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로
신작로
차도
찻길
진로
레일
경로
d라이브러리
"
궤도
"(으)로 총 2,146건 검색되었습니다.
빙빙 돌며 중력과 싸우는 인공위성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제자리를 찾는다. 로켓이 우주로 올라가는 길을 닦을 뿐만 아니라 인공위성이 안정된
궤도
에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해 주는 기본적인 학문이 바로 수학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로켓의 힘은 수학 지구를 탈출하는 꿈 치올코프스키의 공식으로 보는 로켓 원리 빙빙 돌며 중력과 ... ...
자연과 상상력 넘나드는 예술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천안함이 무슨 충격으로 어떻게 두 동강이 났는지, 나로호가 어떻게 발사돼 어떤 경로로
궤도
에 진입하는지, 지각 판이 어떻게 움직인 까닭에 아이티에 지진이 일어났는지를 전달하기 위해 뉴스에서도 말이나 글보다 이해하기 쉬운 그림들이 등장한다. 이런 그림을 과학일러스트레이션이라고 ... ...
한국 과학에 ‘일러스트 르네상스’ 올까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발사대를 떠난 나로호가 어떻게 분리되고 어느 순간에 위성을
궤도
에 올려놓는지 눈으로 확인할 길이 없다. 이륙한 지 수십 초만 지나도 로켓은 하늘을 뚫고 올라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항공우주일러스트레이션이 우주를 향한 인류의 도전을 낱낱이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 ...
나로호 2차 발사 관전 포인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지난해 8월 25일 발사된 뒤 위성보호 덮개(페어링) 하나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아 위성을 정상
궤도
에 올리는 데 실패한 한국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I)가 하늘길을 여는 두 번째 도전에 나선다. 실패를 딛고 재기에 나서는나로호 2차 발사를 미리 살펴봤다. ...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지난해 8월 25일 첫 번째 발사에서 위성덮개(페어링)가 분리되지 않아 위성을 목표
궤도
에 올리는 데 실패했다.나로호 두 번째 발사를 앞두고 성공 확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미국과 유럽, 중국 등 우주개발 선진국들이 로켓 발사에 성공하기까지 최소 수십 차례 발사 실패를 경험했기 때문이다. ... ...
방정식으로 풀어보는 GPS의 위치 계산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기법이 GPS 기술이다.먼저 지상 2만km 정도의 중간
궤도
에 인공위성을 24개 정도 쏘아 올린다. 위성중계에 쓰이며 고도 약 3만 6000km를 날아다니는 정지위성과는 다른 방식이다. 위성이 움직이지만 24개나 떠 있기 때문에 지상에서 보면 항상 5~8개의 위성을 관측할 수 ... ...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행성인 해왕성이었다.지금은 행성에서 빠졌지만 명왕성 발견도 비슷했다. 곧 해왕성의
궤도
가 뭔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이 드러났고, 계산에 의해 예측된 곳에서 명왕성이 발견됐다.✚패턴에 따르는 주기율표고대에는 물질이 몇 개의 원소로 이뤄져 있다고 생각했지만, 19세기에 이르면 ... ...
빗자루 타고 하늘로 슝~!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끌어당기고, 인공위성도 지구를 끌어당기기 때문이다. 단, 인공위성의 경우는
궤도
를 돌면서 발생하는 원심력이 중력을 없애 주는 효과를 내어 지구로 떨어지지 않는다.우주로 날아가 버리는 반중력 빗자루~!그러나 어떤 과학자들은 질량이 음의 값인 물질이 우주 어디엔가 있을 거라고 믿고 있어요. ... ...
끝없는 도전의 산물 NASA 우주복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최고의 하이라이트인 아폴로 프로젝트는 우주복 기술에도 비약적 발전을 가져왔다. 달
궤도
를 도는 사령선과 달착륙선으로 이뤄진 아폴로 우주선은 승무원 3명이 한 팀을 이뤘다. 달에 내릴 때는 사령선에 승무원 1명이 남고 착륙선에는 2명이 탑승하며 자신의 임무에 따라 서로 다른 우주복을 ... ...
π-day 즐기기 3 깊이 들여다보기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때 지나간 거리를 구할 때도 파이값이 필요하지. 파이값을 잘못 계산하면 인공위성이
궤도
에서 벗어나기도 한대. 인공위성이 우주 미아가 되고 마는 거지. 이런 실제 생활의 예를 보면 수학을 통해 과학은 늘 발전하고 진화하는 것 같아.이제 슬슬 파티를 마무리해야 할 것 같아. 아쉽지만 파티를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