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로
신작로
차도
찻길
진로
레일
경로
d라이브러리
"
궤도
"(으)로 총 2,146건 검색되었습니다.
달 알고 보니 '얼음 공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무인 ‘달 정찰
궤도
탐사선(Lunar Reconnaissance Orbiter)’이 보내온 첫 데이터가 9월 17일 공개됐다. 이번에 공개된 자료는 달 표면의 온도로, LRO에 탑재된 ‘디바이너(Diviner)’ 복사계로 달의 적외선을 측정한 값이다.달 표면의 온도를 달의 전 지역에서 구하긴 LRO의 자료가 처음이다. 이 데이터에서 가장 ... ...
나로 호, 우주강국 ‘
궤도
진입’ 실패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위성의 거리를 알아내는 데 필요한 핵심 장비인 레이저 반사경을 과학기술위성 2호가
궤도
에 정확히 올라가도록 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었다. 여기서 축적한 노하우는 레이저를 쏴 지표의 높낮이를 측정하거나 소형 위성 간의 거리를 오차 없이 측정해 편대 비행시키는 기술에도 응용된다. 내년 5월 ... ...
휴대전화 떨어뜨리면 가장 먼저 망가지는 부분은?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시속 수백km 이상으로 달려도 탈선할 염려는 없는지, 갑자기 강한 바람이 불어도
궤도
에서 벗어나지 않는지를 시뮬레이션하고 있습니다. 선로에 가해지는 힘을 계산하려고 한 량에 50t이 넘는 열차를 실제로 들어 볼 수는 없는 일이죠.” 배교수는 가상시뮬레이션이 왜 필요한지를 단적으로 설명했다 ... ...
화성에 핀 봄꽃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그린 꽃처럼 보이는 이 사진은 미국항공우주국의 화성정찰
궤도
선이 찍은 최근의 화성 모습이에요. 봄이 되면 화성에서는 이산화탄소 얼음이 기체로 승화하면서 주변 지형을 침식시켜요. 이 때 가스와 함께 분출된 먼지들이 얼음 표면 위에 쌓이면서 검은 부채꼴 형상을 만든 답니다. 어때요? 화성에 ... ...
북한 로켓 발사 소동 위성인가, 미사일인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단계에서만 쓸 수 있다.❺ 우주감시센터미국 콜로라도에 있는 방공우주사령부는 우주
궤도
에 있는 1㎝ 크기의 금속 파편 하나까지도 다 추적할 수 있다. 따라서 우주발사체라고 속이고 미사일 실험을 하는 경우 금세 구별해 낼 수 있다 우주는 어느 누구의 소유도 아니에요. 그러므로 평화적인 ... ...
달 착륙 증거 찾았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발사된 달
궤도
관측 위성의 카메라에 포착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7월 17일 달
궤도
관측 위성 LRO가 촬영한 달 표면 사진들을 공개하면서 “그중 한 장에 아폴로 11호가 착륙했던 곳이 있다”고 밝혔다.NASA의 설명에 따르면 당시 우주비행사였던 닐 암스트롱과 에드윈 버즈 올드린이 달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알 수 있다. 별 B의 시운동 궤적이 직선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별 B는 지구의 공전
궤도
면과 나란한 황도에 있다. 2) 별 A는 1년 동안 반지름이 0.04″인 원 궤적을 그리므로 연주시차는 0.04″이다. 별 B의 연주시 차는 약 3개월간 배경별에서 가장 멀어진 각이 0.01″이므로 연주시차는 .01″이다. ... ...
아폴로의 달 착륙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별도로 운영되는, 제안 당시에는 매우 무모한 아이디어였다. 하지만 우주선이 달
궤도
를 돌다가 지구로 귀환하는 임무를 맡고 착륙선은 달에서의 착륙과 이륙만 책임지는, 독창적이며 효율적인 방안이기도 했다.아폴로 계획이 진행되던 당시 대표적인 우주선이었던 1인승 ‘머큐리’는 ... ...
점점 작아지는 베텔게우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약 1억 5000만km).최근 측정 결과 이보다 15%가 작아졌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금성의
궤도
만 한 면적이 사라졌다는 뜻이다.1964년 노멜물리학상 수상자인 타운스 교수는 “매우 놀라운 변화”라며 “앞으로 이 별이 계속 수축할지 아니면 원래 크기로 돌아갈지 면밀히 관찰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나로 호 성공, 발사 뒤 5초에 달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성공 여부를 알리는 공식 발표가 있을 예정이지만 2단에서 분리된 과학기술위성이 제
궤도
에서 오르면 일단 성공으로 본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고도 302km에 안착한 과학기술위성 2호는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와 13시간 뒤 첫 교신을 한다.필리핀 해상 선박까지 동원현재 나로우주센터 연구진은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