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뉴스
"
돌연변이
"(으)로 총 971건 검색되었습니다.
피 안 멎는 혈우병, 세포치료제로 고칠 수 있나
2015.07.24
유전자 가위는 DNA에서 원하는 염기서열만 찾아내 잘라 내는 효소를 말한다. 혈우병
돌연변이
유전자를 교정한 줄기세포를 혈액응고인자를 만드는 혈관내피세포로 분화시킨 뒤 혈우병에 걸린 쥐에게 이식했다. 쥐의 꼬리를 잘라 인위적으로 출혈을 일으키자 이 세포를 이식받지 않은 쥐는 평균 65분 ... ...
새 대장암 치료제 나온다
2015.07.22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대부분의 대장암은 APC라는 암억제 유전자에
돌연변이
가 생겨 발생한다. 세포증식을 일으키는 ‘윈트(Wnt)’ 신호가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면 ‘베타카테닌’이라는 단백질이 세포 내에 축적되고 이것이 핵 안으로 들어가 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 ...
효소 하나 때문에 수명 18% 늘거나 39% 줄거나
2015.07.21
이 효소(HEL-1)를 과다발현 시키자 수명이 최대 18% 늘어나는 사실을 확인했다. 반대로
돌연변이
덕분에 평균수명 보다 2배 이상 오래 사는 예쁜꼬마선충의 체내에서 이 효소 단백질의 기능을 저해시키자 수명이 약 39% 단축됐다. 연구팀은 HEL-1이 인슐린 신호 조절에 작용하며, 특히 FOXO라는 수명연장 ... ...
청력장애, 유전자 치료로 고친다
2015.07.12
어린 나이부터 난청이 진행되는 열성난청에 해당한다. 다른 그룹은 TMC1 유전자에
돌연변이
를 일으킨 경우로 열성난청에 비해 발생 사례가 적은 우성난청에 해당한다. 태어날 땐 정상이지만 점차 청력이 줄어 10~15세에 난청이 생긴다. 연구팀은 아데노바이러스와 내이의 감각모세포 촉진제를 ... ...
종이 판다 아닌 야생 판다가 풀밭에 있다면?
2015.07.12
조절하는 주요 호르몬인데, 판다는 이 호르몬을 합성하는 데 필요한 유전자인 ‘DUOX2’에
돌연변이
가 생겼다. 팡 교수의 말처럼 판다는 진화적 딜레마에 빠진 것이 아닐 수 없다. 다행히 이런 판다를 돕는 손길이 많다. 중국을 비롯한 세계 연구진의 노력으로 현재 야생 판다의 수는 증가하고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06.29
유전 알고리듬은 풀고자 하는 문제에 대해 가능한 해를 임의로 정한 뒤, 생물 진화의
돌연변이
나 교배 등에서 차용한 수학 모델로 해를 조금씩 변형한다. 바꾼 해가 최종 목표에 얼마나 가까워졌는지 확인한다. 이 과정을 반복해 점점 더 좋은 해들을 만들어 낸다. 특정 능력이 특출난 약한 ... ...
“감염병 언제든지 재발… 질본 역량부터 키워야”
동아일보
l
2015.06.22
주로 유행하지만 밀접 접촉 시 사람도 감염된다. 특히 가장 치명적인 AI 바이러스인 H5N1은
돌연변이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 H7N9은 가금류에서 사람뿐만 아니라 사람 간 감염 사례도 있다. 제2, 3의 메르스 사태를 막는 데 가장 필요한 조치로 전문가들은 △질병관리본부의 기능 확대(54.3%) △의료진과 ... ...
“C형 간염 치료제, 환자 면역력 높여줘 효과”
동아일보
l
2015.06.15
심한 RNA 바이러스이기 때문이다. RNA 바이러스는 DNA 바이러스에 비해 최소 1000배 더
돌연변이
가 잘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보다는 유전자 변이가 적지만 다른 RNA 바이러스에 비해서는 변이를 잘 일으키기 때문에 백신 개발이 ... ...
암 유발하는 ‘염색체 파열’은 어떻게 일어나나
2015.06.14
염색체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잠재적으로 암을 유발할 수 있는
돌연변이
가 발생한다. ‘염색체 파열’이라 불리는 이 현상은 암환자나 발달증후군 환자의 세포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쉽게 말하면 염색체가 산산조각 난다는 의미다. 2012년 ‘네이처’를 통해 처음 밝혀졌지만, ... ...
세균과 바이러스, 누가 더 위협적인가
2015.06.13
퇴치하기에는 바이러스가 더 까다롭다.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유전자 구조를 바꾸면서
돌연변이
를 일으켜 항바이러스제의 약효가 제대로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최초의 후천면역결핍증(AIDS·에이즈) 바이러스 치료제인 아지도티미딘(AZT)도 개발된 지 얼마 안 돼 바이러스가 약물을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