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뉴스
"
분야
"(으)로 총 14,33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伊 우주 비밀 밝히기 위해 손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김 원장은 “기존 중이온가속기
분야
연구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암흑물질 등 다양한
분야
로 양 기관 간 협력을 확대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연구 협력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 ...
IEEE 화웨이 논문심사 배제는 불가피한 선택 "美 정부지침 따른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2만3000여명의 회원을 둔 공학자 단체다. 통신 기술, 나노기술, 인공지능(AI)과 관련된 기술
분야
의 표준을 주도한다. IEEE는 공식 성명을 통해 미국 수출 관리 규정(EAR)에 의거 중국 화웨이 소속 과학자와 엔지니어들을 논문 심사위원에서 배제한다고 29일 밝혔다. 미국 상무부는 EAR을 집행하고 ... ...
공존현실, 신약개발, 바이오매스···세계 1등 기술개발 주춧돌 놓다
2019.05.31
한 점도 눈에 보이지 않는 중요한 성과였다”며 “연구단을 거쳐 간 많은 인재들이 해당
분야
를 발전시키는 훌륭한 밑천이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차세대바이오매스연구단에서 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연료 및 소재를 연구하고 있다. 사진제공 남윤중 ... ...
말레이해파리 대사변화 예측 독일특허 등록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한반도에서 2000년대 이후 매년 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는 노무라입깃해파리. 크기 2m에 무게는 최대 200kg까지 나간다. 바다에서 사람이 독에 ... 조절 및 세포 노화등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유전자들과 상동성을 갖고 있어 관련
분야
연구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 ...
7월 민간 주도한 정부 R&D 혁신방안 평가 결과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실적점검단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추천을 받은 자문위원 일부와 산학연 각
분야
를 대표하는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6월말까지 국가 R&D 혁신방안의 전반적인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우수 및 미흡과제에 대한 중점 검토과제를 선정해 워크샵 방식의 컨설팅 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 ...
‘따뜻한 아이스 커피’ 가능할까…상온서 얼음 만드는 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5.30
전망했다. 이근우 책임연구원은 “이번 기술은 다양한 결정구조에 활용할 수 있어 응용
분야
가 무궁무진하다”라며 “초고압과 같은 극한 환경에서는 새로운 물질의 특성을 발견할 수 있어 한계에 부딪힌 과학기술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 ...
아시아 암유전체 데이터 모두 한국에 모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0
“암유전체
분야
연구에 기여함과 동시에 국내 연구진의 활발한 연구 활동으로 생명의료
분야
의 데이터집약형 연구 경쟁력 강화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 ...
전문연구요원제 존폐 '칼자루'는 국방부 쥐었는데 과학계는 '동상이몽'
동아사이언스
l
2019.05.30
대한 형평성 문제로 제도개선 필요성이 있다며 과학기술특성화대 대학생 중 국방과 공공
분야
연구개발(R&D) 과제를 2개 이상 참여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전문연구요원을 선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최준환 과기정통부 미래인재양성과장은 “2022년부터 개선안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당장 ... ...
[한영 리서치콘퍼런스] 한국 뇌과학자들 ‘뇌 연구 지원 아직 충분치 않아’ 한 목소리
2019.05.30
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김진현 단장은 스위스, 프랑스 연구팀과 함께 뇌과학
분야
에서 쥐여우원숭이(Mouse lemur)를 새 동물실험 모델로 사용할 수 있는지 현재 연구 중인 내용을 발표했다. 김 단장은 “일반적 실험모델인 쥐와 인간의 뇌를 연구하는 데 생기는 간극을 극복하려는 연구”라면서 ... ...
[한영 리서치콘퍼런스]“폭발적으로 늘어날 배터리 시장. 국제협력 필수”
2019.05.30
서울대 교수로 재직 중이고, 2015년 한국물리학회 학술상, 2016년 한국과학상을 수상한 이
분야
최고 과학자다. 박 부단장은 “급한 상황이 닥쳐서야 인재를 양성하려고 해서는 적절한 시기에 필요한 기술을 내놓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과학 연구가 상용화를 목표로 할 때에는 ... ...
이전
890
891
892
893
894
895
896
897
898
다음
공지사항