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수학자] 나라를 구한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됐습니다. 집합론은 주어진 조건에 맞는 대상을 모아놓은 ‘집합’을 연구하는 수학 분야죠. 이후 박사 학위를 받은 시에르핀스키는 우크라이나 리비우대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집합론을 가르쳤습니다. 그리고 동료 수학자들과 함께 1920년 위상수학과 집합론, 논리학, 수리 철학 등을 전문으로 ... ...
- 가습기 살균제는 폐질환과 관계없다? ‘무죄 판결’ 둘러싼 과학적 쟁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다르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일깨웠습니다. 임상, 역학, 노출, 독성 등 다양한 과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력한 가습기 살균제 사안에서 과학자들은 여러 가지 실험 결과를 보고 가중치를 둬서 결과를 추론하거나 인과관계를 판단했습니다. 반면 법원에서는 개별 증거별 접근 방식을 취했습니다. 예를 ... ...
- 현실로 다가온 위기, 변화로 맞서는 대학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프로젝트는 로봇, 미래형 자동차, 의료, 정보통신기술(ICT), 물 등 대구의 8대 신성장 산업분야에 대한 기업 수요 맞춤형 인재를 대학과 협력해 양성하는 계획입니다. 경북대, 영남대, 계명대, 금오공대 등이 참여했습니다. KAIST는 파격적인 새 학제 ‘융합인재학부’를 신설해 미래를 대비하고 ... ...
- [특집] 몽골인보다 정확하다! 이미지 인식 AI의 쓰임새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이용해 이미지에서 물체의 패턴을 찾아 인식하죠. 딥러닝이 등장하기 전, 기계학습 분야에서는 수많은 데이터를 학습해 경험적으로 패턴을 찾아 이미지를 인식했습니다. 예를 들어 사과와 딸기 이미지를 학습하면 사과는 전체가 둥근 가장자리를, 딸기는 일부분이 둥글면서 각진 가장자리를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하는데요. 강 교수님이 연구하는 수리사회학이나 요즘 화제가 되는 데이터사이언스 분야에서는 비정형 데이터를 정형 데이터로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강 교수님은 수학동아와의 인터뷰에서 나눈 대화를 예로 들어 설명했어요. 강 교수님은 “오늘 대화에서 중요한 단어 네 가지를 꼽아 보면 ... ...
- [수학체험실] 퍼즐인 듯 퍼즐 아닌 퍼즐 같은 너~ 아르키메데스 퍼즐, 스토마키온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만드는 것이다. 특히 두 번째는 주어진 성질을 만족시키는 가짓수를 연구하는 수학 분야인 조합론에 해당한다. 실제로 2003년 미국의 수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인 빌 커틀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14개의 조각으로 정사각형을 만드는 방법은 총 1만 7152가지이고, 회전과 대칭으로 같아지는 ... ...
- [과학뉴스] 레이저 기술 혁신 불러올 ‘빛의 눈사태’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빛의 세기를 뜻한다. 이번 연구결과는 전자현미경과 같이 레이저 기술이 필요한 광학 분야에 활용될 전망이다. 연구에 참여한 이창환 컬럼비아대 기계공학과 연구원은 “이번 연구결과를 적용하면 상업용 공초점 현미경도 가장 최근 개발된 초고해상도 이미징 시스템에 버금가는 70nm 해상도로 ... ...
- [코로나19 업데이트] 불안한 겨울에서 회복의 일상으로 코로나 블루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왼쪽 안와전두 회백질이 3.0%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는 2019년 12월 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뉴 잉글랜드 의학저널’에 발표됐다. doi: 10.1056/NEJMc1904905 불안과 공포처럼 코로나19가 불러온 부정적 감정 변화는 해마 끝부분에 연결된 편도체가 주관한다. 공포나 불안은 편도체를 포함한 ...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소통 둘 다 놓치지 않는 과학자가 되는 것이 최종 꿈”이라고 말했다.세계에서는 그 분야에 가장 앞선 과학자가 책을 출판하는 일이 흔하지만, 아직 국내에는 그런 과학자가 많지 않다.정 교수는 “외국에서는 교수의 정년보장(테뉴어) 심사 등에 저서나 강연 활동을 일정 점수로 인정해주는데, 아직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있고, IQSEC3 단백질의 새로운 작동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새로운 분야인 만큼 어려움도 있다. 사람에게 나타나는 뇌질환의 원인과 치료법을 찾아내는 연구는 실제 사람의 뇌 조직을 이용한 연구가 필수지만, 환자의 뇌 조직을 얻는 데 한계가 있다. 엄 교수는 이런 어려움을 해외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