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로
신작로
차도
찻길
진로
레일
경로
d라이브러리
"
궤도
"(으)로 총 2,146건 검색되었습니다.
안녕! 디스커버리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4월 24일, 나는 중요한 임무를 띠고 우주항로에 올랐다. 바로 12t이 넘는 허블우주망원경을
궤도
에 올리는 일이었다. 이를 위해 나는 지상에서 610km 상공까지 올라갔다. 당시로서는 우주왕복선이 올라간 가장 높은 고도였다.하지만 우주에서 날아 온 허블의 첫 사진은 매우 실망스러웠다. 초점이 맞지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기구 내의 의사 결정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1988년부터 본격
궤도
에 오른 ITER 사업에 한국은 2006년부터 참여하고 있으며, 전체 건설비의 9.09%에 해당하는 품목 10개를 제작하고 있다.베르너 부카트 IAEA 사무차장 역시 한국이 핵융합 분야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 ...
카운트다운,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뒤에 불꽃을 내뿜으며 하늘로 솟아올랐지만, 위성덮개인 페어링이 분리되지 않아 목표
궤도
에 오르지 못했지요.이번에 발사될 나로호는 1차 발사에서 분리가 되지 않았던 페어링의 구조를 개선했어요. 또, 발사 당시 철판이 떨어져 나가는 것처럼 보였던 빗물막이 철판도 없앴답니다. 이번에 나로호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별빛가림 현상’을 이용해 외계행성을 발견하기도 한다. 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의 공전
궤도
평면이 우리의 시선방향과 거의 나란하면 행성이 별의 표면을 횡단하는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지구보다 안쪽에서 공전하는 금성이나 수성도 태양면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모습이 종종 관측된다. 이렇게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건 재미있다.‘별에서 멀어 사람이 살기에 온도가 너무 낮다면 행성에 추진기를 설치해
궤도
를 안쪽으로 옮기면 어떨까.’ ‘항성이 좀 어둡다면 목성 같은 거대한 가스 행성을 먹이로 줘 핵융합 반응에 필요한 원료를 공급해 주는 건 어떨까.’ ‘외계인과 지구인이 함께 어우러져 살 수 있는 ... ...
소행성 충돌 사건의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지구에서만 관측해서는 궤적을 입체적으로 알아 내기 어렵다. 로제타 위성은 소행성의
궤도
평면에서 벗어나 있어 지구와 다른 각도에서 관측할 수 있다. 연구팀은 로제타 위성으로 관측한 영상과 허블우주망원경, 지상의 대형 망원경으로 관측한 영상을 바탕으로 소행성 파편의 궤적을 입체로 ... ...
[물리] 전기와 자기의 상호작용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자기장에 대전 입자를 수직하게 입사시켰다. 대전 입자가 그림과 같이 시계 방향으로
궤도
반지름이 감소하는 나선 운동을 하고 있을 때 전자의 운동에 대해 설명하시오.전문가 클리닉 균일한 자기장에 수직으로 입사한 대전입자는 자기장과 속도에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받습니다. 이때 자기장은 ... ...
하늘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애타게 찾게 되는 것도 열권의 갑작스런 변화 때문이다. 우주개발 국가들은 위성
궤도
를 점검하는 방법으로 열권의 밀도를 정밀하게 감시하고 예측하고 있다. 반대로 우주에 떠다니는 쓰레기는 더 오래 남아 있게 된다. 열권에는 더 이상 운행하지 않는 인공위성이나 로켓 탑재체들이 많이 떠다닌다 ... ...
‘곰보 자국’이 달 과거 알려줄까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파인 자국을 말하는데, 큰 것은 지름이 20km가 넘는다.NASA는 달 관측위성에 실려 있는 달
궤도
레이저 고도기(LOLA)를 이용해 5185개나 되는 크레이터를 자세히 관찰할 수 있다. LOLA가 보낸 고해상도 데이터로 크레이터의 너비와 깊이 등을 분석하면 가장 세밀한 달 지형도를 만들 수 있다.미국 브라운대 ... ...
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다할 수도 있다.1989년에 태양폭풍이 왔을 때, 미국 위성추적소가 1만 개가 넘는 위성의
궤도
를 추적하지 못했던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런 위험은 인공위성이 소형화되면서 더 커지고 있다.인간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없을까. 지상에 거주하는 사람은 지구의 대기나 자기권으로부터 보호를 받기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