유용한 생물자원이 외국으로 빠져 나가고 있었다니. 그러면 ... 낼 수 있다. 의약품에 쓰이는 물질이나 알콜 등 우리 생활에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는
미생물
을 만들 수 있다는 뜻이다 ... ...
생물자원 전쟁 크리스마스 트리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부릉~ 부릉~ 끼익~.집에 가는 길에 선글라스를 쓰고 오토바이를 탄 괴한이 내 앞길을 가로막았어. 깜짝 놀라서 도망가는데 어느 새 발밑이 허전해지더라고. 괴한이 한 손으로 내 뒷덜미를 잡아 번쩍 들어 올렸던 거야. 살려달라고 애원하려는 순간 괴한의 입에서 뜻밖의 말이 흘러나왔어.“나는 미래 ... ...
Parrt I 생물자원 훔쳐가는 생물도둑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중남미 지역에서 재배하던 작물을 서양인들이 유럽으로 가져가 퍼뜨린 것이다. 최근에는
미생물
이나 사람의 유전자도 도둑질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면 생물도둑들이 어떤 짓을 했는지 대표적인 사례를 보여 주겠다.빼앗긴 인도의 상징‘님나무’님나무는 인도 전역에서 쉽게 볼 수 있다. 항균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