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BT+IT+NT 삼박자 갖춘 '똑똑한 폰'과학동아 l2008년 05호
- 정 단장은 “다양한 질환 바이오마커를 측정하는 원천기술이 될 것”이라며 “나노미터 수준으로 측정하면 진단 정확도도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국내 휴대전화 사용자는 2007년 기준 약 4000만 명으로 국민 대다수가 휴대전화를 사용한다. 이런 휴대전화를 이용하면 언제 어디서든지 사용자가 ... ...
- 유럽, 우주화물선 발사 성공과학동아 l2008년 05호
- 기술을 이용하여 측정결과를 숫자로 표시하는 계기 디지틀전압계·디지틀멀티미터가 대표적인 것들이다아날로그-디지틀 변환방식으로는, 측정값을 시간폭으로 변환하고 그 폭을 펄스에 의해 계수하는 계수방식과, 저울에 의해 무게를 계측할 때와 같이 표준이 되는 무게가 붙은 전압감과 주파수로 ... ...
- part 2 지구 위에 뜬 거대 실험실 국제우주정거장과학동아 l2008년 04호
- 우주왕복선의 부실뿐 아니라 여러 나라에 흩어진 제조공장의 일정 관리 실패, 인치와 미터 단위의 혼용에서 오는 혼란 등 여러 악재가 겹치면서 ISS의 조립기간은 원래 6년에서 2배인 12년으로 늘어나고 말았다. 예산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예상비용 500억 달러(약 50조 원)를 훌쩍 뛰어넘는 무려 130 ...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과학동아 l2008년 04호
- 더 필요하다. 지름이 약 2.4cm로 작은 안구에 칩을 심는 기술과 조직 두께가 50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도 안 되는 무른 망막 위에 칩을 고정하는 기술이 아직까지 미흡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최근의 기술 발전 속도를 고려한다면 2010년대 후반엔 인공망막이 보급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기술이 ... ...
- 천년이 지나도 변치않는 마야블루의 비밀과학동아 l2008년 04호
- 나오기 어렵다.키아리 박사는 “팔리고스카이트 표면을 전자현미경으로 보면 10~100nm(나노미터, 1nm=${10}^{-9}$m) 크기의 작은 섬유 같은 침상결정이 보인다”며 “그 결과 색소가 결합할 표면적이 크게 늘어나 선명한 쪽빛이 나오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고고학자와 재료과학자의 노력으로 ... ...
- 반도체 나노 조각가, 플라스마과학동아 l2008년 04호
- 핵심 변수인 회로 선폭을 줄이는 기술이 뒷받침됐기 때문. 최근에는 선폭을 50nm(나노미터, 1nm=10-9m)까지 줄인 반도체가 나왔다. 머리카락 두께의 1000분의 1도 안 되는 선폭을 구현하는 데는 플라스마가 한몫했다. 식각, 즉 반도체 기판 위에서 전류가 흐르는 도랑을 파는 기술의 핵심이 플라스마이기 ... ...
- 질병 진단의 신예 적혈구과학동아 l2008년 03호
- 연전현상을 보이는 원인은 무엇일까. 현재 가장 유력한 학설은 혈구 주변 수십 nm(나노미터, 1nm=10-9m) 내에서 혈장의 농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층이 생긴다는 농도 저하 이론이다. 이렇게 농도 차가 생기면 삼투압이 발생해 농도가 낮은 적혈구 표면에서 농도가 높은 주위 혈장으로 물이 빠져나간다는 ... ...
- 분자로 만든 북과학동아 l2008년 03호
- 9각형의 분자구조물들을 만들었다. 이 구조물들은 일산화탄소 분자의 크기인 0.1nm(나노미터, 1nm=${10}^{-9}$m) 높이의 벽 9개로 이뤄져 있으며 안에 전자가 갇힐 수 있도록 사방이 막혀 있어 북 모양이다. 마노하란 교수는 여기에 전자 30개를 넣고 일산화탄소 벽에 부딪힐 때 나는 소리를 관측했다.실험 ... ...
- 지웠다 쓰는 홀로그래피 나왔다과학동아 l2008년 03호
- 플라스틱에 스티렌계 색소를 섞은 고분자를 합성해 가로세로 10cm, 두께 100μm(마이크로미터, 1μ m=${10}^{-6}$m)의 필름으로 만들었다. 여기에 물체를 투과해 산란을 일으킨 빛과 녹색레이저를 함께 쏴 간섭을 일으킨 영상을 저장했다. 이 과정에서 고분자의 색소가 재배열되고 전자가 재배치되면서 ... ...
- PART4 지구온난화 늦춰줄 한 줌의 '소각재'과학동아 l2008년 03호
- 태우면 비산재(fly ash)와 바닥재(bottom ash)가 발생한다. 비산재는 수십 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크기로 작고 가벼워 집진설비로 포집한 뒤 중금속과 다이옥신을 걸러 배출한다. 바닥재는 미처 타지 못했거나 타지 않는 성분으로 구성된다. 무게가 무거워 소각장 바닥에 가라앉고, 비산재보다 ... ...
이전7879808182838485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