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기 꽂으면 색깔 바뀌는 유리과학동아 l2007년 09호
- 기술을 개발했다고 8월 8일 보도했다.보도에 따르면 연구팀은 프러시안 블루를 10~20nm(나노미터, 1nm=10-9m)의 크기로 녹여 잉크처럼 만들고 이를 투명한 금속판 2개 사이에 바른 다음 전기가 잘 통하는 이온화된 액체를 채워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을 썼다. 연구팀은 1.5V 건전지를 이용해 10초 이내에 ... ...
- 실리콘과 유기물 중매해 손톱만한 슈퍼컴퓨터 꿈꾼다과학동아 l2007년 09호
- 1년에 2배씩 증가한다’는 황의 법칙이 유행했다.그러나 반도체 회로의 선폭이 50nm(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 이하로 작아지면 원자의 크기보다 반도체 표면의막두께가 얇아지면서 전류가 줄줄 새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무어의 법칙이나 황의 법칙으로도 집적도를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 ...
- 친환경 여객기 보잉787 드림라이너 베일 벗다과학동아 l2007년 08호
- 기술을 이용하여 측정결과를 숫자로 표시하는 계기 디지틀전압계·디지틀멀티미터가 대표적인 것들이다아날로그-디지틀 변환방식으로는, 측정값을 시간폭으로 변환하고 그 폭을 펄스에 의해 계수하는 계수방식과, 저울에 의해 무게를 계측할 때와 같이 표준이 되는 무게가 붙은 전압감과 주파수로 ... ...
- 물분자 캡슐이 포획한 차세대 에너지원과학동아 l2007년 08호
- 얼음과 비슷하지만 분자구조는 다르다. 메탄하이드레이트는 물 분자가 0.5~0.7nm(나노미터, 1nm=10-9m) 크기의 축구공 모양으로 배열해 메탄이나 프로판, 이산화탄소 같은 기체 분자를 하나씩 담는다.이런 특이한 결정구조 때문에 1m3의 메탄하이드레이트에는 약 172m3에 이르는 기체를 저장할 수 있다. ... ...
- 광선총 든'산화물 해결사'가 떴다!과학동아 l2007년 08호
- 강유전체의 성질을 잃지 않는 한도에서 가장 얇아질 수 있는 한계는 이론적으로 2.4nm(나노미터, 1nm=10-9m)로 알려져 있었지만 누구도 이를 실험으로 증명하지 못했다.2004년 연구단은 이론적 한계에 근접한 두께 5nm의 강유전체 박막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그 전까지 가장 얇은 강유전체 박막은 두께가 ... ...
- 전기도 무선으로 전송한다과학동아 l2007년 07호
- 001mm 깊이까지 측정할 수 있는 마이크로미터 헤드, 또는 다이얼게이지를 갖춘 마이크로미터 깊이게이지까지 여러 가지가 있다봄철 남쪽 하늘에 보이는 별자리, 중국에서는 28수(宿)의 마지막 수인 진(軫)으로 불렸다처녀자리 · 바다뱀자리 · 컵자리 등에 둘러싸인 5개의 별이 이루는 비교적 작은 ... ...
- 화학반응 고삐'미니 숯'으로 잡는다과학동아 l2007년 07호
- 기능성나노물질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 유룡 교수는 나노미터 크기의 다공성 탄소물질을 연구하고 있는 국내의 대표적인 과학자다.실리카 거푸집으로 다공성 탄소물질 만들어유 교수가 나노 다공성 물질 연구에 발을 디딘 때는 1993년이다. 한 국제학회에서 나노크기의 ... ...
- PART2 꼭꼭 숨어있는 빛까지 잡아낸다과학동아 l2007년 07호
- 고분자태양전지는 한 장의 유리 또는 매우 얇은 플라스틱 기판 위에 두께가 약 200nm(나노미터, 1nm=${10}^{-9}$m) 이하의 고분자반도체 나노층을 입혀 만든다.두 태양전지는 정밀 반도체 공정의 비싼 장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1세대 태양전지에 비해 초기 투자비가 30%에서 70%까지 적게 든다.게다가 ... ...
- 나노세계선 뭐든 알아서 척척!과학동아 l2007년 06호
- 한다.자기조립 분야의 선구자인 미국 하버드대 조지 화이트사이즈교수는 10마이크로미터(μm, 1μm=${10}^{-6}$m) 크기의 육각형 튜브를 만든 뒤 튜브의 측면에 소수성 유기물질을 코팅했다. 화이트사이즈 교수는 이 물질 10만개와 소수성 유기물질을 이어주는 접착제를 물에 섞어 주면 이들이 자기조립해 ... ...
- 중력의 마술, 서커스 퀴담과학동아 l2007년 06호
- 줄과 다리가 쉽게 떨어져야 한다.파란 보호대에는 게코도마뱀의 발바닥처럼 수 마이크로미터(μm, 1mm=10-6m) 크기의 돌기들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이런 재질은 접착력은 그대로인 채 마찰력만 크게 높여준다. 돌기에는 ‘반데르발스힘’이 작용해 물체와 결합하는데, 돌기 하나하나의 마찰력은 작아도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