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d라이브러리
"
속
"(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업가가 된 연구자] 생분해 흡수체로 여성의 일상을 바꾸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것 같다”고 말했다. ‘여성용품’보다는 ‘여성의 일상’을 책임지고파 이런 신념
속
에서 이너시아는 기술력과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해 두 건의 투자를 유치하며 2022년 제품을 출시했다. 4월에는 스위스 로잔연방공대가 주관하는 펨테크 육성 프로그램에도 선정됐다. 6월 진행한 와디즈 펀딩은 ... ...
[특집] 미래의 생활 공간 해저 도시
속
생활 모습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에너지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며, 바다 목장을 활용해 거주에 필요한 자원을 얻는 등 물
속
에서 에너지와 자원을 자급자족해야 해요. 2026년 1단계 해저 모듈이 완성되면 해저 30m에서 3명의 연구원이 한 달간 생활합니다. 이후 2032년까지 2단계로 수심 100m에 50명이 지낼 ‘대수심 해저 공간’을 짓고, 2 ... ...
[통합과학 교과서] 맷돌 도난사건의 범인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판이 서로 충돌하는 수렴경계에서 형성되었어요.판은 스스로 움직이지 않아요. 주전자
속
에서 물이 펄펄 끓으면 온도차로 인해 밀도차가 생겨 대류 현상이 일어나는 것처럼, 지하 100~250km의 부분적으로 녹아 있는 연약권도 뜨거운 열에 의해 대류해요. 이 때문에 대류에 의해 맨틀이 하강하는 ... ...
[찐팬을 만나다] “야구
속
수학을 알고 싶어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1호
곰곰이 생각해보니, 타율이나 카운트 등 야구의 규칙 곳곳에 수학이 있더라고요. 야구
속
에 어떤 수학이 있는지 확실히 알아내고 싶어요! Q독자님에게 은 어떤 존재인가요?수학 교과서를 보며 문제를 푸는 건 재미가 없을 때도 있어요. 그런데 은 재미있는 기사와 유익한 만화를 보며 ... ...
[특집] 새로운 기술로 더 편리하게 수학으로 더 정확하게!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받으면 VAR실에 오프사이드 의심 경고를 보냅니다. 이를 받은 VAR실 보조 심판들은 공인구
속
IMU 센서가 기록한 데이터로 공을 차는 시점을 파악하고, 그 당시 골대와 가장 가까운 두 팀의 선수들의 위치 좌푯값을 확인하지요. 단 한 점이라도 공격수의 좌푯값이 수비수의 좌푯값보다 골대에 가까우면 ... ...
[나도 수학쌤 문장제 문제] #10. 골라 푸는 재미가 있다! 이차방정식의 해 구하기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속
력 계산, 망원경 렌즈 설계 등 이차방정식을 활용한 실생활 문제는 많이 있어요. 문제
속
이차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문제의 뜻을 잘 이해하고 구하고자 하는 값을 미지수로 정한 뒤 해를 구하면 되는데요. 해를 구하는 방법이 여러 개라 골라 푸는 즐거움이 있답니다. 중학교 3학년 ... ...
[전지적 독자시점] “SF영화 같은 땅
속
실험실이라니”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같은 땅
속
실험실이라니” - 이주아 독자 이번 달도 전지적 독자위원회는 11월호 표지 선정 투표와 10월호 기사 평가 설문 등으로 바빴습니다. 기자들이 기획한 11월호 표지 기사 후보는 총 5개였습니다. 독자위원들의 열띤 투표 참여 결과 예미랩이 1위, 2022 노벨상과 힉스 10년이 공동 2위로 ... ...
[과학뉴스] 파동으로 실시간 충전하는 무선 수중 카메라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이동하는 음파의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꾼다. 소리를 내는 물체가 있다면 계
속
해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는 셈이다. 지나가는 배나 해양 생물들이 내는 소리도 에너지원이 될 수 있다. 이번에 개발한 카메라는 촬영한 사진도 음파로 전송한다. 촬영한 데이터를 인코딩한 뒤 ... ...
[특집] 어디까지 알아 봤니? 전 세계 지하실험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페르미연구소와 협력해 심층지하중성미자실험(DUNE)을 진행하고 있다. 페르미연구소의 가
속
기로 강한 중성미자 빔을 생성해 SURF에서 분석할 예정이다. 2027년 최종 운영을 목표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30개 나라에서 1400명이 넘는 연구진이 협력하고 있다. 차세대 암흑물질 관측 컨소시엄인 ‘XLZD’도 ... ...
현미경
속
살아 움직이는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