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흡수
d라이브러리
"
흡수작용
"(으)로 총 97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개념과 특성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빛은 생명을 주고 첨단산업을 이끈다.빛은 세상을 밝게 해준다.빛이 있음으로 하여 우리는 물체를 볼 수 있다. 사람의 눈으로 밝고 어두운 것을 느낄 수 있는 빛을 가시광선이라 부르며 대체로 0.38μm-0.78μm 영역의 파장을 가지는 전자파가 이에 해당된다.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학, 광산업이란 용 ... ...
1억5천만년 동안 지구를 지배한 공룡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공룡이라는 화석동물(化石動物)은 학명으로 '아코소리아(恐龍群)' 아강(亞綱)이나 서양에서는 통칭 '다이노사'(Dinosaur)라 부른다. 이 명칭은 영국의 고생물학자 '리차드 오웬'에 의해 1842년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이 말은 '공포(dino)의 도마뱀(saur)'이라는 뜻으로, 골격화석들이 그 이전에 발견돼온 도 ... ...
빠르다 안전하다 쾌적하다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미래의 자동차는 어떠할까? '보다 빠르고 안전하고 쾌적한' 것을 목표로 자동차회사와 연구소에서는 차세대 자동차기술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한국기계연구소는 최근 미국 IITRI연구소에 의뢰해 향후 5년내에 실용화될 '10대 자동차기술'의 최신동향을 조사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미래의 자 ... ...
인공장기 시대를 여는 신소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소재혁명은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장기(臟器)를 인공적으로 만들어 대체시키는데까지 진전되고 있다.인공장기시대가 활짝 열리고 있다. 인공심장 인공폐 인공관절 인공신장에서 인공피부에 이르기까지, 손상된 생체조직을 복원하려는 인간의 노력은 이제 결실을 맺어가고 있다. 아 ... ...
해류, 기상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해류(海流)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바람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 해류는 기후형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해류란 시공간적으로 거의 변동이 없는 규칙적인 해수의 흐름을 말한다. 해류는 바다의 전역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바닷속에 묻힌 강과 같이 해양의 특정한 길을 따라 흐르고 있 ... ...
알칼리성 이온음료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알칼리성 이온음료’라고 선전되는 스포츠음료가 급격하게 늘고 있다. 이는 기존의 탄산음료와 어떻게 다르며 인체에 어떤 작용을 하는 것일까.바야흐로 청량음료의 성수기가 왔다. 청량음료는 연간 판매량의 절반 이상이 6~8월에 팔린다. 우리나라의 청량음료 시장은 계속 성장해 전체 약6천9백 ... ...
올여름 날씨 냉해 등 위험 예상돼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기상을 예상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기상학자들 사이에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몇가지 이론을 소개하고 이것이 올여름 날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알아본다.올여름의 날씨는 어떨까. 무더운 여름, 지리한 장마속의 집중호우 등을 쉽게 생각할 수 있지만, 그 정도가 어느 수준일까를 예 ... ...
PART1 첨단 선박들에는 어떤 것이 있나?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바다는 새로운 가능성을 계속 보여주는 곳. 이 바다를 잘 이용할 새로운 선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인간이 어떤 필요성에 의하여 물위를 타고 건너는 수단, 즉 선박을 만들어 쓰기 시작한 것은 약 6천년전의 일이다.오늘날 우리 인간이 배를 이용하는 것을 크게 나누어 본다면 두가지로 말할 수 있 ... ...
탄력성있는 시멘트 개발에 열중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물대신 얼음가루를 시멘트에 섞거나 물에 계면활성제를 타서 시멘트와 혼합하면···요지부동으로만 보이는 시멘트도 탄력성을 가질 수 있다. 용수철처럼 늘렸다 줄였다 할 수 있다는 얘기다.이렇게 '살아 있는' 시멘트를 만드는 최신 공법이 바로 MDF. Macro Defect Free의 약어로 '큰 결점(기포)이 없는' ... ...
우리 귀에 들리지 않는 곳에서 맹활약한다 초음파의 세계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초음파의 짧은 파장은 물체의 정보를 얻게 해준다. 또 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에너지로 이용할 수 있다.서울대공원의 돌고래쇼를 본 사람중에는 사육사의 입에 물고있는 호각에 대해 호기심을 표시한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그는 매우 관찰력이 풍부한 사람이다.분명히 사육사는 호각을 불고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