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d라이브러리
"
속
"(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핫이슈] 뇌과학×작곡×수학, 뇌파로 만드는 나만의 노래!
수학동아
l
2022년 12호
해왔어요. 앞으로도 그렇게 하고 싶어요. 이하린 : AI는 워낙 빠르게 발전하고 기술도 계
속
새롭게 나오고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AIAR이 AI로 새로운 시도를 가장 많이 하는 단체가 됐으면 좋겠어요. 지금처럼 그 시도를 재밌게 풀어나가면 좋고요. * 안창욱 GIST 교수팀이 개발한 작곡가 AI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이용해 다양한 부품의 레고를 함께 쌓고, 레고에 색을 넣어보며 작품을 만들었지요. 레고
속
에 담긴 수학을 찾아 떠나 볼까요? ●영상 제목레고 공인 작가와 함께 레고 작품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님의 기상천외한 등교법 ‘내가 OO이라면’ 빨리 등교할 텐데!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이 완화되며 5월 2일부터 국내 모든 학교의 등교가 정상화됐어요. 섭섭박사님도 처음엔 친구들을 만날 생각에 설렜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피로가 덮쳤 ... 색소가 퍼지고 소금과 설탕이 녹는
속
도가 더 빠를 거예요. 이것도 역시 분자 운동의
속
도 차이 때문이랍니다 ... ...
유니콘처럼 특별해! 우리나라 ‘유니콘기업' 18개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1호
해당하지요. 기업이 짧은 기간에 빠르게 성장하는 일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마치 상상
속
동물 ‘유니콘’처럼 희귀하다는 뜻에서 붙은 이름이에요.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유니콘기업의 수는 2017년 3개에 불과했지만, 4년 동안 15개가 늘어나 2021년에는 18개가 됐어요. 2021년 한 해 동안 ... ...
'놀러와! 도토리슈퍼' 소노수정 만화가를 만나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1호
만화가와 독자들이 지난 5월 4일 ‘온라인클래스’에서 만났어요. 만화
속
삼총사를 쉽게 그리는 방법부터 도토리 슈퍼의 뒷이야기까지 들을 수 있는 시간이었는데요. 어떤 이야기가 오갔는지 살짝 공개합니다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3화. 영국의 스타 수학자, 마커스 드 사토이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안녕하세요. 서울대학교에서 대칭과 관련이 깊은 수학 연구 분야인 ‘군론’을 연구하고 있는 이승재 박사후연구원입니다. 오늘은 저를 수 ... 만나는 기회가 생기면 좋겠어요! 저는 교수님 같은 수학자가 되고 싶은 꿈을 가진 채 계
속
해서 열심히 소통하는 수학자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
[폴리매스 미궁 1004 미리보기] 수수께끼가 이끄는 여정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하는 무기라는 것을 안 티티르와 소녀는 왕자를 막기 위해 새로운 수수께끼가 있다고
속
이는데…. 왕자가 수수께끼에 한눈을 판 사이 티티르는 한 병사의 횃불을 빼앗아 소녀가 말한 대로 나무 상자가 쌓여 있는 곳에 던진다. 오랜 세월 동안 바싹 마른 나무 상자는 순식간에 불길에 휩싸인다. ... ...
[특집] 수천 미터 지하에서 우주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주요실험 2가지[인포그래픽] 한눈에 보는 전 세계 지하실험실Part1. 지하 1000m ‘고요’
속
실험실 예미랩Part2. 무엇이 그들을 지하로 이끌었을까Part3. 어디까지 알아 봤니? 전 세계 ... ...
몸집 작은 상어와의 먹이경쟁에 밀려 멸종? 메갈로돈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높다는 의미다. 2022년 6월 미국 프린스턴대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메갈로돈 이빨
속
질소 동위원소를 측정해 메갈로돈이 먹이사슬 최상위 포식자라는 사실을 밝히기도 했다. 분석 결과, 메갈로돈 이빨 화석에 축적된 질소-15의 양은 오늘날의 북극곰이나 범고래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는 ... ...
2022 노벨 화학상 I 복잡한 화학반응 ‘클릭’ 한 번으로 이뤄내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기여하겠다”고 했던 기억이 난다. 결국 그는 2022년 두 번째 노벨상을 받았고, 필자는 약
속
을 지킨 셈이 됐다. 그와 함께 연구하며 실험 결과를 두고 토의하는 일이 많았다. 한 번은 연구 결과를 그에게 소개하자 단번에 “아, 깨지는 클릭 반응(decomposing reaction)으로 고분자를 만들었구나”라며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