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궤도"(으)로 총 2,1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때문에 로봇으로 분류하지는 않는다.지상로봇에는 바퀴를 사용한 차륜형, 캐터필러를 쓴 궤도형, 해양로봇에는 수상정형, 잠수정형, 수륙양용형 등이 있다. 초기에는 주로 정찰용이었지만, 요즘에는 전자전, 화생방 탐지, 장애물 제거, 수송 전투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미국의 아이로봇이 만든 ... ...
- 계산법의 혁명, 로그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09호
- 태양까지 거리의 로그 값의 비가 1.5라는 것을 발견했다. 행성 공전주기제곱이 궤도 반지름 세제곱에 비례한다는 것과 같은 의미다.로그가 천문학에 끼친 영향에 대해 프랑스의 수학자 라플라스는 “로그의 발견으로 천문학자의 수명이 두 배가 됐다”고 말할 정도다. 이처럼 로그는 컴퓨터가 ... ...
- 8분마다 기상예보가 달라진다과학동아 l2010년 08호
- 기상관측임무를 기획하고, 기상위성 선진국의 계획을 벤치마킹해 최신 정지궤도 관측 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천리안위성은 2011년 상반기부터 정상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천리안위성으로 인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상예보를 할 때 지상에 기반을 둔 관측 ... ...
- 슈퍼히어로의 천리안 위성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8호
- 드디어 고도 3만 6000㎞ 상공에서 원형 궤도를 돌게 된다. 이 때까지 약 2주가 걸린다. 정지궤도까지 가는 데만 2주가 걸린다고? 그럼 정보가 필요할 때 나도 2주나 걸려 위성까지 직접 가야 하나? 사고가 생기면 바로 나타나서 해결해 줘야 하는데….에휴~. 지구 환경을 감시하고 지키는 게 말처럼 쉬운 ... ...
- 나로호, 137초 장벽에 무너지다과학동아 l2010년 07호
- 8월 25일 첫 발사에서 이륙 216초 뒤 페어링 하나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아 위성을 제 궤도에 올리는데 실패했다. 비록 첫 발사에 실패했지만 나로호 1차 발사는 국내 연구진이 적잖은 로켓 발사 노하우를 축적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1차 발사 시도 과정에서 자동발사시퀀스의 오류를 잡아냈고 덕택에 ...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천재교육, 물리1 교과서 중- [생각 넓히기] 지구의 궤도와 혜성의 궤도가 만나는 곳에서는 혜성이 남기고 간 물질들이 지구의 중력권 내로 들어오는데, 이때 관찰할 수 있는 현상이 유성우이다. 유성우는 일 년에 수차례나 관찰된다. 1분 동안 많게는 수만 개의 유성이 ... ...
- 빙빙 돌며 중력과 싸우는 인공위성수학동아 l2010년 07호
- 제자리를 찾는다. 로켓이 우주로 올라가는 길을 닦을 뿐만 아니라 인공위성이 안정된 궤도에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해 주는 기본적인 학문이 바로 수학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로켓의 힘은 수학 지구를 탈출하는 꿈 치올코프스키의 공식으로 보는 로켓 원리 빙빙 돌며 중력과 ... ...
- 로켓은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수학동아 l2010년 07호
- 했던 과학기술위성2호도 340km까지 올라간 뒤에야 분리됐다. 결국 과학기술위성2호는 궤도에 진입하지 못하고 지구로 추락했다.두 번째 시도는 지난 6월 10일에 이뤄졌다. 그러나 이륙한 지 137초 만에 고도 70km 지점에서 1단 로켓이 폭발해 추락했다. 해군이 제주도 남쪽 바다에서 나로호의 잔해를 찾아 ... ...
- 작은 은하 잡아먹던 과거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생성돼 은하 외곽(헤일로)에 자리를 잡았다. 1세대 별들은 작은 각운동량에 찌그러진 타원궤도 를 갖게 됐으며, 이들 가운데 무거운 별은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며 중원소를 성간운으로 내뿜었다. 이어 원시은하운이 계속 수축할 때 성간운끼리 충돌하면서 에너지를 잃어 원반 모양으로 정착되고 ... ...
- 우주범선, 여름 밤하늘을 항해한다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약 70km/s(또는 14.75AU/년)의 속도를 얻을 수 있다. 태양의 중력을 이용한 중력 슬링샷 궤도에서는 30AU/년, 즉 빛의 속도의 2000분의 1 정도의 속도를 얻을 수 있다. ‘파피용’의 속도(시속 250만km로 약 146AU/년에 해당)에 비하면 조금 느린 속도다. 한편 레이저나 원자력을 이용해 강력한 복사압을 만드는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